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문
과제
퀴즈
물음
수수께끼
제목
목표
d라이브러리
"
문제
"(으)로 총 13,165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일러 앞지른 최석정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2006년 출간됐다.오일러는 6차 직교라틴방진이 없음을 부대와 계급이 서로 다른 장교 배치
문제
로 설명했다. 5개 부대(색)에서 계급이 다른 장교 5명 총 25명을 가로 세로 5줄로 세워서 어떤 줄에서도 부대와 계급이 다르게 배치할 수 있지만(왼쪽) 6개 부대에서 계급이 다른 장교 6명 총 36명은 이렇게 ... ...
무관심 속에 파고든 A형간염 주의보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노출돼도 걱정이 없다.그러나 어린 시절에 A형간염에 노출된 적이 없는 성인이
문제
다. 이들은 A형간염 바이러스를 막아 낼‘방패’가 없다. 1999년 고려대 의대 내과학교실 연종은 교수팀은 대한간학회지에 연령별 A형간염 항체보유율을 발표했다. 10~20대의 20%와 20~30대의 절반이 항체를 갖고 있지 ... ...
바닷물 온도로 태풍 강도 예측한다
과학동아
l
2008년 08호
있을 전망이다.강 박사는 “태풍과 해양의 관계에 관한 관측 자료가 빈약한 것이 가장 큰
문제
”라며 “5년 안에 연구단이 개발한 해양모델을 바탕으로 태풍예측모델을 개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 ...
우주도 식후경, 잘 먹겠습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8호
혈액이 상체에 몰려 얼굴과 목이 붓고 냄새와 미각이 둔해져 입맛을 잃게 되는 것이
문제
야. 이 때문에 한국의 우주식품이 우주인들에게 인기가 있을 거래. 지구에선 맵다고 느껴졌던 음식이 우주에 가면 맵지 않고 적당하게 느껴진다니까 말이야. 매콤한 우리 김치와 고추장이우주인들에게 인기 ... ...
미래로 씽씽~! 첨단 자동차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07호
파악한다. 운전자가 우울해 하면 위로나 격려의 말을 건넬 수도 있다. 물 속에서도
문제
없다!스위스의 린스피드는 잠수함처럼 물 속에서도 움직일 수 있는 자동차를 만들었다. 리튬이온 전지를 사용한 전기모터로 땅에서는 시속 120㎞까지 달릴 수 있다. 물 속에 들어가면 스크류를 이용해 시속 ... ...
메타물질로 소음 잡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음파탐지기에 걸리지 않는 ‘스텔스 잠수함’이 가능할까. 스페인 발렌시아 폴리테크닉대 다니엘 토렌트 박사팀은 메타물질을 이용해 ... 사실도 알아냈다.토렌트 박사는 “메타물질을 얇게 만드는 일이 중요하다”며 “이
문제
만 해결하면 ‘스텔스 잠수함’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영혼을 잃고 헤매는 가엾은 육체의 광시곡 바디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기록하고 저장한 뒤 회상하는 세 과정으로 이뤄진다. 이 세 과정 중 어느 한 단계에
문제
가 생기면 기억장애가 생길 수 있다. 영화에서처럼 무의식적인 기억은 기억이 뇌에 저장되지만 회상은 되지 않는 상황을 말한다.최면치료 옹호자들은 최면으로 무의식적인 기억을 되살릴 수 있다고 주장하고, ... ...
2. '앨리스'의 이상한 나라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전달된다. 결국 물질의 질량은 쿼크와 글루온의 상호작용으로 만들어지는 셈이다.
문제
는 쿼크와 글루온이 양성자와 중성자 안에 갇혀 산다는 것. 게다가 이들은 경험적인 상식과 달리 거리가 멀수록 서로 당기는 힘이 커진다.이 때문에 양성자나 중성자 안에 있는 쿼크를 떼어내기가 매우 힘들다 ... ...
3. 기네스 기록 도전하는 LHC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대표작이다. 태양광은 환경친화적이고 사용할 수 있는 양이 무한하며 가격은 공짜다.
문제
는 집광판의 효율이 떨어져 현재 1m2당 900W 수준에 그친다는 것. 중부유럽에서는 집광판 한 개가 태양광을 모으는 능력이 50% 정도며, 이마저도 대류나 마찰로 잃는 양이 많다.여기에 LHC에서 양성자와 공기 ... ...
벌레가 먹는 버섯이라고 식용은 아니다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산행을 하며 숲속에 자라는 야생 독버섯과 만날 수 있는 기회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
문제
는 대다수가 독버섯과 식용버섯을 구별할 능력이 없어 독버섯 중독사고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돼 있다는 사실이다. 심지어 식용버섯과 독버섯을 구별하는 방법을 잘못 알고 있는 경우도 있다. 색깔이 ... ...
이전
744
745
746
747
748
749
750
751
75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