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지
계속
존속
보전
지탱
보수
영속
d라이브러리
"
지속
"(으)로 총 2,636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천연 스펀지로 물 찍어 먹는 침팬지!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독특한 문화라는 점이다. 영장류의 석기시대가 아직은 초기라는 의미다. 인간의
지속
적인 환경오염과 서식지 파괴 때문에 가능성은 높지 않지만, 영장류들이 도구를 쓰는 문화를 더 전파하면 지금과는 다른 방향으로 진화할 수도 있다. 인간의 관점에서는, 영장류의 도구를 연구하는 과정에서 ... ...
Part 4. “나는 백두산 화산학자다”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휴면상태였던 화산이 활동을 재개할 땐 24~72시간 전에는 전조현상이 나타난다”며 “
지속
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화산 재해 예측도를 작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얼마 전 경주에 지진이 났을 때 우리나라가 OECD 국가 중에 유일하게 활성단층지도가 없다는 사실이 화제가 됐습니다. ... ...
[News & Issue] 그날 서해대교엔 무슨 일이 있었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12호
두 번째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충진제를 꺼내 열을 가했다. 화재를 일으킬 만큼 불이
지속
적으로 붙지 않았다. 남은 가설은 낙뢰뿐이었다. “기상청에서 현재 운용 중인 낙뢰 감지기는 전류가 4000A 이상인 낙뢰를 95%까지 감지한다고 합니다. 중요한 건, 전류가 2000A 미만인 작은 낙뢰는 전혀 감지를 못 ... ...
[과학뉴스] 모유가 아기의 면역계를 훈련한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생후 12주 된 새끼의 림프절에서 새로운 결핵균 항체가 생성됐다. 이 효과는 생후 1년까지
지속
됐다. 연구팀은 새끼의 림프절이 모유에서 전해진 결핵균 항체의 정보를 이용한 것으로 추정했다. 기존에는 모유에서 직접 전해진 항체가 아기의 몸에서 특정 질병과 싸운다고만 알려져 있었다.워커 ... ...
[Tech & Fun] 외로우니까 사람이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외로움이 더욱 더 심해질 수 있다. 또 대인관계에서 느끼는 상실감이 오랜 시간
지속
되면 만성적인 상태가 되기 때문에 벗어나기가 점점 힘들어진다.하지만 혼자 있는 시간이라도 생산적으로 보낸다면 외로움을 이겨낼 수 있다. 외로움을 이겨낼 방법을 알려달라는 기자의 말에 카치오포 교수는 ... ...
Part 3. 세포 속 청소부의 정체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밝혀야 한다. 핵단백질을 표적으로 하는 치료제가 오토파지 관련 질병에 더 안정적이고
지속
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는 기대가 큰만큼, 앞으로 오토파지를 조절하는 유전자 발현 조절 기 전에 더 많은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2016 노벨과학상Part 1. ‘기묘한’ ... ...
[News & Issue] 고지방 다이어트, 정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요요현상보다 더 큰 부작용이 따를 수도 있습니다. 고지방 저탄수화물 식이를 오랫동안
지속
하면 우리 몸은 지방으로라도 에너지원을 내려고 지방을 대체에너지원인 케톤체로 분해합니다. 그 결과로 혈중 케톤체의 양이 지나치게 높아져 몸에서 아세톤 냄새가 나거나 탈수 증상이 나타날 수 ... ...
[Tech & Fun] 더 이상 ‘이불킥’은 하지 말자
과학동아
l
2016년 11호
연구팀은 곱씹기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되기는커녕 오히려 안 좋은 감정을
지속
시켜 이성적인 대인관계를 방해한다고 결론지었다.감정은 우리가 거기에 얼마나 머물러 있느냐에 따라 커지기도 하고 작아지기도 한다. 내 마음을 상하게 하고 또 다른 사람까지 기분 상하게 할 나쁜 ... ...
[수학뉴스] 수학자 족보가 있다!
수학동아
l
2016년 10호
추적해 정리했습니다. 수학을 이루는 분야가 누구에 의해 시작돼서 누구에 의해
지속
적으로 연구돼 지금에 이르렀는지 알 수 있게 말입니다. 어찌 보면 혈연이 아닌, 학문을 기준으로 만든 수학자의 족보인 셈입니다.지난 8월 25일 기준으로 이 족보에는 20만 1618명의 수학자가 이름을 올렸습니다. ... ...
[과학뉴스] 6세기 페스트균의 정체는?
과학동아
l
2016년 10호
세기부터 8세기 중반까지
지속
됐던 유스티니아누스 역병으로 무려 5000만 명이 목숨을 잃었다. 14세기 유럽을 초토화시켰던 흑사병과 마찬가지로 페스트균(Yersinia pestis)이 원인이었다. 그런데 당시 페스트균이 퍼졌던 지리적 범위와 사망에 이르게 한 영향 등은 밝혀지지 않았다.최근 독일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