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증명"(으)로 총 2,786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현대 수학의 보물, 그로텐디크의 노트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어디에 어떻게 영향을 끼칠지는 아무도 모릅니다. 이 노트의 내용은 하나의 명제를 증명하는 게 아닙니다. 수학 전반에 걸쳐 기초적인 개념부터 다루고 있습니다. 그로텐디크의 노트에서 얻을 수 있는 가장 큰 성취는 무엇인가요?마랭 학문적인 성취도 위대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건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아직 모릅니다. 더 쉬운 문제긴 하지만, 왜 이런 무늬의 수가 유한 개뿐인지를 간단하게 증명할 수 있는지도 흥미로운 미해결 문제입니다. 볼록오각형 테셀레이션 문제는 아마추어 수학자의 기여로 재밌는 연구 결과가 나온 흥미로운 사례입니다. 수학동아 독자들도 언제가 이런 기여를 할 수 ... ...
- [Origin] 빅뱅 우주론의 수호자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이런 특이점이 나오는 것은 일반상대성이론에서 충분히 있을 수 있는 결과라는 사실을 증명했다. 특이점이라는 현상을 물리학적으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그런 현상이 생기는 것이 잘못된 것은 아니라는 걸 밝힌 것이다. 이를 ‘특이점 정리’라고 부른다. 호킹이 24세에 발표한 이 졸업논문은 ... ...
- [Origin] ‘신의 저주’도 옛말, 에이즈 예방시대과학동아 l2017년 12호
- 위해 쓰는 항레트로바이러스제가 고위험 성행위자에서 HIV 감염률을 44% 낮춘다는 것이 증명됐다. 그 이후 프렙이 HIV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이 여러 그룹을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입증됐고, 2012년 7월 미국식품의약국(FDA)은 ‘트루바다(Truvada)’라는 HIV 치료약을 프렙 약제로 정식 승인했다 ... ...
- [인터뷰] 상산젊은수학자상 수상자➊ 오세진 교수수학동아 l2017년 12호
- 설명하는 모델을 제안하면, 저 같은 수학자는 그 모델의 방정식에 해가 존재하는지 증명해요. 방정식을 만족시키는 해가 없으면 다른 모델을 찾아야 하거든요. 어떻게 관심을 갖게 됐나요?‘스티븐 스트로가츠’라는 수학자는 이웃과 너무 가까이 있는 개체는 서로 밀어내려고 하고, 너무 멀리 있는 ... ...
- [Issue] 잘 나가는 크리스퍼 ‘처녀생식’ 논란과학동아 l2017년 11호
- 교정을 한 배아에서 정자의 단일염기다형성(SNP)을 찾으면 처녀생식이 아니라는 점을 증명할 수 있다”며 “현재 그에 대한 실험 데이터를 확인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단일염기다형성은 염색체 일부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염기서열로, 사람마다 고유한 패턴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 ...
- Part 3. [생리의학상] 생체시계 유전자들의 하모니 ‘분자시계’ 규명과학동아 l2017년 11호
- 이 연구 결과는 유전자 하나하나의 기능이 동물 행동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증명했을 뿐만 아니라, 올해 노벨생리의학상의 공동 수상자로 선정된 홀, 로스배시, 영 교수의 생체시계 유전자 연구의 뿌리가 됐다. 안타깝게도 벤저 교수와 코놉카 박사는 각각 2007년, 2015년에 사망해 노벨상 ... ...
- Part 2. 무리생활을 하는 동물의 게임이론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이론은 2012년 앤드류 킹 영국 왕립 수의대 박사팀이 위치추적장치를 이용한 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연구팀은 수십 마리 양떼가 모여 있는 곳에 개를 풀어 양 떼와 개의 움직임을 기록했지요. 매 순간 양들의 위치를 기록했는데, 양떼는 무리의 중심으로 몰렸습니다. 천적이 등장하면 가장 안전한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세계여행 가장 싸게 하는 이동 경로는? 외판원 문제수학동아 l2017년 11호
- 문제지요. 외판원 문제가 NP-완전이라는 사실은 1972년 미국 컴퓨터과학자 리처드 카프가 증명했습니다. 그런데 현재 많은 학자들이 P≠NP라고 생각합니다. 즉 외판원 문제를 푸는 효율적인 알고리듬은 없다는 거지요. 따라서 학자들은 근삿값을 찾는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정답은 아니더라도 ... ...
- [매스미디어] 신비아파트 고스트볼X의 탄생수학동아 l2017년 11호
- 손을 벽에 대고 걸으면 출구에 도착할 수 있다는 사실은 미국의 수학자 노버트 위너가 증명했다. 하지만 미로의 안쪽에 출구가 있거나 출구가 여러 개인 경우에 오히려 헤매게 될 수도 있다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