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결
순정
청결
깨끗함
청정
진짜
증류수
d라이브러리
"
순수
"(으)로 총 1,309건 검색되었습니다.
1 예수의 동생 유골함은 가짜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많은 환경에서 묻혔을 때 생성될 수 없는 것이다.이에 비해 글자 사이나 글자안의 동록은
순수
한 진흙과 백악가루로 이뤄진 부드러운 것이었으며, 수 마이크론 단위의 금속입자와 탄화입자도 들어있었다. 문화재청 조사위원회의 고렌 박사는 “야고보 비문의 제임스 본드와 요아스 비문의 동록은 ... ...
갈릴레오호의 탐험 역사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감소를 수반한다 여기서 얻는 에너지가 근육 수축의 에너지로 쓰인다 가로무늬근에서
순수
하게 얻으며 분자량 54만 ATP 외에도 ITP, GTP, UTP, CTP 및 다중인산에도 작용한다 이와는 별도로 미토콘드리아의 내막 등인 생체막에는 산화성 인산화나 물질의 투과에 관여하는 ... ...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27년에 W 하이젠베르크가 유도한 원리 양자역학에서는 계의 상태를 가장 세밀하게 규정한
순수
상태에서도 물리량을 측정한 결과는 반드시 일정 값을 주지 않고 여러 가지 다른 값이 각기 정해진 확률로 계산된다 1685~1731 영국의 수학자 I 뉴튼의 직접 후계자 그는 이것을 미분방정식을 푸는 데 ... ...
초전도성으로 유물연대 측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연구팀은 중금속인 납이 오랜 세월동안 천천히 녹슨다는 점에 주목했다. 납이 녹슬면
순수
납의 질량은 줄고 부산물로 산화납과 탄화납이 늘어난다. 그 결과 납은 7.2K(절대온도, 0K=-2백73℃)에서 초전도성을 나타나는데, 부식물의 비율이 높아지면서 초전도성이 나타나는 온도가 점점 낮아진다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약 2천μm(=2mm)의 빗방울이나 1-10cm의 눈송이로 되려면 1백만배 이상 성장해야 한다. 이때
순수
한 수증기만으로 빗방울이나 눈송이가 되려면 습도가 400% 이상이어야 한다. 구름이 비나 눈이 되기 무척 어렵다는 말이다.하지만 실제로 자연에서는 습도가 100% 이상이면 비가 내린다. 수증기가 빗방울이나 ... ...
의사들의 전쟁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생명을 다루는 의사로서의 신성한 다짐인 히포크라테스 선서, 국경과 인종을 초월해 소중한 생명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던 슈바이처 박사. 의사들이 존경받는 ... 국한되지는 않을 것이다. 이런 아픈 역사를 통해 생명의 소중함을 다시 일깨우는
순수
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경제적인 액체헬륨 생산시스템을 개발했다.한편 전통적인 기체 액화시스템과는 달리
순수
하게 팽창엔진의 원리로만 저온을 얻을 수 있다. 1950년대 필립스사가 개발한 극저온 냉동기가 대표적 예다. 이 냉동기는 일반적인 냉동기와는 달리 액체헬륨의 온도까지 냉각이 가능하다.극저온 냉동기의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자신의 연구 결과에 대해 모르고 있는 경우가 많다.마지막은 과학자들이 흔히 갖고 있는
순수
한 호기심이 변질되는 경우다. 최근 개봉된 영화 ‘헐크’에서 과학자인 아버지는 자신의 아들이 비정상적이라는 사실을 알았지만 치료하지 않았다. 자신의 피조물이 어떻게 성장할지 궁금했기 때문이다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했지만 오늘날의 혈관연구는 이러한 동양적인 상호관계의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순수
하게 국내 여건에서 이뤄낸 것이다. 특히 최근의 연구성과로서 뇌혈관세포와 뇌성상세포, 그리고 세포주변의 산소농도가 상호작용해 뇌혈관의 생성과 분화가 일어난다는 연구결과가 네이처 메디슨 7월호의 최신 ... ...
바다의 올림픽 선수 고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입자에 의한 산란 J W S 레일리가 처음 이 현상을 설명하여 레일리 산란이라고 한다
순수
하게 자율신경계에서만 직접 또는 간접적인 자극에 의해 일어나는 생체의 비특이적 증후군 1934~36년 프랑스의 실험병리학자 J 레일리가 침습과 자율신경의 관계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식물신경 과잉자극에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