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이익
글라스
편의
혜택
이득
유익
글래스
d라이브러리
"
유리
"(으)로 총 3,022건 검색되었습니다.
암세포 골라 잡는 ‘표적 기술’ 꿈꾼다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수백 마리의 개체를 얻을 수 있어서 여덟 마리 안팎의 새끼를 낳는 실험쥐보다 연구에
유리
하다. 2014년 말 한국에 돌아온 명 교수는 최근 사육시설을 완성하고 제브라피쉬를 도입했다.명 교수팀은 이들을 활용해 미국국립보건원(NIH) 시절 진행하던 연구를 이어나갈 예정이다. NIH에서 명 교수는 DNA ... ...
허공에 대고 터치터치! 제스처의 수학
수학동아
l
2015년 12호
손톱과 장갑은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꼭 피부가 닿아야 하는 스크린은 정전기 방식이다.
유리
판 위에 붙어 있는 투명 전도막에는 항상 전류가 흐르고 있다. 이때 손가락으로 화면을 만지면 스크린에 흐르고 있던 전류가 손가락 끝으로 모인다. 그럼 스크린의 네 모서리에 있는 센서가 전류의 흐름을 ... ...
여왕벌 죽이는 일벌의 반란, 이유는 유전자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위해서 이 같은 행동을 한다고 설명했다. 자신과 유전적으로 가까운 개체들의 생존에
유리
하도록 진화한다는 ‘혈연선택론(Kin selection theory)’과도 일치하는 결과다.루프 연구원은 “일벌이 단순히 여왕을 위해 생각 없이 일만 할 것이라는 생각은 오해”라며 “이타적인 벌도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 ...
응답하라~! 남극 세종과학기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살고 있지요. 남극은 사막보다 건조하고 춥기 때문에 키가 작을수록 살아남기에
유리
하거든요. 수분을 주변으로 덜 뺏겨서 체내에 수분을 유지하기가 더 쉽기 때문이랍니다.”“어? 이 식물은 잎이 큰데요? 마치 키가 큰 식물 같아요.”이도연 기자는 홍보관 한켠에 있던 잎이 큰 식물 잎 화석을 보고 ... ...
[Life & Tech] 바이오 기업 ‘테라노스’ 논란
과학동아
l
2015년 12호
어렵다. 반대로 후자의 경우는 하드웨어 같은 커다란 증거가 남기 때문에 특허 소송에서
유리
하다는 것이 김 대표의 설명이다. “아주 적은 양으로 정확한 실험을 하기 위해서는 미세유체를 조절하는 하드웨어기술이 필수적인데, 만약 이런 기술이 있다면 특허등록을 해도 손해를 볼 것이 없습니다. ... ...
Part 2. 메가이터, 생태계를 바꾸고 진화를 일으키다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수 있다. 하지만 대상이 된 동식물의 입장은 조금 다를 수 있다. 자연선택은 생존하기
유리
한 방향으로 이뤄지지만, 육종은 오로지 인간의 입맛을 만족시키는 게 목적이기 때문. 예컨대, 가까운 친척 간 교배가 계속될 경우 유전적으로 열성인 기형 자손이 태어나는 등 ‘근교퇴화’가 일어날 수 ... ...
알고 나면 깜짝 놀랄걸? 아주 사소한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넓혀서 물방울이 달라붙더라도 최대한 얇고 넓게 퍼지기 때문이지요. 김서림이 없는
유리
는 짙은 안개에도 끄떡없기 때문에 무인자동차에 쓰이는 카메라 렌즈 등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답니다. * 플라즈마 : 아주 높은 온도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 상태.100만 ... ...
세계의 지붕이 흔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수 있거든요. 일반 철근 콘크리트 건물은 규모 5의 지진에는 끄덕없이 버티지요. 피해는
유리
창이 깨지는 정도예요. 규모 6의 지진에도 건물에 금이 가는 정도로 그치지요.이보다 더 강한 지진을 버티기 이해서는 ‘내진설계’를 해야 해요. 기둥을 잇는 부분을 더 단단하게 만들거나, 세로로 서 있는 ... ...
[PART 2] 어디까지 알아낼 수 있을까? 진화의 5가지 KEY
수학동아
l
2015년 11호
공통적으로는 세월이 흐르면서 공룡 몸집이 더욱 작아지고 천적을 피해 하늘을 나는 데
유리
하도록 새로 진화했다.KEY 3 세포 배열이 알려주는 색깔재미있게도 깃털 화석으로 몸 색깔도 알 수 있다. 색깔을 내는 세포는 이미 썩어서 없어진 지퍼져 있는지 현생동물과 비교하면 몸 색깔과 줄무늬 ... ...
뇌의 미시순환계를 보는 장치, 한국인이 개발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각각 20nm 간격을 두고 떨어져 있다. 이런 뇌의 활동을 보기 위해서는 장비가 정밀할수록
유리
하다.미국 브라운대 이준희 연구원과 서울대 송윤규 교수 공동 연구팀은 광유전학기술을 이용해 정확도를 획기적으로 높인 뇌신경 측정 장비를 개발했다. 연구팀은 뇌신경을 자극하고 동시에 신경이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