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뉴스
"
오늘날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공대 학생과 동문이 뽑은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과학동아
l
2016.12.29
제공 4. 사물인터넷 글 최성현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어디까지 왔나 이미 사물인터넷 시대
오늘날
우리 삶의 일부가 된 스마트폰을 포함해 이미 100억 개가 넘는 기기가 인터넷에 연결돼 있다. 앞으로 2020년까지는 300억 개가 넘는 기기와 센서가 연결될 것으로 추정된다. 사물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s)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4) 생명과학에 보는 재미를 더해 준 로저 첸
2016.12.29
정작 그는 다양한 색상의 형광단백질을 만든 업적으로 2008년 노벨화학상을 받았다.
오늘날
형광단백질 없는 생명과학 실험은 상상하기도 어려울 정도로 보편화됐다. 이런 놀라운 성과를 낸 첸 교수가 지난 8월 24일 자택 부근에서 자전거를 타던 도중 뇌졸중으로 갑자기 사망했다. 중국계 ... ...
[생활의 시선 45] ‘스팸 전화’의 딜레마
2016.12.24
엄청나게 광고하면서 ‘광고 공해’라는 비난을 받았고 그 후 그 뜻이 상징화되어
오늘날
에도 스팸 메일, 스팸 전화 등으로 쓰이는 것이다. 밥반찬이 마땅찮을 때 프라이팬에 살짝 굽거나 김치찌개에 넣어 끼니를 간편하게 때울 수 있는 요긴한 통조림의 이름이 아이러니하게도 생활에 불편을 ... ...
[생활의 시선 44]입맛을 일으키는 ‘무’의 힘을 빌려서라도
2016.12.17
우리 조상들은 슬기롭게도 메밀과 함께 무를 곁들여 먹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오늘날
에도 식당에서 손님에게 냉면이나 막국수를 내놓을 때 김치 대신에 무절이가 테이블에 놓이는 것이며, 일본식 메밀소바에도 무즙을 풀어서 먹는 것이다. 또한 얇게 저민 생선회가 가지런히 놓인 접시에 무채를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3)계산화학의 선구자, 월터 콘
2016.12.15
묻어 얼룩덜룩한 실험복을 입고 있는 모습이 전형적인 화학자의 이미지다. 그러나
오늘날
화학자 가운데 상당수는 컴퓨터 모니터를 바라보며 시뮬레이션 결과를 기다리는 게 일이다. 1960년대 ‘밀도함수이론(density functional theory)’을 만들어 계산화학이라고 불리는 분야를 개척한 월터 콘(Walter Kohn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게임이론의 개척차 ‘로이드 섀플리’
2016.12.13
맴돌았고 섀플리는 너그럽게 그를 대하며 함께 연구를 하기도 했다. 그러나 1950년 내쉬가
오늘날
‘내쉬의 균형 정리’로 불리는 논문을 비롯해 논문 세 편을 단독으로 내면서(그 가운데 하나는 함께 토론하며 연구하던 주제였다) 둘 사이는 멀어졌다. 졸업 뒤 랜드코퍼레이션으로 복직한 섀플리는 ... ...
[생활의 시선 43] ‘직업인’으로 산다는 것
2016.12.10
직업인은 일의 관계에서 불편하지 않을 만큼 자유로울 수는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오늘날
의 ‘직업’이라는 것 자체가 퇴근 후에 홀가분하게 일렉 기타를 메고 마음 맞는 록 밴드 멤버가 모여 있는 합주실로 향하는 행위가 아닌, 경제생활을 위해 불가피하게 선택한 ‘밥벌이’이기 때문이다. ... ...
VR 헤드셋 쓰고 드론 띄우자 “세상 내려다보는 듯” 황홀
과학동아
l
2016.11.25
만들겠다”고 결심했다고 한다. 이의 상업화를 추진하다 센스플라이를 인수했고, 이것이
오늘날
패럿의 토대가 됐다고 레비 수석부사장은 설명했다. 패럿은 올해 9월 최신형 VR 드론 ‘디스코’를 출시했다. 디스코는 비행가능 시간이 무려 45분에 달해 20분 내외인 일반 드론보다 훨씬 오랫동안 ... ...
강릉가서 소원 빌려면, 이곳으로 가면 된다고~
2016.11.24
한해의 풍년을 기원하고, 모두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는 날로 시작된 강릉단오제.
오늘날
엔 도시축제로 커졌지만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은 것은 지역민 모두가 참여하는 축제라는 것이다. 단오 시작을 알리는 신주빚기는 강릉시민의 신주미 모으기로 시작한다. 축제에서 사람들을 모이게 하는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때문”이라고 쓰고 있다. ‘수명 연장’은 무척 재미있지만 100년도 더 된 책이라
오늘날
과학지식으로 보면 틀린 내용이 꽤 된다. 따라서 이 부분을 읽으면서도 그런 경우로 생각하며 넘어갔다. 그런데 ‘네이처’의 특집에 실린 여러 리뷰논문들을 보니 곳곳에서 면역세포의 오작동이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