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jean
진토닉
gin
정령
귀신
대열
무리
뉴스
"
진
"(으)로 총 8,578건 검색되었습니다.
꽃 피우는 식물, 개미 멸종 막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멸종을 피하기 어려웠다는 결론이다. 연구팀은 "속씨식물이 개미의 종 다양화를 촉
진
하고 멸종을 막는 완충 작용을 했다"며 "속씨식물이 없었다면 오늘날의 개미가 존재하지 않았을지도 모른다"고 말했다. ... ...
[과기원NOW] 포스텍, 전고체 전지 성능·내구성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탈리됨을 확인했다. 불필요하게 소모되는 리튬이 현저하게 줄어들었다. 이렇게 만들어
진
전고체 전지는 10마이크로미터(μm) 이하의 얇은 리튬 금속만으로도 오랜 시간 동안 안정적인 전기화학적 성능을 보였다. 연구 결과는 ‘스몰’에 지난달 15일 게재됐다 ... ...
반딧불이처럼 자체발광 식물, 4월부터 미국서 팔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라는 상품을 만들며 원예 사업을 시작했다. 빛을 내는 꽃봉오리가 반딧불이를 닮아 붙여
진
이름이다. 사르키시안 박사팀은 지난 2020년에도 버섯 유전자를 식물과 재조합해 빛이 나는 담배과 식물을 만들었다. 이번에 라이트바이오가 출시하는 반딧불이 페튜니아는 그보다 최대 100배 밝은 빛을 ... ...
바느질 없이 1분이면 절단 신경 봉합하는 패치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정상에 가까운 수준으로 회복된다는 점을 1년에 걸쳐 확인했다. 또 패치에 신경 재생을 촉
진
하는 단백질 분자를 추가하면 기존 바느질 봉합술보다 조직재생을 빠르게 유도할 수 있다는 점도 설치류 모델을 통해 검증했다. 손동희 교수는 “패치의 성능 검증 결과 신경조직 재생과 근육의 기능성 ... ...
불임·난임 임신 기회 커질까…체외수정란 기술
진
일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3.10
관련이 없는 아이를 갖는 선택을 해왔다”고 말했다. 이 기술은 남성으로만 이뤄
진
커플이 유전적으로 관련 있는 아이를 갖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남성의 DNA가 든 피부세포로 난자를 만들고 다른 남성의 정자를 결합시켜 대리모를 통해 아이를 출산하는 방법이다. 일본 규슈대가 선행 연구를 ... ...
노란 소변 속에 숨겨
진
장내미생물의 비밀
과학동아
l
2024.03.09
소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소변은 노랗고 대변은 갈색이다. 두 배설물의 색이 이런 데에는 ‘빌리루빈’이라는 자황색 물질의 영향이 크다. 빌리루빈은 적혈구의 헤모글로 ... 연구할 수 있게 됐다”고 했다. ※관련기사 과학동아 3월호, [과학뉴스] 노란 소변 속에 숨겨
진
장내미생물의 ... ...
밤하늘 숨은 그림 찾기 '별자리'는 점선 잇기 놀이
2024.03.09
빈 점선 잇기 놀이판 같은 밤하늘에서 별자리라는 선을 찾아낸 것은 옛사람들이 가
진
관점이 아닐까요. 이 세상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사람은 이 세상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호기심으로 발견해 낸 그 관점 말이죠. 그러고 보니 관점을 바꾸면 꼭 밝은 별을 점선으로 이을 필요도 없겠습니다. ... ...
주한영국대사관, 세계 여성의 날 맞아 '여성과학자 기후변화 간담회'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크룩스 주한 영국대사는 "기후변화 문제는 사회 전체의 대응이 필요하다"며 "기후 행동의
진
전을 위해선 여성의 완전한 참여가 필요하며, 여성 인재들이 남성과 동등한 역할을 할 수 있도록 더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말했다 ... ...
알 낳는 양서류, 새끼에게 모유 먹이는 모습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것으로 보았다. 제라드 소장은 “시포놉스는 마치 다른 행성에서 온 거 같다”며 “알려
진
게 가장 적은 동물 중 하나”라고 말했다. 시포놉스는 땅속에서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기 때문에 연구하기 쉽지 않은 동물종으로 알려져 있다 ... ...
얼음 뿌리고 차단막 설치하고...지구 식히는 공학 아이디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3.08
것이다. 실제로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이 2021년 6월 스웨덴 북부에서 스코펙스 실험을
진
행하려고 했지만 기상 패턴을 교란시켜 지구 환경을 오히려 해칠 것이라는 스웨덴 환경단체와 지역 주민 등의 반대에 부딪혀 일시 중단하기도 했다. 미국 하버드대 연구팀은 2021년 대형 기구에 탄산칼륨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