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리"(으)로 총 5,700건 검색되었습니다.
- 아라온호 북극으로 안내하는 내비게이션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거리가 2만1000km이다. 북극 항로를 이용하면 1만2700km만 항해하면 된다. 총 45일 걸렸던 거리를 35일 만에 갈 수 있다. 연료비 등 선박 운항에 필요한 비용이 그만큼 절약된다. 해빙이 녹으면서 열리는 북극 항로는 이미 전 세계의 관심사가 됐다. 위성탐사·빙권정보센터가 개발 중인 북극해 해빙 지도와 ... ...
- 벌도 사회적 거리두기 한다? 슬기로운 벌집 생활과학동아 l2020년 09호
- 공동연구팀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꿀벌들이 스스로 집단 감염을 막기 위해 정상 꿀벌과 거리를 두는 행동을 한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다. doi: 10.1073/pnas.2002268117연구팀은 일부 꿀벌에게 이스라엘급성마비바이러스(IAPV)를 감염시킨 뒤 벌집으로 되돌려 보내 그들의 ... ...
- [교육뉴스] 2학기 학교생활은 이렇게!수학동아 l2020년 09호
- 과목에서 국어, 영어, 수학, 사회, 과학을 제외한 모든 과목으로 확대합니다. 사회적 거리두기가 3단계로 올라가면 중학교 1, 2학년은 평가를 생략하는 ‘PASS제’를 할 수 있고, 중학교 3학년과 고등학교는 등교를 최소화해 지필고사를 시행합니다.한편 원격수업으로 생긴 학습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0년 09호
- 사이트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재미있어 보였어요. 그런데 폴리매스에 대한 막연한 거리감을 가지고 있다가 올해 초에 폴리매스에 들어왔어요. Q 문제를 푸는 것과 내는 것 중에서 무엇이 더 좋은가요?저는 개인적으로 문제를 푸는 것보다 내는 것을 더 좋아해요. 문제는 문제집이나 책에서도 ... ...
- [에디터노트] 9월의 북극과 남극을 보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보내며 극지를 지켜보고 있다. 혜민 스님은 멈추면 비로소 보인다고 했다. 과학은 거리는 물론 시간적으로도 멀리서 볼 수 있게 해 준다. 숲도, 산도, 사막도, 극지도, 그리고 우리들의 삶도. 멀리서 보면 비로소 보인다 ... ...
- 우주에서 펭귄 서식지를 추적하다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서식지에서 바다로 나가는 길목이 면적이 2900km²인 빙산에 가로막혀 펭귄들이 왕복 120km 거리를 오가야 하는 일이 발생했다. 그 결과 2011년 16만 마리에 달하던 개체수가 2016년 1만 마리로 급감했다. 인공위성을 이용하면 펭귄의 서식지 환경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면서 위기에 처한 펭귄 규모를 ... ...
- 유리는 고체, 액체? 구글 딥마인드의 답은과학동아 l2020년 09호
- 점은 유리 입자의 3차원 위치를, 선은 입자 간의 상호작용을 나타내며, 입자 간의 상대적 거리에 맞게 선의 길이를 정해 그래프 데이터를 생성했다”고 설명했다.연구팀은 4096개의 입자로 구성된 가상의 유리를 만들었다. 그리고 다양한 온도와 압력 조건에서 입자들이 몇 개의 주변 입자와 ... ...
- [기초과학의 힘, IBS ] 나노 패치 뭍여 여드름 잡고 스마트렌즈로 스트레스 측정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때문에 콘택트렌즈 소재로 안성맞춤이다. 스마트폰과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근거리무선통신(NFC) 칩도 콘택트렌즈에 탑재했다. 마지막으로 초정밀 3D 프린팅 공정으로 배선을 인쇄해 센서, 안테나, NFC 칩 등 각 부품을 연결해 스마트 콘택트렌즈를 완성했다. 스마트 콘택트렌즈의 사용법은 ... ...
- [나의 일본유학일기] 메이커의 성지, 공방에서 프로젝트를!과학동아 l2020년 09호
- 보면서 작업해야 했다. 당시 작업은 쉽지 않았지만, 이때 만든 앰프는 아직도 내 자랑거리다. 올해는 코로나19로 할 수 있는 일이 점점 제한되며 무력감에 빠져 한동안은 아무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그러나 주변 교수님, 친구들이 이런 상황에서도 연구에 매진해 성과를 내는 것을 보고 자극을 ... ...
- [진로체험] 항공우주 영상 수학으로 꿰뚫어본다!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수학동아 l2020년 08호
- 드론 기술이 발달하면서 드론을 이용한 항공 촬영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죠. 이런 먼 거리 촬영 영상을 용도에 맞게 분석하려면 데이터 처리 과정을 거쳐야 합니다. 여기에 수학을 활용하는 회사가 있는데요, 수학 박사학위를 받고 항공우주 영상 분석 엔지니어가 된 최명진 대표의 이야기를 ... ...
이전70717273747576777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