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우
동생
탯줄
태줄
제사
제향
d라이브러리
"
제
"(으)로 총 4,62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세계에서 가장 빠른 정보엔진 나왔다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정보’가 온도차를 만드는 ‘일’로 바뀐다고 볼 수 있다. 이것이 정보엔진이다. 실
제
정보엔진은 1990년대 후반 처음 개발됐다.사이먼프레이저대 연구팀은 레이저에 가둔 입자의 무게에 따라 스프링의 위치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또다른 레이저로 확인했다. doi: 10.1073/pnas.2023356118 입자의 무게 ... ...
[수학뉴스] 심장 모양에 따른 기능 변화, 수학으로 예측한다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연구 결과는 심장병을 조기에 진단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고 밝히며 연구 결과를 국
제
학술지 ‘플로스 컴퓨터 생명공학’ 4월 15일자에 발표했습니다. ... ...
생명을 살리는 기적의 ‘1시간'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6호
살 수 있는 환자를 최대한 살리는 거예요. 2015년, 우리나라에서 살 수 있었으나
제
때 치료받지 못해 사망한 환자의 비율은 30.5%였어요. 권역외상센터가 본격적으로 운영되기 시작한 2017년에는 19.9%로 그 비율이 낮아졌어요. 하지만 이 비율을 10% 아래로 유지하는 의료선진국에 비하면 갈 길이 멀어요 ... ...
[JOB터뷰] 본캐는 변호사! 부캐는 캣맘입니다! 채수지 변호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살지 못한다는 이유였지요. 현재의 법으로는 처벌이 어려울 수 있지만, 동물원 허가
제
로 법이 바뀐다면 이런 동물원을 활발하게 감시할 수 있을 거예요. Q동변에서 가장 보람찼던 일은 무엇인가요? 식용견 농장에서 강아지들을 전기봉으로 도살한 사건에 법적으로 참여했던 게 기억에 남아요. 이 ... ...
[기획] 폐기물 대란으로 본 직매립의 현주소
과학동아
l
2021년 06호
인과관계가 증명됐다고 판단한다”고 밝혔다.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도 침출수 배출 문
제
를 해결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는 등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다. 현재 침출수 무방류 시스템을 통해 침출수를 전량 자체순환시키고 재이용해 주변 지역 환경오염을 사전에 차단하려는 시도가 진행 ... ...
후쿠시마 오염수, 수학으로 계산해보니
수학동아
l
2021년 06호
K-방역이 화
제
가 됐습니다. K-방역의 3원칙은 ‘검사-역학조사-치료’입니다. 오염수 문
제
도 ‘빠른 검사-정밀한 추적-신속한 대응전략 수립’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해수 중 방사성 물질을 분석하는 시간을 단축하면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죠. 이는 오염수 추적의 중요한 첫걸음이 될 수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
제
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05호
폴리매스 친구를 만나다!폴리매스 홈페이지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친구를 매달 한 명씩 소개합니다. 이번 주인공은 함께 풀고 싶은 문
제
코너에서 꾸준히 활동하는 ‘K ... 올라온 연분수 문
제
에도 도전했지만 쉽지 않더라고요. 수학 실력이 더 늘면 폴리매스 문
제
도 해결해보고 싶어요 ... ...
[통합과학 교과서] 맛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5호
질김 등의 식감을 느낄 수 있다는 걸 의미하죠. 연구진은 “실리콘으로 만든 전자혀가 실
제
혀처럼 부드럽고 식감을 느낄 수 있기 때문에 소프트 로봇 등에서 인간 혀를 대신할 구조로 쓰일 것”이라고 말했답니다. 최근에는 인간을 대신해 냄새를 맡을 수 있는 전자코 기술도 한창 연구 중이에요. ... ...
돌의 온기 되살린 빛의 사진가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발견된 구석기 유물인 주먹도끼를 찍은 경험을 들려줬다. “도끼의 날 방향이
제
각각이라 빛을 집중적으로 받는 곳이 있을 수밖에 없었어요. 학자와 충분히 상의하고 도면을 들여다봤죠. 사진에 담긴 관점이 곧 후손이 이 유물을 바라보는 관점이라는 생각을 하면 늘 공부할 수밖에 없어요.” 사진 ... ...
선사시대 딱정벌레의 마지막 식사메뉴는 꽃가루?
과학동아
l
2021년 05호
휘두르던 안킬로사우루스과(ankylosaurid) 갑옷공룡이 땅파기에도 귀재였을 가능성이
제
기됐다. 몸집이 큰 공룡이 땅을 파는 습성을 가진 경우는 매우 드물다.이융남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교수팀은 2008년 몽골 고비사막에서 발굴한 길이가 6m가 넘는 갑옷공룡의 등뼈, 갈비뼈, 앞발, 골반, 뒷발 등 화석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