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마귀
사항
얼룩
닷
포인트
지점
간반
d라이브러리
"
점
"(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산모 음식이 자식 유전자의 기능 바꾼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변화로 인한 메틸화는 염기서열을 바꾸지 않더라도 유전자의 기능을 변화시킨다는
점
에서 전혀 새로운 생물학의 출발을 예고하고 있다”고 말한다.아마도 먼 미래에는 아이의 유전적 성향을‘업그레이드’하기 위해 임신 중에 꼭 먹어야할 식단표가 만들어질지도 모른다 ... ...
고등학생 영어로 물리난제풀이 경합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훈련이 쉽지않고, 장기간 문제해결에 집중해야 한다는
점
이 실제 교육에서 어려운
점
으로 남아 있다.결승전에 진출한 학생들과 특별상을 수상한 학생은 모두 내년도 오스트레일리아의 브리스베인에서 열리는 제17차 IYPT에 국내 대표팀으로 선발될 자격을 갖는다. 이들은 소정의 교육을 통해 ... ...
남성 과학자는 30세에 절정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결혼을 안한 과학자일수록 절정을 이루는 나이가 늦어진다는 것이었다. 그런데 바로 이
점
이 범죄자에서도 마찬가지로 나타난다고 한다. 가나자와 박사는 이 결과를 ‘저널 어브 리서치 인 퍼스낼러티’ 최신호에 발표했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가나자와 박사는 “남성이 반려자를 만나 결혼을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것이다.펌프로 뽑아내고 끈끈이로 붙인다진공기술이 응용되는 범위는 이처럼
점점
넓어지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진공 상태를 인위적으로 만들어낼 수 있을까. 기체 분자들은 소리의 속도보다 더 빠르게 제멋대로 돌아다니다가 서로 또는 다른 입자를 만나 충돌한다. 한 기체 분자가 충돌 직후 ... ...
1 체온 2℃만 내려도 1백50살까지 산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강낭콩 크기 만한 난소조직까지 냉동시키고 있다. 하지만 인간이 이보다 수백-수천배 큰
점
을 감안하면 통째로 얼린 뒤 되살리는데는 얼마나 긴 세월이 필요할지 짐작하기 힘들다. 김 교수는 “육안으로도 겨우 관찰할 수 있는 난자의 경우도, 가능하기는 하지만 소생 성공률이 매우 낮다”며 “이런 ... ...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모래사막 해안사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동·식물에만 집중돼 있고 이들이 살아가는 기반인 지형의 중요성이 간과되고 있다는
점
이다. 생물종 다양성은 서식지 다양성으로부터 비롯된다. 따라서 생물종을 다양하게 보전하기 위해서는 독특한 생태계를 이루고 있는 특정 지역들을 보전해야 한다.이 외에도 사구지대를 보전해야 할 중요한 ... ...
뜨거운 지방에 사내아이 많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온도 변화에 매우 민감한 정자의 DNA가 작은 온도 변화로 인해 제기능을 잃을 수 있다는
점
을 의미한다. 나아가 온도 상승에 의한 불임의 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다.정자는 왜 작은 온도 변화에도 변성되거나 생존하기 어려웠을까? 이에 대해 명확히 밝혀진 것은 없지만 아마도 세포예정사에 의해 ... ...
다차원 공간의 외로운 여행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단순한 문제공간을 가질 수 없다. 임의의 위치에서 비슷한 매력을 가진 수많은 분기
점
이 존재하고, 일련의 선택을 통해 하나의 끌개로 이동하는 것이다. 그러니 이런 작동의 메커니즘을 설명하는 것은 가능해도 결과를 예측하기는 힘들다.우리 사회의 현재 모습은 수없이 많은 안정적 가능성 중에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인공지능을 만들어내거나, 유전공학을 이용해 과거에 멸종된 생명을 되살린다. 공통
점
이 있다면 대부분 자신들이 만들어낸 피조물을 통제하지 못하고 목숨을 잃는다는 것이다.두번째는 세계 정복형이다. 이들은 세계 정복을 꿈꾸는 야심가 밑에서 일하는 경우가 많다. 극단적인 경우 이 유형의 ... ...
열대 무더위에 견디도록 단련된 인체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밤을 견디기가 어렵다. 더위와 추위 모두에 어느 정도 견디는 대부분의 동물들과 다른
점
이다.아쉬크로프트 교수는 저서 ‘극단에서의 삶’에서 인체 곳곳에 남아 있는 이런 진화의 흔적들을 제시했다. 인간의 피부에는 땀샘이 2백만개 정도 있다. 땀의 배출은 몸을 식히는 효율적인 방법이다. ... ...
이전
737
738
739
740
741
742
743
744
74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