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님
까까중
승려
사주
사승
스페셜
"
중
"(으)로 총 8,737건 검색되었습니다.
[Science토크] 우주를 향한 ‘골드러시’…과학자들 “태양계를 국립공원처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위한 발사가 10년에 15차례 이뤄졌다”며 “이 속도라면 태양계 전체 채굴 가능한 천체
중
200군데 정도를 한번씩 탐사하는 데 약 130년이 걸릴 것”이라고 밝혔다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다닌다. 과학자가 되는 새로운 방식의 플랫폼, 타운랩을 준비
중
이다. 최근 초파리 유전학자가 바라보는 사회에 대한 책 《플라이룸》을 썼다 ... ...
방사선과 근적외선 융합 촬영기술로 유방암 검진율 100%로 올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성과도 얻었다. 유방암진단기기 제조업체 디알텍에 기술이전되어 현재 상품화를 준비
중
이다. 최 연구원은 “적은 임상시험군이지만 검진율 100%는 의미있는 연구결과”라고 말했다. 임상시험을 담당했던 김학희 서울아산병원 교수는 “제한된 범위의 임상시험 결과이지만 예상보다 훨씬 ... ...
전자담배 유해성 논란 속 한국 상륙 앞둔 '쥴'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흡연량을 눈으로 확인하고 스스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을 베타버전으로 실험
중
”이라고 밝혔다. 기자간담회장에서 공개된 쥴 디바이스와 쥴 팟의 모습이다. 고재원 기자 jawon1212@donga.com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12) 게임 만들어 보기
2019.05.22
궁금하여 화면을 확인했다. 점프하며 장애물 피하는 단순한 게임이다. 수많은 공유 코드
중
에 어떻게 게임을 골라 찾았는지 모르겠지만, 캐릭터를 조종하는 아이의 표정에서는 제법 진지함까지 느껴졌다. 그래, 게임이 먼저다. 30여년 전 필자의 모습이 다시 생각나는 밤이었다. 도움자료 1) 14~18일 ... ...
치매·정신질환 완치의 길 여는 '100번째 뇌'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뇌자원을 분양했다. 다만 사후 뇌자원은 아직 협력병원 뇌은행과의 공동연구로만 분양
중
이다. 한국뇌은행은 2022년까지 사후 시신뇌자원 기증자 200증례, 생전 인체뇌자원 기증자 1800증례를 확보하는 한편 한국인의 생애전주기에 걸친 뇌질환 조기진단과 치료법 연구를 위해 연구자 맞춤형 ... ...
'진단의학 전문의보다 더 정확하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2
하나다. 릴리 펭 구글 AI 프로덕트 매니저는 컨퍼런스에서 “방사선과 의사 6명
중
5명이 놓친 폐 속 조그만 이상까지도 발견했다”며 “폐암은 1년 이른 발견으로 생존률을 최대 40%까지 늘릴 수 있다”고 말했다. 구글은 딥러닝 기법을 활용해 AI를 다양한 병 진단에 활용하고 있다. 펭 매니저는 ... ...
[2019 ICAN]“지금은 기술이 뇌 연구의 과학적 발전 이끄는 시대”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대표적이다. 치매와 파킨슨병 등 퇴행성 뇌질환과 뇌전증을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연구
중
이며, 이 연구 성과를 바탕으로 스타트업(초기창업기업) ‘엘비스(LVIS)’를 2015년 6월 창업하고 인공지능 기반의 뇌전증 분석 소프트웨어 ‘뉴로매치’를 개발해 왔다. 엘비스는 올해 케이비인베스트먼트, ... ...
빅데이터 지금보다 4배 빨리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1
대의 컴퓨터에 분산해 저장하거나 처리한다. 현재 관계형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기술
중
가장 뛰어난 것은 '아파치 스파크 SQL’다. 하지만 이 기술로 데이터를 처리하려면 컴퓨터 여러 대를 네트워크로 연결해야 한다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김민수 교수팀은 네트워크 통신 없이도 관계형 ... ...
공포치료·시공간 정보처리 과정 밝힌 신경공학, 뇌 연구 혁신 이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도구가 필요한 이유다. 이진형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뇌 관련 학회지만, 참가자들
중
에는 공학자들이 많다. 전자공학이 전공인 이 교수는 뇌의 부위별 활성도를 측정하는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에 광유전학을 결합해 자극에 대한 반응을 실시간 관측할 수 있는 광유전학fMRI(ofMRI)를 소개했다. ... ...
이전
740
741
742
743
744
745
746
747
74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