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d라이브러리
"
진
"(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영상의 마법사 MRI 고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컴퓨터를 사용하는 CT 스캐너를 완성해 인체의 단층 촬영이 가능하게 됐다.의료영상
진
단에서 CT와 쌍벽을 이루는 자기공명영상촬영장치(MRI)가 개발되기까지 여러 사람의 개척자들이 있었다. 가장 대표적으로 1946년 미국의 물리학자 펠릭스 블로흐와 에드워드 퍼셀에 의해 핵자기공명(NMR) 현상이 ... ...
몸속 1㎏ 미생물이 우리 몸 지킨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했다. 식물은 이 생명체가
진
화해 나타났다.마굴리스는 인간을 비롯한
진
핵세포로 이뤄
진
생명체들도 결국 미생물들의 공생이 기원이라고 주장했다. 그 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가 세포핵과는 별개의 독자적인 DNA를 갖고 있으며 필요한 단백질을 스스로 만든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그리고 이들 ... ...
채워지지 않는 전설의 술잔 만들기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않는 물■ 왜 그럴까?!▶▶▶ 가득 찬 물에 클립을 띄워도 왜 넘치지 않을까?철로 만들어
진
클립을 떨어뜨리면 밀도가 물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물에 가라앉는다. 그러나 수평으로 가만히 놓으면 수면에 뜬다. 물분자들 사이에는 서로 잡아당기는 힘인 응집력이 작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그릇에 ... ...
“우주는 12면체로 이뤄
진
축구공” 주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프로젝트 통해 우주 구조 밝혀천문학계의 뜨거운 반응에도 불구하고 한편에선 이견을 가
진
연구자들의 목소리도 불거져 나오고 있다. 이들은 위크스 연구팀의 관측 결과가 매우 유력한 모델이 될 수는 있겠지만 이를 확신할 만한 구체적인 정보들이 포착되지 않았다고 주장한다.이런 비판에도 ... ...
북쪽하늘 모범생 은하 M33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수는 시간당 20개에도 미치지 못할 것이다. 이제부터는 다른 유성우에 비해 그리 두드러
진
점도 없다.그러나 올해는 유성 연구의 입장에서 본다면 대단히 중요한 한해가 될 전망이다. 작년까지 있었던 유성우의 영향이 올해부터 바로 평년수준으로 돌아갈 것인지 아니면 좀더 영향을 받을 것인지 ... ...
1 우주로 가는 중국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달리 최대한 효율적으로 발전하기 위해 회전이 가능하다. 중심축선상에는 로켓엔
진
이 있어 회전(Roll)과 도킹을 위한 기동이 가능하다.선저우를 발사한 발사체는 창정(CZ)-2F로서 기존의 CZ-2E를 개량한 것이다. CZ-2F는 3단형이며, 연료는 중국 발사체가 주로 사용하는 상온보관이 가능한 액체의 혼합체(N ... ...
디지털 촉감시대 열린다 햅틱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오늘날 우리의 눈과 귀는 정보의 과잉에 시달리고 있다. 반면 관심밖으로 던져
진
촉각. 그 결과 현대인들은 접촉 결핍증을 앓고있다. 21세기, 새롭게 무장한 디지털 기술이 촉감을 재현하기 위해 나섰다. 삶의 체험을 다채롭게 할 놀라운 인공촉감, 햅틱스의 세계로 들어가보자. ...
1 21세기, 촉각을 재발견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따라서 촉각정보를 재현해주는 햅틱스(haptics) 분야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진
행되고 있다.한국표준과학연구원 김종호 박사는 “시청각정보가 아무리 완벽하게 재생되더라도 실제 상황의 70%정도만을 전달할 수 있을 뿐”이라며 “여기에 촉각정보가 더해져 85-90%의 정보가 전달되면 생생한 ... ...
진
화는 1백m 경주인가 넓이뛰기인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드는군요. 오늘처럼 비유가 많이 등장한 토론회도 아마 없을 것 같습니다. 내일은
진
화와
진
보의 관계에 대한 주제가 토론상에 올려집니다. 기대해주십시오. 감사합니다 ... ...
어린 시절 꿈을 간직한 안드로메다은하
과학동아
l
2003년 10호
남쪽하늘 중앙에 올라온다. 10월 22일에는 겨울의 왕자인 오리온자리에서 유성들이 쏟아
진
다.오리온자리 유성우는 유명한 핼리혜성을 그 모혜성으로 하고 있다. 즉 핼리혜성에서 떨어져 나온 먼지조각들이 유성우의 근원이 된다.오리온자리 유성우는 그 관측 역사 또한 대단히 오래됐다. 최초의 ... ...
이전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