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최근
근간
근대
요사이
요즈음
새로움
지금
d라이브러리
"
최신
"(으)로 총 1,171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
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색다른 물질인 암흑물질도 전체 밀도의 30%를 차지할 뿐이다. 이들 물질의 양을 합해도
최신
우주배경복사 관측결과를 설명하지 못한다. 우주 밀도의 나머지 65%를 차지하는 존재는 무엇일까. 우리가 아는 물질과 에너지가 아니다. 암흑에너지일까. 과학자들은 다시 우주 곳곳에 숨겨진 진공에너지를 ... ...
20세기 초에 나온 끈이론의 원조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piljin@kias.re.kr)는 아직까지 베일에 싸여 있는 M이론의 정체를 밝히는 연구를 하고 있다.
최신
우주론 분야의 한국 대표학자들이 벌여나갈 새로운 연구에 주목해보자 ... ...
붉은 행성에 닻 내리는 사신 - 오디세이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로켓을 이용하지 않고 화성대기와의 마찰을 이용해 공짜로 속도를 줄여보겠다는 이
최신
기술은 바로 화성에서 한차례 쓴잔을 맛본 적이 있다. 1998년에 발사된 화성 기후 궤도선(MCO)이 바로 그 희생물이었다. MCO도 에어로브레이크를 시도하다가 너무 근접하는 바람에 화성의 대기에 의해 영원히 ... ...
수난의 시대, 역사 속의 여성과학자
과학동아
l
2002년 01호
빈 대학 물리학부에 처음으로 입학할 수 있었던 여성이었다. 그러나 마이트너가 당시
최신
의 과학이론을 배우고자 1909년 베를린 대학에 도착했을 때, 자신을 청강생으로 받아들인 막스 플랑크의 예외적인 관대함을 기다려야만 했다. 막스 플랑크는 여성의 대학 수업에 대해 보수적인 입장을 ... ...
03 2005년 한국에 뜨는 별 K스타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날아가는 동안 속도, 방향, 목표물까지의 거리를 점검하면서 운항조건을 수정할 수 있는
최신
크루즈미사일에 비유될 수 있다. 처음 설정한 자료를 변경하지 못한 채 날아가 목표물과 상관없이 엉뚱한 곳에 도달해도 조정할 수 없는 구식 미사일과는 다르다.세계가 인정한 최적의 설계K스타 장치는 ... ...
② 복제된 자손에게 핵 유전자만 전달된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최근 실시된 수능에 복제 문제가 출제됐다. 그런데 이 문제를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교육과정평가원은 교과서 범위 내에서 출제했으니 별 문 ... 이슈에 대해 충분한 지식을 접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교과서가 따라오지 못하는
최신
지식을 자신의 방식대로 정리할 능력이 있기 때문이다 ... ...
Ⅱ 놀고 있는 컴퓨터 그물망으로 엮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사용자 동의없이 자원 이용한다한편 과학전문지 네이처
최신
호에는 그리드 컴퓨팅과 관련한 컴퓨팅 기술의 새로운 개념이 제시됐다. 미국 인디애나 노틀담대의 물리학과와 컴퓨터학과 출신의 과학자들이 그 주인공.이른바 ‘기생 컴퓨팅’(parasitic computing)이라 불리는 이 ... ...
02 백혈병 치료제 글리벡 만능인가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글리벡과 같은 분자표적 치료법은 최근 미국이 탈레반 정부와의 전쟁에 사용하고 있는
최신
정밀유도탄처럼 특정 암부위만 선별적으로 정확히 공격한다. 따라서 부작용이 적으면서 치료효과도 높다. 그럼 글리벡은 과연 어떤 원리로 백혈병 세포만 골라서 공격하는지 알아보자.거의 모든 ... ...
손바닥 위에 세워진 첨단 실험실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아니다. 이런 공상같은 일이 랩-온-어-칩(Lab-on-a-chip)을 이용하면 가능해진다.분석화학의
최신
화두 소형화Lab-on-a-chip이란 말 그대로 칩 위의 실험실(Lab)이란 뜻이다. 동전만한 크기의 칩 위에 분석에 필요한 여러가지 장치들을 미세 기술을 이용해 집적시켜놓은 화학분석 장치가 바로 Lab-on-a-chip이다. ... ...
블랙홀은 온돌에서 땔감 때우는 아궁이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저명학자들의 열띤 연구 발표와 토론이 9월 3일부터 6일간 이어졌다. 블랙홀에 대한
최신
연구 동향을 생생한 현장스케치를 통해 만나보자.여러차례 국내외 학회를 운영하면서 한가지 소원 아닌 바람이 있었다.다름아닌 한국의 풍속화를 한번 학회 포스터로 활용하고 싶은 것. 우여곡절 끝에 이번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