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상"(으)로 총 4,863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세상을 바꾼 10진법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나 숫자 10의 진가는 바로 10진법에서 드러나지! 인류 역사상 중요한 발명 중 하나는 10진법이라고 할 수 있어. 10진법이 없었다면 우리는 간단한 덧셈이나 뺄셈을 하기 위해 오랜 시간을 써야 했을 거야. 어렸을 때를 떠올려 봐. 하나, 둘, 셋물건을 셀 때 손가락을 접으며 하나씩 셌지? 10이 넘으면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인터뷰 - 김선 미네르바대학교 합격생, 수학동아로 세상에 다가서다수학동아 l2021년 10호
- “수학과 과학을 통해 건축, 문화 등이 탄생할 수 있었다”고 말했습니다. 그렇다면 이 세상은 어떻게 수학으로 구성돼있고 우리 생활과 어떤 관련이 있을까요? 그 이야기가 궁금하다면 수담수담 온라인 클래스를 놓치지 마세요 ... ...
- 글꼴, 작은 사각 틀 안에 무한한 우주를 담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글꼴은 변화무쌍했다. 재료는 ㄱ, ㄴ, ㄷ, a, b, c처럼 정해진 문자가 전부고 색칠도 꾸밈도, 과한 크기 변화도 제한됐지만, 시대와 도구, 기술을 반영하며 모습을 바꿨다. 각 ... . 기술의 변화 글꼴의 변신Part3. 글꼴을 해부하다Part4. 기억을 훔치고 미각을 해킹하다Part5. 글꼴에 세상을 담는 ... ...
- 글꼴에 세상을 담는 사람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ㅏ’의 삐침엔 조선 말기 황제의 마음을 담는 식이다. 글꼴에 세상을 표현하고, 다시 세상에 글꼴을 내보내기까지의 과정을 세 명의 글꼴 개발자에게 들어봤다. 박윤정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대학원 교수‘크레이티브(Creative)에 대한 갈망’.육아로 일을 관둔 뒤 다시 돌아가게 된 계기, ... ...
- [이달의 책] 한국형 천재의 시대는 끝났다 외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윌슨이 제시한 개념으로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는 범학문적 연구를 말한다. 디지털화되는 세상을 이해하고 살아가기 위해서도 통섭의 미학이 필요하다는 의미다.우리는 이미 인공지능 알파고와 이세돌의 대결을 통해 학문의 경계가 무너지는 경험을 했다. 20세기식으로 말하자면 인공지능과 바둑을 ... ...
- [훈훈한 훈쌤이랑 쫑알쫑알 코딩수다2] 포물선을 아름답게! 축구공 골인 게임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10호
- 자랑해 주세요!정답과 당첨자는 6월 21일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독자들이 만든 코딩 세상 훈쌤코딩은 이번 호를 마지막으로 막을 내립니다. 그동안 훈쌤코딩을 사랑해 주셔서 감사드려요. 지난 5개월간 독자들이 응모 해준 코딩 미션 작품 중 놀라운 것들을 소개해요! 코딩 왕중왕최시안 ... ...
- [그래프뉴스] 빙하가 사르르 2100년에 황제펭귄이 사라진다?!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10호
- 평균 온도가 계속 높아지면 2100년에는 황제펭귄이 세상에서 사라질 수도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어요. 황제펭귄은 추운 남극대륙의 거대한 얼음 위에서 무리를 지어 살아요. 현재 약 64만 마리의 황제펭귄이 남극에 살고 있어요. 미국, 영국, 프랑스, 호주 등 국제 연구팀은 공장이 많이 생기기 전인 ... ...
- 미 국방부 보고서 행간 읽기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그러던 2017년 12월, 50년 가까이 이어진 이 상식이 허구였음이 뉴욕타임스의 특종으로 세상에 알려졌다. 빌 클린턴과 조지 부시 전 대통령 시절 미국 국방부에서 정보 담당 차관보를 역임했던 크리스토퍼 멜론이 그해 익명의 국방부 관료로부터 3건의 UFO 동영상과 자료를 입수한 것이다. 퇴임 후 한 ... ...
- 슈뢰딩거 고양이의 생과 사, 확률을 계산하다과학동아 l2021년 10호
- 50%는 죽어 있는 것인가. 최근 이 기묘한 논쟁에 해결의 실마리를 줄 실험 방법이 나왔다. 세상에서 가장 유명한 고양이로 일컬어지는 ‘슈뢰딩거의 고양이’. 양자역학의 확률적 해석을 비판하기 위해 만들어진 사고 실험의 주인공이다. 하지만 이제는 여러 상태가 동시에 존재할 수 있는 기묘한 ... ...
- [과동키즈] 이제는 없는 얼굴을 위하여과학동아 l2021년 10호
- 그 중에는 물론 과학동아도 있다. 과학과는 무관해 보이는 나 같은 화가에게도 과학은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소중한 시선이다. 아니 어쩌면, 말로 설명할 수 없던 것을 설명하는 언어라는 점에서 과학과 예술은 공통 조상을 공유하는지도 모른다. 언뜻 보면 판이한 닭과 티라노사우루스가 알고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