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에 검은 반점 남기는 수성의 일면통과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목성이지만 밝기는 그래도 금성이 훨씬 밝다. 망원경 시야내에서 커다란 목성보다
작은
금성이 더 밝게 빛나고 있는 것이 신비스럽게 느껴질지도 모른다.■ 해왕성과 천왕성의 최접근해왕성과 천왕성이 이달 1일에 최접근하여 1도 6분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게 된다. 즉 두 행성의 시야상에서 ... ...
화학- 기름·물 모두 친한 알칼리대명사 비누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후 이 입자는 폭음과 불꽃을 내며 연소됐다. 그는 수차례의 실험으로 음극에서 생기는
작은
입자를 모았다. 수산화칼륨이 촉촉하게 수분을 머금게 되면 전기 전도성이 좋아지고 칼륨이온이 음극으로 끌려와 금속으로 환원되므로 금속 칼륨을 환원시키는 것에 성공한 것이다(그림 1).그는 이렇게 얻은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의해 예언되었다. 그가처음 계산해낸 중성자별의 반경은 약 10㎞정도. 서울시보다 약간
작은
크기다. 아니면 생텍쥐페리의 동화 '어린왕자'가 살던 별 크기라면 별로 큰 무리가 없다. 동화속 어린왕자처럼 누구나 앉아있는 의자를 뒷쪽으로 얼마간 움직여 석양을 볼 수 있는 크기인 것이다.조셀린 ... ...
흰꽃송이 반쪽만 물들이기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계속해서 물을 빨아들여 줄기를 통해 잎으로 보내는데, 이 물의 대부분은 잎에 있는
작은
구멍인 기공을 통해 증발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증산(蒸散)이라고 부르지요. 이때 물은 꽃의 줄기를 타고 올라가면서 색소와 같은 다른 물질을 또한 운반할 수 있어요. 올라간 물은 꽃잎으로부터 증발하는데, ... ...
경전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차량 편성과 짧은 배차간격으로 승객에게 최대의 편의를 줄 수 있게 설계되고 있다.
작은
것이 특징기존 도시전철의 차량폭은 3m 정도인데 비하여 경전철의 경우는 2.5m 정도가 일반적이며 길이도 이와 유사한 비례로 축소돼 차량의 전체적인 부피와 무게가 절반 내외로 작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 ...
꽃가루의 힘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보다 원시적인 소철류로 보이는 자미아 푸밀라의 커다란 수술에 있는 꽃가루는 아주
작은
껍질들로 보호되고 있는데, 이 껍질이 열리면서 온도는 정확히 5℃ 증가한다고 한다. 풍뎅이는 수술이 가지는 온기와 향기 그리고 즙액에 유혹당해 이끌려 들어온다. 꽃가루를 뒤집어 쓴 풍뎅이가 암술로 갈 ... ...
별들의 탄생과 죽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별들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떤 일생을 거쳐 종말을 맞는가. 태양보다
작은
별들은 조용히 사라지지만 거대질량을 가진 별들은 초신성 폭발 후 중성자별을 남기기도 하고 빛조차 탈출할 수 없는 블랙홀을 만들기도 한다. 별들의 일생을 통해 영겁의 우주드라마를 추적해보자.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올라갈 수 없으므로 수소만 태우면서 일생을 끝마친다(그림2).질량이 태양의 약 0.1배보다
작은
별은 중심부의 온도가 1천만도에 이르지 못하므로 수소도 태울 수 없다. 그래서 이들은 스스로 빛을 내는 별이 되지 못한다. 태양의 남은 수명 50억년태양은 현재 중심부에서 수소를 태우면서 안정된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거리는 가까운 것이 1광년이나 된다. 따라서 별끼리 충돌하는 일은 좀처럼 없다. 그러나
작은
망원경으로는 낱낱이 별을 분간할 수 없고 하나의 성운처럼 보이기도 한다.헤르쿨레스자리의 M13과 같이 큰 성단도 구경 15㎝ 이상의 망원경이 아니면 별을 분간해낼 수 없다. 구상성단은 은하계를 둘러싸듯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수학의 왕자 가우스도 오일러와는 별도로 a+b$\sqrt{-3}$(a, b는 정수)을이용해 증명했다.n이
작은
수라고 해서 반드시 쉬운 것은아니다. n=3의 경우는 n=4일 때의 증명보다 훨씬 어렵다. 최근까지는 n이 125080이하의 모든 n에 대해서 증명이 완료됐다. 그간의 증명의 역사는 대략 다음과 같다.n=3, 오일러(Euler, ... ...
이전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75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