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비즈니스
비지니스
실업
기업
업무
상업
d라이브러리
"
사업
"(으)로 총 2,558건 검색되었습니다.
갯벌 지킴이, 넓적부리도요를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0호
3%가 매립됐다. 초기엔 농경지 확보를 위한 소규모 매립이 이뤄졌다면 현재는 새만금 간척
사업
같은 산업과 관광을 위한대규모 매립이 이뤄지고 있다. 우리나라 서해와 남해의 중간 기착지가 줄어들면서 철새는 점점 좁은 곳으로 모여들기 시작했어요. 먹이 경쟁이 치열해져 살아남기가 더 어려 ... ...
글로벌 녹색성장 우리나라가 주도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한 곳은 내년 2월 준공을 앞두고 있는 아이타워(I-Tower)다. 한 때 2000억 원에 달하는
사업
비 부담 때문에 건설을 중도 포기해야한다는 여론은 이제 완전히 사라지고 금융 기업의 분양 문의가 쇄도하고 있다. 덕분에 인근 지역의 부동산 경기 역시 활발해졌다. 이 뿐만 아니다. GCF가 출범한 이후 연 12 ... ...
인천국제고 Sci-Fac 과학동아 동아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인공 하천이 도심을 흘러가도록 해 폭염을 줄일 수 있었다”는 예를 들었다. 물론 녹화
사업
을 명목으로 산에 등산로나 생태공원, 경작지 등을 마구잡이로 만들면 필요한 구조물도 생겨나 빗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문제 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지형을 철저하게 분석하고 우수관을 확장해야 한다. ... ...
Part 1 . 2013년, 태양은 과연?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흑점이 되고, 이곳과 주변부 사이에 에너지 불균형이 생긴다.김연한 천문연 우주감시
사업
센터 책임연구원은 “에너지의 불균형때문에 흑점에 에너지가 저장되다가 어느 시점에서 분출되는데, 이것이 플레어”라고 설명했다. 플레어 현상은 에너지를 빛과 열의 형태로 분출한다. 기자가 플레어 ... ...
사회기반시설물 파괴와 산사태, 환경토목공학의 과제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크다고 강조하셨다. 이와 같은 이유 때문에 세계 각국은 도시에 숲이나 공원 조성 등 녹화
사업
을 추진하고 있다. 이 시대의 공학자가 할 일 정상섬 교수님께서는 공학자를 꿈꾸는 청소년들에게 소중한 조언 한 마디를 하셨다. “앞으로의 공학이란 어떤 일이 발생했을 때 그것에 대해서 ... ...
Part 3. 잡놈을 복원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거치면서 질병 저항성이 높아졌다”고 설명했다.서식지를 교환하라2007년부터 복원
사업
이 진행된 산양이 멸종위기에 이른 과정은 드라마같다. 산양은 주로 고지대에 사는 동물로 바위가 많은 곳에 서식한다. 1964년과 1965년 강원도 지역에 내린 폭설로 먹이를 찾아 고지대에서 저지대로 내려온 ... ...
Bridge. 달갑지 않은 늑대가 되돌아와야 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개체수가 감소했다. 독일이 대표적으로 1987년부터 자연환경 개선
사업
을 실시, 수달 복원
사업
에 성과를 거뒀다.복원 효과수달은 수계에서 최상위 포식자다. 수달을 복원하자 먹이사슬에서 하위 물고기들의 생태계 건강성을 확보하게 됐다. 특히 다양한 물고기를 먹는 일부 희귀 조류의 개체수가 ... ...
Part 4. 우리 함께 살 수 있어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81년 인공증식을 시작으로 2000년에 효고 황새 고향공원을 개원, 2005년부터 황새 야생 복귀
사업
을 진행했다. 현재 44마리가 효고현 도요오카시를 중심으로 일본 32개 현에서 서식하고 있다. 2011년에는 효고현의 이웃인 후쿠이현에서 한 쌍이 번식했고 올해는 지바현에서 새로운 번식지가 탄생해 ... ...
차세대 나로호 2025년 달을 쏜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국고를 투입해야 하는 걸까. 의문을 품는 이들이 많다(2022년까지 진행되는 한국형 발사체
사업
에 투입되는 예산은 약 1조 6000억 원이다).하지만 미국과 러시아가 운용하는 우주정거장의 부수적인 효과를 들여다보면 이야기가 달라진다. 우주정거장에서는 중력이 지구의 약 100만 분의 1인 ‘마이크로 ... ...
‘과학동아’ 청소년기자단 농촌진흥청을 가다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GMO가 개발 중에 있으나 안전성 승인을 받아 상업화된 작물은 아직 없다. 미래 고부가가치
사업
으로 성장하고 있는 GM작물 기술의 국제 경쟁력 확보를 위해 미래의 주인공이 우리가 관심을 갖고 참여해야 할 연구과제가 많이 있음을 알게 됐다. (…중략…) 앞으로 더욱 발전된 기술로 차세대 에너지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