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밥통
위장
Hugo
상부
윗쪽
꼭대기
자리
d라이브러리
"
위
"(으)로 총 10,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친구가 말하는 허준이 교수 ②] 나르치스와 골드문트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흔들리는 것들을 사랑했다. 집 근처 나무들을 가리켜 ‘쟤네들’이라 불렀고 다리
위
로 기어오르는 풀벌레를 ‘얘’라고 불렀다. 성당으로 내려오면 준이는 아무도 없는 강당에서 어젯밤에 작곡한 곡을 연주했다. 밤이면 집 옥상에 올라 별을 보며 우리가 만났던 사람들과 앞으로 만나고 싶은 ... ...
[특별기고] 한국 수학의 발전을 기원하며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문제들에 도전하는 수학자들도 늘었습니다. 이런 성취를 기반으로 2022년 한국은 IMU 최상
위
등급인 5그룹으로 한 단계 더 상향됐습니다. ▲ 2010 인도 하이데라바드 ICM에서 초청강연을 한 오희 교수(왼쪽 하단)와 2010 필즈상 수상자 엘론 린덴스트라우스 교수(오른쪽 상단). 제 2의 허준이 교수가 ... ...
[킹앤유] 확률로 물리 현상을 밝히다! 벤델린 베르너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갖게 돼요. 베르너 교수는 복소해석학의 등각 변환과 확률 이론을 결합해 규칙별 무작
위
행보마다 가질 기하학적 특성과 2차원 브라운 운동의 기하학적 특성을 연구했어요. 베르너 교수의 이러한 연구는 물리학에서 관심있는 주제인 ‘두 개의 상이 맞닿아 있는 물질의 경계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
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자연스러운 사고의 흐름’을 따라가서 새로운 관점을 열었어요. 이번 문제도
위
튼 교수의 아이디어처럼 문제의 조건을 잘 ‘탐지’하면서 우리에게 필요한 정보를 주는 새로운 대상을 도입하면 간단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 거예요. 힌트를 참고해 어떤 대상을 어떻게 도입할지 고민하는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리드추측은 1852년에 제안된 4색 정리 문제에서부터 시작한다. 4색 정리는 지도
위
의 모든 나라를 색칠하는데, 네 가지 색으로 인접한 나라끼리 색이 겹치지 않게 칠하는 것이 가능한지 따지는 문제다. ■평면 그래프를 활용하면 4색 정리 문제를 이해하는 데 편리하다. 각 나라를 점으로 표시하고 ... ...
[광고] MORRIS │ 마르지 않는 펜으로 그리는 친환경 세상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나온다. 덕분에 펜 선은 두껍고, 필기감도 좋다. 특히 공부할 때 자주 쓰는 형광펜은 글자
위
를 덮을 정도로 넓어 표시한 부분을 한 눈에 보기 쉽다. 하지만 이런 방식은 단점도 있다. 펜촉이 공기 중에 오래 노출되면 심지 속 휘발성분이 쉽게 날아가 잉크와 심지가 굳는다.모리스는 펜 내부의 구조를 ... ...
[특집] 더 멋진 비눗방울을 만들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한 번에 빠르게 들어올렸더니 비눗방울의 무지개 무늬가 불안정하게 변했어요. 분자를
위
로 끌어당기는 표면장력과 분자를 아래로 잡아당기는 중력이 줄다리기를 하며 복잡한 무늬 변화를 만들었죠. 한편 기포를 빠르게 조금씩 잡아당겼다가 멈추길 반복하자 무늬 일부가 특정 원 둘레 내부에서만 ... ...
[기획] 지구를 살릴 친환경 에너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우리나라는 농민의 절반이 땅을 빌려 농사를 짓는데 기업이 재생에너지 설비를 마련하기
위
해 농지를 사면, 직업 농민은 농사 지을 땅을 잃게 돼요. 또 재생에너지 설비 건설로 마을의 모습이 바뀌어 주민 간의 마찰이 생기기도 하고요. 전기를 일정하게 안정적으로 사용하려면 전력을 저장할 ... ...
[과학뉴스] 화상회의가 창의성 막는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s41586-022-04643-y멜라니 브룩스 미국 컬럼비아대 경영대학원 교수팀은 602명의 지원자를 무작
위
로 짝지어 팀을 이뤘다. 각 팀에는 놀이용 원반 또는 포장용 에어캡을 줬다. 그리고 대면회의 또는 화상회의를 통해 이들 물건을 새롭고 창의적으로 사용할 방법을 찾도록 했다. 얼굴을 맞대고 논의한 팀은 ... ...
과학자도 노트필기를 잘해야 한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토대로 ‘창작’에 가까운 조작이 있었다고 결론지었다. 2015년 하루코 박사가 박사학
위
자격을 박탈당하며, 만능세포 연구논문 조작 사건은 마무리됐다. 2. 노벨상은 받았지만 특허권은 빼앗긴 이유3월 7일 크리스퍼(CRISPR) 기술 특허 분쟁에서 펭 장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가 이끄는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