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유전자"(으)로 총 3,155건 검색되었습니다.
- [포커스 뉴스] 원로의사 vs 닥터왓슨 환자들의 선택은?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대장암 3기로 복강경 수술을 받은 61세 남성 조태현 씨의 수술경력, 나이, 조직검사, 유전자 검사 결과 등 정보를 입력했다. 왓슨은 약물을 통한 항암화학치료를 제안하며 ‘폴폭스(FOLFOX)’, ‘케이폭스(CapeOX)’ 등의 항암제를 권고했다.길병원은 이후 이런 처방을 대장암, 위암, 폐암, 유방암, ... ...
- [Origin] 지루한 기본맛? 반전의 향료 바닐라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바꾸면서 바닐라 향이 난다는 것을 발견했다(DOI:10.1038/ncomms5037).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유전자 변형 효모를 이용해 바닐린을 생산할 수 있었다. 식물유전학자들은 이 같은 연구를 통해 바닐린을 더 많이 만드는 새로운 바닐라 난초 품종을 개발하고 있다. 최근에는 많은 과학자들이 미생물이 ... ...
- Part 2. 변신의 귀재, 인플루엔자의 똑똑한 생존전략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년 홍콩독감사람에서 유래하는 H2 인플루엔자와 조류에서 유래하는 H3 인플루엔자 사이에 유전자재편성이 일어나 새로운 H3 바이러스가 나타났다. 이때 나타난 H3바이러스는 지금도 계절성 독감으로 자주 나타난다.④ 2009~2010년 신종플루H1N1 인플루엔자바이러스의 변종으로, 조류 ... ...
- Part 4. ‘키메라 백신’으로 인플루엔자 예방한다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단순하면서도 논리적인 가설이었으나 해법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았다. 순차적으로 유전자를 없애거나 돌연변이를 일으켜 머리 부분을 떼어냈더니, 줄기 부분의 단백질 3차원 구조가 본래의 구조와 달라졌다. 따라서 이 백신에 의해 유도된 항체는 정작 바이러스의 HA 단백질을 잘 인식하지 못했다. ... ...
- [과학뉴스] 쪼글쪼글 주름진 미니 뇌를 만들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인간을 비롯한 고등 동물의 뇌에는 수많은 주름이 있어요. 뇌에 주름이 많으면 표면적이 넓어서, 상대적으로 더 많은 신경세포가 분포할 수 있지요. 바 ... 연구에 참여한 루돌프 재니쉬 박사는 “인간의 뇌를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앞으로 특정 유전자의 기능을 밝혀낼 것”이라고 말했어요 ... ...
- Part 3. 이런 깜짝 놀랄 닭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2호
- 코엔 판메헬렌은 “모든 생명이 살기 위해 다른 생명체의 도움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유전자와 문화적 다양성이 중요하다”고 말했어요. 그래서 닭을 교배하는 실험을 계속하는 한편, 관련 사진과 조각품 등을 전시하고 있답니다. 지난 해 11월, 조류독감이 최초로 확인된 지 한 달여 만에 3033만 ... ...
- [Origin] 족보 꼬인 원숭이의 영리한 공동육아과학동아 l2017년 02호
- 마모셋과 타마린 원숭이는 남미 열대우림에 사는 신세계원숭이다. 대부분 성체 몸무게가 500g을 넘지 않는 소형원숭이다. 얼핏 보면 작은 너구리나 다람쥐 같다. 바로 ... 내가 전해주는 셈이다. 이제 헬퍼들의 존재 가치가 갑자기 이해되기 시작한다. 물론, 지극히 유전자 수준에서 말이다 ... ...
- [과학뉴스] 방사선에 강한 미생물의 비밀 밝히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연구팀은 이를 바탕으로 BDR1 단백질이 방사선에 노출돼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다양한 유전자를 조절한다는 것을 알아냈다.연구를 이끈 임상용 한국원자력연구원 첨단방사선연구소 생명공학연구부 책임연구원은 “방사선 저항성 미생물을 이용해 방사성 폐기물을 정화하고 처리하는 데 활용할 수 ... ...
- [과학뉴스] 서열 낮으면 면역력도 낮아진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또 이들의 백혈구를 병원균과 섞었을 때 서열이 낮은 암컷의 세포에서 염증을 유발하는 유전자가 과도하게 발현하는 것을 확인했다.논문의 공동 저자인 캐나다 몬트리올대 면역유전체학과 루이스 바레이로 교수는 “이 연구 결과는 사회적 위치가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 ...
- [Career] 4배체 유전자 개구리, 세계 최초로 해독한 과학자과학동아 l2017년 01호
- 개에 이르는 짧은 염기 단위로 잘라(단위 염기서열) 각각 읽어낸 뒤 이를 이어 붙여 전체 유전자를 완성한다. 문제는 염색체의 80% 가량이 단백질을 만들지 않는 DNA 반복서열이라는 점이다. 반복서열이 많다 보니 단위 염기서열이 서로 어떻게 이어지는 것인지 확인하기가 어렵다.4배체인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