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직업
업무
사건
노동
작업
임무
일거리
d라이브러리
"
일
"(으)로 총 20,67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뉴스] 세계 인구 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존 윌모스는 현재 약 73억 명인 세계인구가 2100년에는 약 112억 명이 된다는 결과를 8월 10
일
미국 시애틀에서 열린 ‘2015 연합통계학회’에서 발표했습니다. 윌모스는 세계인구증가의 원동력은 아프리카 대륙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현재 약 12억 명인 아프리카 대륙의 인구는 21세기 말에는 최대 약 56억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산업 문제 해결하는 헌터가 떴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8월 17
일
한국과학기술회관에서는 ‘산업수학 문제헌터 발대식’이 열렸습니다. 산업수학 문제헌터란 산업 현장에서 발생하는 문제 가운데 수학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 연구하는 학자를 말해요. 이날 행사에서는 수학을 산업에서 활용하는 방안을 연구하는 국내 수학자들이 그 필요성을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세가 되었을 때는 오로지 이 성당의 건설과 미래에 건설해야 할 부분의 계획을 위해 남은
일
생을 바칠 결심을 했다. 그 뒤로 14년 동안 성당의 파사드 부분을 완성했다. 또 가우디는 ‘신은 서두르지 않는’며 본인이 죽은 이후에도 건설이 멈추지 않도록 수없이 많은 도면과 모형을 남겼다. 이를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바뀐 성조기에는 오목 육각형 별이 아닌 오목 오각형 별이 있다고 한다.몇몇 사람들은 이
일
화가 꾸며낸 이야기라고 주장하지만, 실제 미국 필라델피아에 있는 베치 로스의 집을 방문하면 직접 종이를 접어 한 번만 자르기로 오목 오각형을 만들어 볼 수 있는 체험 코너가 있다. 기리가미는 이처럼 ... ...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몰라요. 근정전을 근정문에서 너무 멀지도 가깝지도 않은 곳에 지은 것도 금강비 때문
일
지도 모르죠. 이 금강비는 조상들의 오랜 경험과 관습에 의해 이어져 내려온 가장 아름다운 비례라고 여겨지고 있어요.경복궁을 즐기는 또 다른 방법! 겨울을 제외한 봄, 여름, 가을에는 한시적으로 ... ...
[Knowledge] 외야 펜스의 담쟁이덩굴이 외야수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대결은 반영할 수 없다는 것이다. 예컨대 올해 KBO 리그에서 팀 평균자책점 1위(8월 10
일
기준)는 NC 다이노스인데, NC 타자들은 이렇게 뛰어난 자기 팀 투수들과 대결하지 않는다. 만약 이들이 같은 팀 투수들과 대결을 했다면 지금보다 성적이 떨어졌을 가능성도 있다. 반대로 잘치는 팀 투수들은 같은 ... ...
[Knowledge] SF가 사랑한 이름,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우주여행 방법 말이다. 역으로 웜홀이나 다중우주와 같은 SF의 단골소재는 물리학자들이
일
반상대성이론의 연구주제를 택할 때 좋은 영향을 주기도 한다. SF는 과학과 서로 도움을 주고 받으며 동행하고 있다. 올 가을엔 위에서 소개한 영화나 소설을 한 편 잡아보자. 새로운 세계를 맛볼 수 있을 ... ...
[Knowledge] 예술의 경지에 이른 변장술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다녔다. 그래서 스칼렛왕뱀은 산호뱀의 줄무늬를 대충 따라만 해도 천적들을 쉽게 속
일
수 있었다. 하지만 산호뱀이 사라지자 스칼렛왕뱀은 산호뱀의 무늬를 대충 따라 해서는 천적을 속이기 어려워졌다. 때문에 스칼렛왕뱀은 보다 완벽한 산호뱀의 모습을 재현하기 위해 몸집과 무늬를 바꾸게 ... ...
[Knowledge] 괜찮아, 지나간
일
이야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우리의 삶은 후회 투성이다. ‘내가 그때 왜 그랬을까’, ‘만약 다른 선택을 했으면 어땠을까’라며 이불을 차는 순간들이 꼭 있다. SNS에 ... 인한 부상을 방지하는 마음의 낙법이 되어줄 것이다. 잘 넘어진 뒤에 툴툴 털고 다시
일
어나 앞으로 나아가면 전보다 조금 덜 넘어지게 되지 않을까 ... ...
천재 곤충학자 ‘파보니 벌레리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9호
파보니 벌레리나는 가방에서 샌드위치를 꺼내 주며 말했다.“앞으로 곤충랜드에서 무슨
일
이 생길지 모르니 배를 든든히 채워야 해요. 그래서 곤충랜드 관람객을 위한 특별 간식! 정사각형 샌드위치를 준비했습니다. 단! 그냥 먹을 순 없어요. 이렇게 네 조각으로 잘라진 샌드위치를 다시 배열해서 ... ...
이전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74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