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체
육체
육신
인체
몸통
동체
바디
d라이브러리
"
몸
"(으)로 총 5,758건 검색되었습니다.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08
점점 더 고래를 닮아가고 있다.산란을 위해 뭍으로 오르기가 어려워지자 모사사우루스는
몸
속에 알을 낳아 새끼를 낳는 난태생으로 진화했다. 수중분만 중에 새끼가 익사하지 않도록 꼬리부터 낳았는데, 이 역시 오늘날의 고래와 같은 방식이다.백악기의 한니발 렉터약 7000만 년 전부터 6600만 년 ... ...
[지식] 열대과일의 비밀, 파인애플은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08
긴 나선은 파인애플을 거의 정확히 한 바퀴 돌고 있다는 것이지요. 만약 파인애플의
몸
통을 원기둥으로 생각한다면 옆면을 펼친 직사각형의 대각선이 하나의 긴 쪽 나선이 되고 옆면의 높이는 폭이 같은 나선 8개로 똑같이 나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파인애플 옆면의 둘레를 관찰해 볼까요? ... ...
바닷속 경주에서 만난 수중 고고학
과학동아
l
201508
‘명량’의 배경인 전남 해남군과 진도군 사이의 울돌목, 심청이가 공양미 300석을 위해
몸
을 던진 황해도 인당수, 김포의 손돌목과 더불어 태안의 안흥량이 4대 험로 중 하나기 때문이다. 태조 4년에 쓰여진 조선왕조실록엔 ‘조선(漕船) 16척이 안흥량에 이르러 바람을 만나 침몰했다’는 기록도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8
수축을 반복하면서 표면적이 늘어나면 수분이 더 빠르게 마르지요. 게다가 크기도 작아
몸
속에 저장할 수 있는 수분의 양이 적어요. 즉, 비올 때만 노래하는 것은 조금이라도 수분 손실을 줄이기 위한 청개구리의 생존 방식인 셈이에요.사실 동물이 노래하는 것은 에너지만 놓고 보면 굉장히 ... ...
[지식] 마지막 요리 모두의 맛, 미분과 적분 그리고 치킨
수학동아
l
201508
멸종했습니다. 그 빈 자리를 채운 건 레그혼, 뉴햄프셔 같은 외국 닭이었죠. 재래닭은
몸
에 근육이 많고 지방이 적어 튀기면 질겨집니다. 조상님들이 백숙처럼 물에 푹 삶아 먹는 방식을 택한 이유죠. 반면 기름기가 많은 외국닭은 튀기면 연하고 고소해집니다. 우리가 사랑하는 치킨의 ‘바로 그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08
“언니처럼 연고도 환경과 경험의 차이 때문이다. 하지만 일시적인 환경 조건이 어떻게
몸
과 성격, 취향을 바꿀까. 과학적으로 이야기하면 경험이 DNA의 ‘사용법’을 바꿔 놓은 것이다. 과학자들은 그 사용법을 후성유전학이라고 부른다.대학에서 운동을 시작한 서영 씨의 다리 근육은 산성화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08
겨울이 한번 지난 뒤에야
몸
짱프로젝트를 중지하고 생식생장으로 체제를 전환한다(자기
몸
불리기에 바쁘던 식물이 겨울의 찬바람을 맞고 고생을 하며 삶의 덧없음을 깨달은 것일지도 모른다). 식물학자들은 이런 식물의 겨울나기를 ‘춘화처리’라고 부르며 후성유전으로 설명한다. 한 예로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08
속을 떠다닌다면 세포는 DNA에 엉켜 제대로 작동을 할 수 없다. 이것을 막기 위해 우리
몸
은 마치 실패에 묶어 실을 보관하듯 히스톤이라는 단백질에 DNA를 칭칭 감아서 보관한다. 염기 150개당 히스톤 8개가 팽이 같은 구조를 이뤄 DNA를 압축해서 저장한다(위 그림 참조). 이 구조를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08
알 수 있었다. 편도체는 공포의 정서적 반응을 신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우리
몸
이 공포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신경신호를 중계하는 것이다.편도체의 이런 작용은 태어날 때부터 바로 생기는 것이 아니다. 우리는 자라면서 경험을 통해 특정 물체 및 상황에 대한 두려움을 학습하게 된다. 이를 ... ...
PART3. 어떤 관객을 공략해야 하는가
과학동아
l
201508
그 이유는 진화적인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공포의 대상을 보고 깜짝 놀라서
몸
을 피하는 것은 육아를 책임지던 여성이나 혹은 어린아이에겐 유리한 반응이다. 반면 맹수와 싸워서 가족을 지켜야 했던 남성에게는 불리한 반응이다. 이렇게 서로 다른 반응은 심리적인 성적 이형성(Sexual dimorphism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