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용
유익
실천
실제
유효성
d라이브러리
"
실용
"(으)로 총 1,505건 검색되었습니다.
2. 슈퍼금속들의 화려한 변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때문에 정보 통신기기에만 들어있다고 생각할 필요는 없다. 1990년대 중반부터
실용
화되기 시작한 청색과 녹색 발광다이오드(LED)와 시내 곳곳 건물 옥상에 설치된 총천연색 전광판의 거의 대부분이 질화물반도체인 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한 것이다. 이 질화물반도체를 이용하면 절대 끊어지지 않는 ... ...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연을 군사적·주술적 목적으로 많이 활용했다.이에 비해 서구에서는 연이 좀더
실용
적으로 사용됐다.15세기 레오나르도 다 빈치는 계꼭이나 강의 거리를 측정하는데 연을 이용했는데,이 방법은 1850년대 나이아가라 폭포에 세계 최대의 현수교를 세우는데도 쓰였다.또 1749년 스코틀랜드의 윌슨은 ... ...
나일론 발명가 캐로더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위해 나일론 개발을 강하게 요구하는 연구관리책임자와 빈번하게 갈등이 있었다.회사는
실용
적인 목적 이외의 ‘기초적’ 연구에 대해서는 지원을 하지 않았다. 캐로더스는 결국 신경쇠약과 우울증에 빠지게 된다. 1936년부터 심한 정신분열증에 시달리다가 나일론의 공정개발이 한창 진행중이던 193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크다. 게다가 방송과 통신 분야에서 갈수록 위성의 수요가 늘어남을 감안할 때 언제까지
실용
위성의 개발을 남의 손에 맡길 수는 없는 노롯이다. 항우연이 아리랑 1호를 개발한 까닭은 멀리 보면 국내 위성뿐 아니라 외국의 위성까지 개발해 주겠다는 것. 연구역량은 선진국 수준이되, 연구원의 ... ...
Ⅳ. 수학적 사고가 미래 생물학을 지배한다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존재하는 것일 뿐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이 모델이 무슨 소용이 있을 것인가?직접적이고
실용
적인 소용이 있다. 고혈압 환자와 그렇지 않은 사람 각기 10만명의 데이터에 대해서 별도의 모델을 만든다. 일단 두가지 모델들이 만들어진 다음에는 어떤 알려지지 않은 시료가 어느 모델에 더 잘 ... ...
① 지구 환경과 우주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운행하는 우주비행기가 개발된다(2016년).● 2016년효율이 50% 이상인 태양전지가
실용
화된다. 지구 생명의 근원인 태양에너지를 이용한 발전은 넓은 면적의 박막태양전지가 보급되면서 가능해질 것이다. 특히 대규모의 태양광 발전 시스템은 사막지대와 해안지역에 집중적으로 건설될 전망이다.● 202 ... ...
③ 직장 생활과 재해 안전 시스템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현재와 같은 사무실이 미래에도 존재할까. 아니다. 네트워크가 연결된 곳이라면 그 어디라도 사무실이 될 수 있다. 또 국제회의를 위해 비행기를 탈 일도 거의 없어질 것이다. 화상 회의와 ... 로봇이 개발된다.● 2012년전 세계의 언어를 자동으로 토역해주는 소형 통역기가
실용
화된다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2호가 올라간 다음 인공위성연구센터에는 길고 긴 가뭄이 닥쳤다. 무궁화위성과 같은
실용
위성은 우주에 발도 들여놓지 못하고 있는데 우리별 3호가 웬말이냐는 것이었다. 아마추어 소형위성은 개발해봤자 아무런 쓸모가 없다는 지적도 있었다. 결국 예산이 끊어져 우리별 3호의 개발은 지연될 ... ...
첨단산업의 쌀 반도체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커패시터가 각각 2억5천6백만개씩 들어가 있는 대규모 집적회로다.1960년대부터
실용
화된 집적회로는 전자회로의 부피와 가격을 현저하게 떨어뜨렸다. 이 때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를 한개의 IC속에 수용할 수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인텔사가 1970년에 중앙처리장치를 수용한 집적회로를 만들었다. ... ...
Ⅴ.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 10년간 1천억 투자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정상적인 한국인의 10만여개 유전자 샘플이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우리의 샘플을 이용해
실용
화시키려면 우선 선진국이 1990년부터 해온 것처럼 막대한 비용을 들이며 게놈사업을 다시 시작해야 할까.그렇지 않다. 이번 국내 프로젝트에 신청서를 낸 후보팀의 한 관계자는 "10여년 전에 비해 염기서열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