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빛"(으)로 총 9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스템 생물학의 눈으로 노화의 비밀을 들여다보다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어떻게든 적응해야 한다. 황 부연구단장은 식물은 인간보다도 유전자 수가 많다며, 빛, 온도, 습도 등의 외부 환경 변화에 대비하고 생체 나이를 인식하는 생체시계 시스템도 매우 큰 편이라고 말했다. 2013년 그는 남 단장과 함께 애기장대라는 식물을 이용해 노화에서 중요한 생체시계가 어떤 ... ...
- IBS 5년간 땀과 노력, 한 권으로 집대성동아사이언스 l2017.01.06
- 1% 연구자에는 IBS의 5명의 연구단장을 소개한다. 김기문 복잡계 자기조립 연구단장, 김빛내리 RNA 연구단장, 로드니 루오프 다차원 탄소재료 연구단장, 장석복 분자활성 촉매반응 연구단장, 천진우 나노의학 연구단장, 현택환 나노입자 연구단장이 그 주인공이다. 2014년 톰슨로이터 노벨상 수상 예측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3] 현대인들에게 수탉의 울음이 필요한 이유2017.01.04
- 걸 최소화하면 사회적 시차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최근 스마트폰이나 노트북에 ‘파란빛 감소 모드’가 도입되는 것도 그런 예다. 앞으로 이 분야의 연구가 더 진행될 경우 어떻게 될지 모르겠지만, 지금으로서는 생체시계 교란으로 인한 건강 문제를 해결하는데 생활패턴을 자연의 일주리듬에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8) 샤프론 단백질 분야를 개척한 수전 린드퀴스트2017.01.02
- 환경 변화로 숨겨진 변이가 발현돼 눈알 크기가 제각각인 개체들이 나왔다고 가정했다. 빛이 들어오지 않는 동굴 안에서는 눈이 필요없기 때문에 쓸데없는 구조를 만드느라 부족한 자원을 소모하지 않는, 눈알이 작은 개체가 선호됐고 이런 과정이 쌓이면서 결국 눈이 완전히 퇴화한 오늘날의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7) 과학자들의 키다리아저씨 조셉 버만2017.01.01
- 봉직했다. 1960년대와 1970년대 버만은 수학의 군이론을 적용해 결정의 상전이와 빛산란 예측 등 이론고체물리학 분야에서 탁월한 논문들을 발표했다. 중견 과학자로 자리를 잡은 버만은 핍박받는 과학자들을 돕는 데로 관심을 돌렸다. 1970년대 소련과학원의 초청으로 소련을 방문하게 된 버만은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6) 극저온에서 새로운 물질 상태를 구현한 데보라 진2016.12.31
- 성공했다. 즉 1925년 인도의 물리학자 사티엔드라 보스와 아인슈타인은 광자(빛알갱이)처럼 스핀이 정수인 입자인 보손이 무리지어 있을 때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는 ‘보스-아인슈타인 통계’이론을 완성했다. 이에 따르면 극저온에서 동일한 양자상태(가장 낮은 에너지 상태)의 보손 입자들이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2016.12.29
- 1995년 성공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그 뒤 수년에 걸쳐 녹색 뿐 아니라 다양한 파장의 빛을 내는 변이 형광단백질을 줄줄이 만들어냈다. 그 결과 세포 내에서 여러 단백질이 상호작용하는 장면을 ‘눈으로’ 볼 수 있는 시대가 열렸다. 단백질 각각에 다른 색을 내는 형광단백질을 연결하면 되었다 ... ...
- [사이언스 지식IN] ⑤ 곧 B형 독감이 유행한다고요? A형 독감과 무엇이 다른가요?동아사이언스 l2016.12.26
- 지인부터, 친구, 아들의 친구, 아들 친구 엄마까지 독감으로 난리입니다. 분명 주말은 빛의 속도로 지나갔는데, 독감은 그 어느 때보다 천천히 오랫동안 우리 곁에 머물러 있네요. 질병관리본부의 주간 감염병 동향에 따르면 지지난주(51주, 12월 11일~17일)를 기준으로, 요즘 유행하는 독감은 발병 ...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5)해양 역사를 재구성한 '해리 엘더필드’2016.12.18
- 뒤 노스요크셔에서 그의 아들 해리가 태어났다. 그래서였을까. 해리 엘더필드는 세상의 빛을 보기도 전에 아버지를 데려간 바다에 끌렸고 리버풀대에서 해양화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1969년부터 리즈대에서 강사로 있으면서 동료들과 암석 시료에 있는 희토류 원소를 분석하는 기법을 ... ...
- 보노보도 노안은 못 피해!2016.11.14
- 말이다. 노안이야 별 수 없다지만, 청소년 시절 쉬는 시간이라도 교실 밖에 나가 밝은 빛을 쬐는 습관을 들였다면 지금처럼 심한 근시가 되지는 않았을 거라는 아쉬움은 든다. ※ 필자소개 강석기. 서울대 화학과와 동대학원을 졸업했다. LG생활건강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했으며, 2000년부터 201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