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공개"(으)로 총 2,733건 검색되었습니다.
- “7만 종 ‘생명의 설계도’ 만들어요”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설계도 만든다VGP는 지난해 9월, 3년간의 연구 끝에 척추동물 14종의 표준유전체를 처음 공개했다. 여기에는 카카포(Strigops habroptilus)와 같은 멸종위기종뿐만 아니라 언어학습 능력이 있다고 알려진 금화조(제브라 핀치·Taeniopygia guttata), 알을 낳는 포유류인 오리너구리(Ornithorhynchus anatin ...
- [인터뷰] 수학 국가대표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9년 09호
- 번의 국제대회에 참가했었는데요, 그때 모두 첫날 제가 친구들에게 몇 문제를 풀었는지 공개하자고 해서 친구들의 둘째 날 시험에 영향을 미쳤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번 IMO에서는 그런 얘기를 하지 않고 표정 관리를 했어요. Q IMO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순간을 꼽는다면?강지원 시험장 안에서 ... ...
- [과학뉴스] 모양 자유자재로 바꾸는 초경량 비행기 날개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9호
- 그 결과, 연구팀은 이번에 1인용 소형 비행기에 사용할 수 있는 5m 길이의 날개를 만들어 공개했답니다. 새로 개발한 비행 날개는 탄소복합소재를 사용해서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것이 특징이에요. 연구팀은 성냥개비 크기의 버팀대로 속이 빈 삼각형 격자를 촘촘히 쌓아 날개를 만들었어요. 연구팀은 ... ...
- [에디터노트] 한일 경제전쟁과 기초과학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이 2년마다 발표하는 ‘기술수준평가’라는 보고서가 있다. 가장 최근 보고서는 올해 4월 공개된 ‘2018년 기술수준평가’다. 문재인 정부의 120개 중점과학기술에 대해 미국, 유럽연합(EU), 일본, 중국 등 네 나라와 한국의 기술격차를 분석했다. 한 나라와 다른 나라의 기술격차는 어떻게 조사할까. ... ...
- [나의 논문 투고기] 미지의 성단을 찾아서 '고딩' 3년을 모두 바쳤다과학동아 l2019년 09호
- 우주망원경이 수집한 데이터를 이용해 우리은하 내 17억 개의 별을 포함한 최신 자료를 공개했다. 우리는 이 자료를 토대로 연구를 진행했다. 코딩을 활용해 관측 자료를 입력하면 우리은하의 구조와 운동을 확인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직접 짰다. 10월 7일 우연히 카시오페이아 자리 인근에 있는 ... ...
- [수학미술관] 인공지능 화가 '오비어스' 그림은 컴퓨터로, 서명은 수학식으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공개했습니다. 그리고 금문교 사진을 멕시코 화가 프리다 칼로의 화풍으로 변환시켜 공개했습니다. 원본 사진의 형태는 그대로 보존하면서 화풍만 예술가의 것처럼 바뀌었지요. 작품 서명에 담긴 수학식의 비밀 2018년 10월에는 미술사에 큰 획을 긋는 사건이 발생합니다. 혹시 입장할 때 있던 ... ...
- 너의 발에 날개를 달아줄게과학동아 l2019년 09호
- hire. 신발 디자이너를 꿈꾸는 사람들에게 조언을 한다면? 무언가를 만들어 사람들에게 공개하는 연습을 해보길 바랍니다. 디지털상에서든 오프라인에서든 디자이너는 결국 ‘메이커’가 돼야 합니다. 그것을 지속적으로 실행하지 않으면 디자이너로서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습니다. 좋든 싫든 ... ...
- [따끈따끈한 수학] 컴퓨터 과학 분야 난제, 민감도 추측 2쪽짜리 증명으로 해결!수학동아 l2019년 09호
- 사실 이런 일은 극히 드뭅니다. 대부분 오래된 추측이 풀린다면 그걸 증명하는 논문이 공개되더라도 실제로 읽고 정확하게 검증하려면 한참 걸립니다. 복잡한 논리 전개 과정 중에 한 군데라도 수학적 오류가 있는지 꼼꼼하게 검증하려면 시간이 꽤 걸리니까요. 이 논문은 민감도 추측을 바로 ... ...
- [SW진로체험] 블록체인 세상을 바꿀 평화로운 혁명! 김서준 해시드 대표수학동아 l2019년 09호
- 광고로 정확히 얼마의 수익이 발생하는데 그중 얼마를 개인에게 분배하는지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고 있고, 대형 플랫폼의 개인정보 거래는 이미 여러 번 정황이 드러나며 항의를 받았죠. 이런 플랫폼 경제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대안이 바로 블록체인이에요.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하면 정보의 ... ...
- 우리는 UST 퍼스트과학동아 l2019년 08호
- 3인방'의 탄생 (UST 한국천문연구원 캠퍼스)올해 4월 10일 전 세계는 인류 역사상 최초로 공개된 초대형 블랙홀 이미지에 이목을 집중했다. ‘이벤트 호라이즌 망원경(EHT·Event Horizon Telescope) 프로젝트’라는 이름으로 진행된 블랙홀 이미지 연구에는 한국인 과학자도 8명이 참여했고, 그 중에서도 UST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