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과"(으)로 총 2,734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해밀턴 회로가 있을까? 가운데층 문제수학동아 l2016년 12호
- 여러 번 방문했습니다. 지금은 헝가리의 과학자를 대표하는 정부 기관인 헝가리 과학 아카데미의 총장입니다.1969년 로바스는 아무렇게나 연결된 그래프에 대칭성이 많다면 5개의 그래프를 빼고는 해밀턴 회로가 있다고 추측했습니다. 여기서 대칭성이 많다는 것은 어느 두 꼭짓점 A, B를 잡아도 전체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완충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하지만 계속 안심할 수는 없다. 그는 “백두산 천지의 물과 동토층, 지하수, 지하 마그마 주변의 유체가 모두 거대한 수계를 형성하고 있다”며 “광천수 사업이 이런 수계의 균형을 무너뜨릴 위협은 없는지 면밀하게 조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지하에서 ... ...
- [지식] 저글링 하는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1호
- 저절로 잘하게 됐어요. 이때부터는 수학만 공부한다는 소리를 많이 들었죠. 실제로 문과 과목은 잘 못했어요.”김 교수님은 수학을 잘하고 싶다면 생각을 많이 하라고 조언해줬어요. 문제를 풀 방법을 궁리하다 보면 저절로 수학은 잘하게 된대요. 그런데 수학을 싫어하면 책상 앞에 앉아 있을 때만 ... ...
- [도전! 코드마스터] 논리적으로 생각하자! ‘컴퓨팅 사고’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만드는 것처럼 거대하고 복잡한 연구에서 큰 힘을 발휘하고 있지요.이 때문에 미국과 유럽에서는 20세기 후반부터 학생들을 대상으로 컴퓨팅 사고 교육을 해오고 있어요. 우리나라에서도 2018년 소프트웨어 교육을 의무화하며 컴퓨팅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도울 예정이랍니다 ... ...
- [도전! 코드마스터] 코딩을 내 맘대로! 컴퓨터 언어의 세계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보면 익숙해지는 이름인 ‘자바 스크립트’가 대표적이지요. 자바 스크립트는 C나 파이썬과 달리 자기 혼자서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없어요. 대신 인터넷 페이지 등에 널리 쓰이는 HTML 문서에 쏙 들어가서 기능을 늘리거나 바꾸는 역할을 하지요. 그래서 익스플로어나 크롬 같은 웹브라우저 안에서 ... ...
- [핫이슈] 지진 대비! 집을 지키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래 사진처럼 바깥에 강한 철골 자재를 덧댄 건물을 본 적이 있나요? 튼튼한 철골을 바닥과 약 30°~50°의 각도를 이루게 세우고, 이 철골로 만든 삼각형이 건물 전체를 둘러싸게 만든 거예요. 그러면 삼각형의 세 변이 중력은 물론, 지진으로 건물이 받는 여러 가지 압력을 견뎌냅니다. 덕분에 건물이 ... ...
- [소프트웨어] 숫자 바꾸기의 달인 진법 변환기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생각했어요. 컴퓨터가 생기기 전까지는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수처럼 여겨졌으니까요. 사과 10개를 1010이라고 표현해야 했으니 얼마나 불편했겠어요. 그런데 라이프니츠는 이 수를 발견하고 매우 자랑스러워했어요. 지금까지 남들은 알지 못하는 수 체계를 발견한 것이 매우 뿌듯했던 거지요. 사실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수축하며 일정한 패턴 정보를 얻어낸다. 이렇게 얻어진 1000비트 가량의 정보는 시작 부분과 끝 부분이 분명하기 때문에 비교대조 하기가 쉽다. 실제로 미국, 영국, 캐나다 등에서 공항출입국 심사 때 홍채인식을 활용하고 있다.홍채인식은 위조 방어에도 강하다. 얼굴 인식은 본인의 협조가 없어도 ... ...
- [지식] 들어는 봤나?! 수학특성화중학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특성화중학교. 생소하다. 실제 있는 중학교는 아니다. 이 중학교는 상상 속의 학교다. 이름만 봐서는 학교 여기저기서 수학이 튀어나올 것만 같은 ... 위한 여정은 어떻게 끝이 날까? 제로의 비밀을 풀고 아름이를 구해낼 수 있을지. 그들과 함께 모험을 떠나고 싶다면 직접 확인해 보자 ... ...
- [News & Issue] 꽃보다 단풍이 예측하기 어려운 이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기상대를 대상으로 개화나 단풍의 예상 시기가 어긋나는 이유에 대해 조사한 결과를 보면, 표준목이 지역을 대표하지 못해서라는 응답이 28.2%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산 봉우리의 관측 자료를 사용할 경우 대표성은 갖추고 있지만, 종의 구분이 없는 것이 문제다. 단풍나무나 은행나무조차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