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본
교재
교정
법률
법학통론
textbook
d라이브러리
"
교과서
"(으)로 총 859건 검색되었습니다.
살아있는 지질학
교과서
그랜드 캐년
과학동아
l
199203
찾을 수 없다. 또한 각종 침식지형이 잘 보존돼 있어 지질학과 지형학의 살아있는
교과서
라고 할 수 있다.그랜드 캐년의 기초를 구성하는 결정기반암은 40억년 이전에 이뤄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격심한 지각운동을 받아 심하게 뒤틀려 있다. 기반암의 윗부분에는 침식면이 뚜렷하며, 부정합을 ... ...
주남·낙동강하구 ·거제도연안 철새 탐사를 마치고
과학동아
l
199203
생각합니다.배광석 우리나라 과학교육은 경비지출을 억제하기 위해 교실에서
교과서
만 갖고 하도록 강요돼 왔습니다. 특히 조류에 관한 내용은 너무 빈약합니다. 이를 해결하는 방법으로는 우선 여러 분야에 걸쳐 다양한 책이 나와서 국민 모두가 관심을 갖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지금까지 우리의 ... ...
고정관념서 벗어나자
과학동아
l
199203
이는 사물을 보고 생각하는데 고정관념을 가지고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학교
교과서
내용은 그대로 실천해야 된다는 식의 사고를 말하며, 논리학이나 수학으로 대표되는 사고 방법이다.우리는 일반적으로 수직적 사고에 익숙해져 있다. 수직적 사고는 어떤 목표를 가지고 추진해 나갈 때는 ... ...
밤하늘은 천체교육의 산 교실
과학동아
l
199201
천문학자들은 학생 지도과정에서 천체관측에 점점 더 큰 비중을 할애하고 있고,
교과서
도 그러한 방향으로 개편돼 가고 있다. 이는 실험실습에 기반을 둔 과학 교육이 강조되는 현 시류와도 무관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앞으로는 입시 문제에서도 역시 '관측에 기반을 둔 천문학'문제의 출제 ... ...
'교사 목소리 담긴 정책이 아쉽다'
과학동아
l
199201
적합한 교사가 길러져야 하고 이미 현장에 있던 교사들은 몇년에 한번씩이더라도 바뀐
교과서
에 대한 준비를 할 수 있는 제도를 먼저 마련했어야 한다. 이런 준비는 적어도 십년은 걸리지 않을까? 아무리 바빠도 실을 바늘 허리에 매어 쓸 수 없지 않은가?이런 문제점은 하루아침에 쌓인 것이 아니고 ... ...
무정류자 모터 개발로 일어선「기술벤처」대표 정영춘
과학동아
l
199201
을 확인할 수 있다.그는 학교수업 수준을 뛰어넘는 문제에 궁금증이 생기면 대학
교과서
나 관련 전문서적들을 뜻이 통할 때까지 읽고 전파상아저씨로부터 대학교수까지 자신의 의문을 풀어줄 수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든 스스럼없이 매달려 조언을 구했다고 한다. 83년 그가 대학도 아닌 고등학교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12
알다시피 산소와 수소를 전기방전해 물을 만들려면 막대한 장치가 필요하다. 중학교
교과서
에는 그 원리를 담은 그림만 나와 있고, 과학대사전에 그려진 합성장치는 수만볼트(V)가 걸리는 유도코일을 갖춰야 한다.그러나 네 여학생은 수소와 산소가 혼합된 유리파이프 끝에 달린 철사 양끝을 ... ...
"땅은 윤회하지 않는다"
과학동아
l
199110
변형이 더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경우가 허다하다.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오랫동안 일반
교과서
에서 기본적인 이론으로 수용하고 있었던 지형의 윤회설이 최근 부정되고 있는 것은 극히 당연하다. 왜냐하면 지형윤회설은 지각운동이나 구조운동 화산운동 등 격변현상을 고려하지 않고 지형은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10
테란 어떤 물건의 둘레에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토성의 테라고 하는 것이 맞다. 이것은
교과서
에 조차 틀리게 표현돼 있다.용암과 마그마.용암이란 마그마가 지표로 흘러 나온 것만을 의미한다. 따라서 '지하깊은 곳에 있는 용암'이라는 식의 표현은 잘못된 것이다.프톨레마이오스 지구중심설 → ... ...
울릉도의 지형과 지질
과학동아
l
199109
주상절리를 보여주는 국수산과 해식동굴도 함께 보여주는 관음동굴은 주상절리의
교과서
같다는 것이 탐사단의 평가였다.사자바위와 투구봉 사이에서 발견한 하도(河道 channel structure)도 탐사단을 흥분시키는 수확이었다. 육지의 퇴적암층에서는 흔히 발견되는 하도지만 화산섬인 울릉도에서는 ... ...
이전
70
71
72
73
74
75
76
77
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