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상
진상
실제
진실
실태
현실
진리
d라이브러리
"
사실
"(으)로 총 14,202건 검색되었습니다.
볼펜 한 자루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888년 첫 특허가 출원된 지 55년 뒤에야 상업화에 성공한 제품은? 바로 볼펜이다. 지금은 한 사람이 보통 대여섯 자루는 갖고 있고 책상 서랍을 ... 또 그만큼 높은 수준의 정밀도가 필요하기 때문에 불량률도 높다. 지름 0.25mm 볼펜이
사실
상 국내에서 가장 가늘게 쓸 수 있는 볼펜인 이유다 ... ...
탄생 130주년 따스한 백열전구 역사 속으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늘 좋은 일만 있었던 것은 아니다. 특히 에디슨은 특허 침해 소송에 많이 휘말렸다.
사실
백열전구는 에디슨의 단독 발명품은 아니었다. 에디슨은 탄소 필라멘트가 들어간 진공 유리에 구리 봉인을 한 백열전구에 대해 특허를 받았는데, 여기에 들어간 요소 기술들은 각각 발명한 사람이 따로 있었기 ... ...
분자로 비휘발성메모리 구현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분자의 양쪽에 붙인 사슬의 길이를 길게 할수록 메모리를 유지하는 시간이 길어진다는
사실
을 발견했다. 이런 현상에 깔린 메커니즘을 이해하면 비휘발성이 향상된 분자메모리 소자를 설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분자메모리의 가장 큰 장점은 엄청난 양의 데이터를 작은 부피 안에 담을 수 ... ...
지구온난화 주범 이산화탄소 붙잡아 가두려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탄산염(CO32-) 형태로 붙잡는 수산화기(OH-)를 포함한 화학물질을 이용한다. 재밌는
사실
은 랙커교수가 딸에게서 에어 스크러버에 대한 아이디어를 얻었다는 점이다. 1999년 당시 고등학생이던 딸이 학교 과학 경시대회 프로젝트에 제출하기 위해 에어 스크러버를 고안했고 이에 대해 아버지에게 조언을 ... ...
대변의 솔직한 자기소개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1997년 영국 브리스톨대 케네스 히튼 박사는 우리가 장 안에 오래 있을수록 단단해진다는
사실
을 고려해 우리 7형제(브리스톨 대변형태 척도)를 굳기와 형태에 따라 분류해‘스칸디나비아 위장병학 저널’에 발표했다.우리 집에서 가장 오래 버틴 터줏대감 첫째 형은 키가 호두알처럼 짤막한데다 ... ...
차세대 나노소자용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Mn2+)을 끼워 넣어 핵 형성 과정을 화학적으로 제어하면 효율적으로 도핑할 수 있다는
사실
을 알아냈다. 현 교수팀의 실험 결과 도핑 효율이 10%로 높아졌다.망간 이온으로 도핑된 카드뮴 셀레나이드 핵입자는 서로 달라붙으면서 두께가 나노미터 단위인 나노리본을 만들었다. 나노리본은 차세대 ... ...
초고층 빌딩엔 초고속 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상태와 교통량을 파악한다. 고장이 발생하면 엘리베이터 설비를 담당하는 기관에 그
사실
을 알리고, 고장의 원인을 분석해 기록하는 작업도 모두 상황실에서 이뤄지고 있다. 상황실에서는 엘리베이터 안에 갇힌 승객을 원격으로 구출하는 시스템도 구축하고 있다. 승객이 비상버튼을 누르면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사이에 잠깐 동안 빈 화면을 보여주면 대부분의 사람들은 두 그림에 차이가 있다는
사실
을 알아채지 못한다. 이런 현상은 느린 변화에도 적용된다. 어떤 그림에서 핵심적인 부분을 바꿔 아주 천천히 보여주면 우리 눈은 이를 눈치채지 못한다. 심지어 사람이 전혀 다른 사람으로 바뀌는데도 그렇다. ... ...
무요일(無曜日)의 달력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이 세계력에는 하나 거슬리는 점이 있는데, 1월, 4월, 7월, 11월의 13일이 항상 금요일란
사실
이다. 13일의 금요일이 지금 달력보다 두 배 정도 많아지는 셈이다. 현재 세계력 협회는 2012년부터 세계력을 시작하자는 캠페인을 펼치고 있다. 이 주장이 힘을 얻으려면 손을 봐야 할 부분이다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상황과 장소에 따라 눈살을 찌푸리게 하는 악취가 입맛을 당기는 향기가 될 수도 있다는
사실
이 재밌지 않은가. 이태원 교사는 서울대 대학원에서 세포생물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으며, 우리나라 전통 문헌에 나타난 과학 관련 내용에 관심이 많다. 저서로 조선 후기 학자 정약전의 어류학서 ... ...
이전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