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머리
정신
머릿골
뇌
두상
지능
지성
d라이브러리
"
두뇌
"(으)로 총 996건 검색되었습니다.
장님 눈뜨는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크기의 카메라가 부착된 특수안경을 쓴다. 카메라에 잡힌 이미지는 전선을 통해
두뇌
에 삽입된 전극으로 보내진다. 카메라의 전기신호가 미세전극을 통해 시각피질의 뉴런을 자극함으로써 장님은 이미지를 지각하게 되는 것이다.한편 맹인의 20%는 온전한 시신경을 갖고 있지만 유전적 결함이나 ... ...
라론형 왜소증 치료법 국내 첫소개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임상실험을 해본 결과 IGF-1 요법은 환자들의 생화학적 혼란을 바로잡고 신장과
두뇌
의 성장을 촉진하며 체지방을 줄여주었다고 한다."IGF-1은 인슐린 전구물질과 단백호르몬에 관련된 것으로 직접적인 영향은 없지만 성장호르몬 작용을 돕습니다. 신진대사에 영향을 주는 외에 IGF-1은 방출억제인자 ... ...
먹을 것 구하기 위해
두뇌
발달했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식물성 식품을 섭취하는 영장류에게 열대림은 쉽사리 먹을 것을 얻을 수 있는 장소로 여겨진다. 그러나 풍부하게 널려 있는 잎사귀들은 섬유질이 많아 소화하기 어렵고, 당분이 많은 과일은 넓은 숲 속에 흩어져 있어 찾기가 쉽지 않다.영장류 중에는 소화관을 소처럼 특수화시켜 연중 언제라도 ... ...
유전공학 6대 논란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관계한다는 점을 깡그리 무시할 수는 없다.그러나 최근 '머리가 좋아지는 음식'이랄지 '
두뇌
훈련법'에 의해 머리를 좋게 한다는 많은 주장이나 가설들이 등장하는 것을 볼 때, 많은 이들이 지능이 선천적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점을 실질적으로 믿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수치가 1에 가까울수록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뇌이러한 인간의 언어를 가능하게 하는 언어규칙들을 다루는 곳이 우리의
두뇌
이다.
두뇌
중에서도 왼쪽 뇌 표면 부분의 5mm두께밖에 되지 않는 뇌피질(腦皮質, cortex)이라는 중추신경 부위가 언어를 담당하고 있다. 뇌피질에는 약1천억의 뇌세포가 서로 연결되어 방대한 정보망(network)을 구성하고 ... ...
인공생명 탄생 멀지 않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는 본래 생물의 행동을 흉내내는 자동기계를 뜻하였으나 컴퓨터의 출현으로 인간의
두뇌
처럼 정보를 처리하는 기계를 의미하게 되었다. 이러한 자동자의 개념을 더욱 확장시킨 것이 폰 노이만의 이론이다. 그는 계산능력뿐만 아니라 스스로 자기의 복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진 기계, 즉 ... ...
혼돈이론 응용 전자공학의 새 세계 연다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기상 등 자연현상의 변화예측 시스템 등이 있다.혼돈이론이 신경회로망과 결합돼 인간의
두뇌
와 더욱 유사한 기능을 가진 혼돈신경칩이 등장한다면 신경컴퓨터의 개발은 더욱 가까워질 것이 틀림 없다 ... ...
「광역 초팽창이론」확립한 천문대 라대일 박사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것만이 아니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려 했다고 해야겠지요"'아인슈타인과의
두뇌
게임'은 특수상대성이론과 일반상대성이론의 핵심을 소개하면서도 수식이 거의 들어가지 않았다. 또한 앞부분에서는 고전역학이 성립하는 과정을, 뒷부분에서는 현대우주론을 덧붙여 상대성이론의 ... ...
미사일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계산, 미사일이 그 경로로 비행하도록 미사일에 무선신호를 보내는 패트리어트 체계의
두뇌
역할을 한다.미사일은 표적에서 반사된 레이더파를 탐색해 이 신호를 레이더에 되돌려 보내고 다시 교전통제소에서 최적 경로를 계산해 미사일에 경로를 수정하도록 신호를 보낸다. 이러한 유도방식을 TVM ... ...
염색체 지도 완성, 생명의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그 유사한 해답을 찾아나가고 있다. 컴퓨터가
두뇌
기능을 모방하기 시작했고 이에 따라
두뇌
작용의 복잡성과 처리속도를 유추하여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바이오칩과 같은 고집적회로와 빠른 처리속도를 가진 인공바이오칩 개발에 착수하는 계기가 되었다.일례로 눈 공막에 존재하는 로돕신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