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뉴스
"
데이터
"(으)로 총 8,460건 검색되었습니다.
[저격! 인터넷 신조어] 비겁하게 팩트로 승부하다니
2016.11.11
큼직한 사실은 '팩트리어트 미사일' 등으로 불린다. [생활 속 한마디] A: 최근 몇년 간
데이터
를 봤을 때 한화가 최강의 야구팀이라고 보긴 힘들죠. B: 비겁하게 팩트를 사용하다니! 정정당당하게 날조와 선동으로 승부하자 ... ...
IT는 장애인에 얼마나 친절한가
2016.11.09
기능이 하나도 작동하지 않다 보니 혼자서는 아무 것도 할 수 없게 된 것이지요. 지도
데이터
반출에 대한 논란이 끊이지 않지만 우리는 이런 부분도 고민의 중심에 넣어야 할 겁니다. 스마트폰은 누군가에게 눈이 되어주기도 하고, 귀가 되어주기도 합니다. 컴퓨터 화면을 통해서 세상을 들여다볼 ... ...
사람의 뇌 흉내 낸 최초의 기계장치!
과학동아
l
2016.11.09
더미스 프로드로마키스 교수는 “나노크기의 멤리스터를 통해 신경회로의 빅
데이터
를 실시간으로 관리하고 공식화할 것”이라며 “뇌를 이해하는 기술적인 패러다임 자체를 바꿀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네이처 커뮤니케이션’ 10월 7일자에 발표됐다 ... ...
의사처럼 정확하게 혈압 재는 인공지능(AI) 나왔다
2016.11.08
사실상 85명의 혈압정보를 8500개로 늘려 컴퓨터에게 학습시킨 것이다. 윤리 문제로 많은
데이터
를 수집하기 어려운 생체신호 수집에 매우 유용한 방법이라는게 연구진의 설명이다. 장 교수는 “딥러닝 기술을 혈압 측정 분야에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며 “고혈압의 사전 징후를 ... ...
표범의 추억
2016.11.08
추가로 야생 아무르표범(한반도 북쪽 러시아 땅에서 잡은 거다) 두 개체의 게놈을 분석해
데이터
를 보완했다고 한다. 그 뒤 추가로 두 개체의 게놈을 더 분석했다. 국내 매체에서는 주로 한국표범 복원에 초점을 맞췄지만 막상 논문은 표범 게놈 해독을 계기로 식성이 동물의 진화에 미치는 영향을 ... ...
[과학기자의 문화산책]달 기지 영상, 생중계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달 탐사선 ‘레이디(LADEE)’에서 지구 관측소로 초당 최대 78MB(메가바이트)에 이르는
데이터
를 레이저로 쏘아 보내는 데 성공했다. 5분이면 2GB(기가바이트) 영화 한 편을 보낼 수 있는 속도다. 전파가 아닌 빛(레이저)이 더 효과가 좋은 이유는 주파수가 높아서 넓은 대역을 확보하기 유리하기 ... ...
통계적 가설 검정과 입증의 책임
2016.11.06
도입되어 일부 성공 사례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사람을 대상으로 해서 얻어지는 관찰
데이터
의 특성상 엄격한 의미에서의 통제된 실험은 불가능하므로 어떠한 정책으로 인해 인과관계를 입증하기는 어려운 것도 사실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어려움을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이 최근 많이 ... ...
1만 년 전 털매머드, 자연유산으로 깨어나다
동아사이언스
l
2016.11.06
같아요. 임종덕 박사님은 “곧 3D 프린터가 센터에 들어오게 된다”며 “이제 현지 스캔
데이터
만 받으면 이곳에서 직접 표본을 만들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답니다. 이렇게 지구에서 발견되는 화석을 다양하게 연구하는 학문을 고생물학이라고 해요. 지금은 찾아볼 수 없는, 수만 년 전에 살았던 ... ...
[퀴즈] 겨울에 진짜로 겨울잠 자는 동물은?
2016.11.05
활동을 측정하는 장치도 함께 부착해 관찰했습니다. 그 후 이들 장치를 통해 모아진
데이터
를 분석한 결과, 쥐여우원숭이가 다른 대부분의 영장류들과는 다르게 동면 중 REM 상태로 측정되는 실제 수면 상태로 들어간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실제 수면 상태는 쥐여우원숭이가 주로 동면을 ... ...
서울 지하철에서 기가급 인터넷을 쓰게될까?
포커스뉴스
l
2016.11.04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이 올해 1월에 기존 10Mbps 수준의 와이브로(WiBro) 기반 백홀 보다
데이터
전송속도가 100배 이상 빠른 이동무선백홀(MHN:Mobile Hotspot Network) 기술을 개발하여 8호선 일부 구간에서 시험성공해 상용화에는 무리가 없는 상황이다. 이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 ‘MHN 이동무선 백홀 ... ...
이전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7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