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학교
칼리지
전문대학
유니버시티
대
단과대학
연구소
d라이브러리
"
대학
"(으)로 총 10,409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무인기 기술개발사업단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단장은 지난 5월 스마트무인기 개발사업단의 총책임자로 선정됐다. 프랑스 뚤루즈 제3
대학
에서 항공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항공기술 분야의 연구를 주도하며 1994년부터는 중형항공기 개발사업에도 참여했다.최근에는 무인기 관련연구와 인연을 맺고 있다. 1999년 ... ...
1. 과학적 안목 가진 지도자가 세계 이끈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안될 정도로 과학기술이 대통령 선거에서 강조되는 까닭은 무엇일까.미 하버드대 전 행정
대학
원장 돈 프라이스에 따르면 미국인은 민주주의와 과학의 결합을 통해 인간이 진정한 진보를 이를 수 있다고 믿어왔기 때문이다. 덕분에 대통령 후보는 자신이 얼마나 과학기술에 관심을 갖고 있는지, ... ...
바이오 인포매틱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기업과 연구원에서는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인력을 확보하는데 분주하다.
대학
이나
대학
원에서는 바이오인포매틱스 관련 학과나 교육 과정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또 과학기술부는 바이오인포매틱스가 생명공학계의 핫이슈로 떠오르자 정보통신부와 손을 잡고 생명공학육성법 개정에 나섰다. 2 ... ...
유럽의 화성 탐사 계획(2003년 6월 발사 예정)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기술자 사진용 인화지 벨록스, 합성수지 베이클라이트의 발명으로 유명하다 21세 때 겐드
대학
에서 학위를 취득하고 가르쳤다 1889년 미국의 초청을 받아 사진필름 인화지 제조회사에서 2년 동안 연구했다 작은 온도 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하는 수은온도계 독일의 화학자 E O 베크만이 ... ...
독감과 싸우는 약품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화학적 동일성을 증명했다(1796)1884~1971 스웨덴의 생물불리 화학자 발보 태생 웁살라
대학
을 졸업하고 모교에서 연구를 계속했으며, 1912년에는 교수가 되었다 자기장 속을 운동하는 하전입자의 각 운동량 벡터는 자기장 방향의 성분이 특정하게 불연속적인 값을 갖도록 방향을 잡는다는 방향양자화를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생물정보학 협동과정 천종식 교수는
대학
원과정에서 우수한 인력 양성에 힘쓰고 있다.
대학
시절부터 컴퓨터계산생물학에 빠져들었던 그가 요즘 주로 하는 연구는 생명체의 진화를 밝히는 일이다. 이를 위해 바이오인포매틱스 방법으로 바이러스, 세균 등 여러 생명체의 게놈서열울 분석·비교해 ... ...
펭귄과 친구 된 남극월동대장 장순근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안변 출생1969년 서울대 지질학과 졸업1975년 서울대 지질학과 석사1980년 프랑스 보르도1
대학
지질학 박사1984년-1985년 미국 캘리포니아대 연수1980년-현재 한국해양연구원 근무(현재 책임연구원)1988년-1989년 남극 세종기지 1차 월동대장1990년-1992년 남극 세종기지 4차 월동대장1994년-1995년 남극 세종기기 ... ...
한국인 게놈 연구 전도사 유향숙 단장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그래서인지 기자들에게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연구결과를 소개할 때에도 마치
대학
강의를 하듯 설명에 공을 들인다. 아무렇게나 묻지 말고 정확하게 이야기하자는 것이다. 10년 뒤 그동안의 연구과정을 소개하면서 늘 하듯 정확한 표현으로 위암, 간암을 극복할 신약 물질을 찾았다고 ... ...
위기의 이공계, 과학교육으로 살린다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었다.심포지엄에 참석한 강태욱 교사(고려
대학
교 사범
대학
부속고등학교)는 “그저 막연히 느끼며 위기감으로 불안해 하던, 그러면서도 한편으로는 무덤덤하게 관심의 영역 밖으로 치부했던 이공계의 현실에 대해 통찰할 수 있는 기회였다”고 말했다.심포지엄에서 ... ...
소똥을 사랑한 복제동물의 아버지 황우석
과학동아
l
2002년 11호
먹구름이 꼈다. 박사 학위를 받은 뒤 서울대에 교수로 채용될 예정이었지만 뜻하지 않은
대학
내 갈등으로 그는 졸지에 실업자가 됐다. 실망한 황 교수는 일본 훗카이도대에 연구원으로 떠났다.인생은 새옹지마라는 말이 맞았다. 그는 일본에서 인공 수정 기술을 익혔다. 이 경험이 훗날 복제소를 ... ...
이전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74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