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결과"(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달의 뉴스] 공기 중 보이지 않는 통로로 강력한 레이저 전송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복도에서 레이저가 공기 중에 생성한 공기 도파관을 통해 45m 진행하는 것을 시연하고 그 결과를 국제학술지 ‘물리학 리뷰X’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 doi: 10.1103/PhysRevX.13.011006 레이저를 단순히 공기 중으로 쏘면 점차 퍼져서 빛의 강도가 매우 떨어진다. 광섬유를 이용하면 이런 문제 없이 먼 곳까지 ... ...
- [특집] 국내 최초 도입, 암 세포를 정조준할 탄소 탄환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중입자는 더 좋은 치료방식이 된다. 탄소는 수소보다 12배 무겁다. 이 무게 차이가 치료 결과의 차이를 만든다. 중입자는 양성자보다 복잡하게 생긴 암세포를 치료할 수 있다. 무거운 까닭에 입자가 퍼지는 정도가 작아, 타깃에 원하는 만큼의 에너지를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 중입자의 암세포 ... ...
- [이세인의 '미지의 유인원'] 영장류도 독립은 어려워요과학동아 l2023년 03호
- 흔히 볼 수 있다. 하다못해 순대를 어떤 양념에 찍어 먹는가도 지역별 순응 학습의 결과물일 수 있다. 나는 인천과 서울에서 유년 시절을 보내며 순대를 고춧가루와 후추가 섞인 소금에 찍어 드시는 부모님을 보며 자랐다. 고추장이나 쌈장 같은 다른 양념도 있었지만 부모님이 아무 고민 없이 소금을 ... ...
- [기획] 이메일 지우면 디지털 탄소발자국 줄어들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기존 통념과 달리 이메일 삭제는 탄소중립에 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doi: 10.1016/j.spc.2022.09.025 연구팀의 분석에 따르면 e메일 교환은 전체 인터넷 트래픽의 1% 정도이며, 이 중에서도 85%가 스팸메일로 만들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게다가 메일 송수신이 데이터 센터와 ... ...
- [이그노벨상] 웃기려고 한 연구 아닙니다 3화. 성공에 더 필요한 건 운일까 재능일까과학동아 l2023년 03호
- 들지 않았다는 건 아니다. “이그노벨상은 평소에는 알리기 힘든 과학자들의 연구 결과를 일반인들에게 소개하는 데 큰 도움을 줍니다. 저희 연구도 수상을 통해서 전 세계에 알려질 수 있었어요.” 이그노벨상은 아마도 재능과 성공에 관해 다시 생각해보게 만든 이 연구의 의외성을 상찬하기 위해 ... ...
- [5년 후, 과학은] 환자 맞춤형 진단·치료의 열쇠 탄소 양자점과학동아 l2023년 03호
- 이용한 다양한 영상화 기술이 개발 중인데요, 그중 가시광 영상화 기술은 촬영과 결과 확인이 간편해 세포를 관찰하는 데 주로 쓰입니다. 쉽게 설명하면 표적 세포에 탄소 양자점을 붙여놓고, 빛을 쪼여 가시광선을 방출하는 표적을 찾는 식이죠. 최근엔 탄소 양자점을 이용해 뇌암 세포, 간암 세포 ... ...
- [Research] 모든 한옥 지붕이 사이클로이드는 아니에요!수학동아 l2023년 03호
- 그리고 우리나라 전통 건축물에서 많이 보이는 ‘현수선’과 비교했어요. 그 결과 세 곡선의 형태가 모두 달랐습니다. 이후 예산 수덕사 대웅전에 대해서도 같은 방식으로 근사 방정식을 찾고 사이클로이드와 비교해 봤지만 마찬가지였어요. Q. 앞으로 이 연구를 어떻게 더 발전시키고 싶나요 ... ...
- [인터뷰] 필즈상 허준이 교수 아버지 허명회 고려대학교 통계학과 명예교수수학동아 l2023년 02호
- 허 교수는 “수학을 비롯한 모든 능력은 언어 능력을 기반으로 자란다”면서, “어떤 결과든, 어떤 과정을 거쳐 나왔는지를 문자나 말처럼 언어를 통해 잘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들었다. 인공지능보다 인간이 낫다고 볼 수 있는 능력은 창의성으로, 이 능력은 제대로 듣거나 읽지 않으면 ... ...
- [이달의 과학뉴스] 바이러스 먹고 사는 플랑크톤 최초 발견과학동아 l2023년 02호
- 바이러스를 섭취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클로로바이러스의 DNA에 형광염료를 부착해 섭취 결과를 명확히 알 수 있었다. 단 둘 간 차이는 있었다. 짚신벌레는 바이러스를 섭취하는 동안 크기와 개체수가 거의 변하지 않았다. 반면에 할테리아는 개체수가 이틀 만에 약 15배 증가했다. 같은 기간에 ... ...
- [지웅배의 '최애 은하'] 고흐의 밤하늘을 비춘 소용돌이의 놀라운 비밀과학동아 l2023년 02호
- 한다. 작은 은하의 중력으로 인해 큰 은하 속 별들의 궤도가 미세하게 요동치고, 그 결과 은하 원반을 둥글게 휘감는 밀도파가 형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M51의 한쪽 끝에도 작고 둥근 은하 NGC 5195가 이어져 있다. 붉은 구름과 푸른 별이 수놓다 별과 함께 가스 구름도 정체 구간, 즉 나선팔 구간을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