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화재
light
불빛
광
빛
전등
화난
뉴스
"
불
"(으)로 총 1,440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연 중·저준위 폐기물 분석 실험실서 화재
동아사이언스
l
2018.11.19
처리시설에서 겨울철 동파 방지를 위해 수도관에 설치한 열선이 과열돼 건물 외곽에
불
이 난 것이다. 당시 원자력연은 초기 대응 미흡으로 1시간 정도 화재를 그대로 방치한 데다 사고를 임의로 누락해 허위보고를 하는 등 부실 대응으로 여론의 질타를 받은 바 있다 ... ...
지구온난화 시대에 뜨는 직업 '농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17
어딘지 파악해서 스스로 움직이는 거죠. 자율주행차랑 비슷하다고 생각하면 돼요. 더
불
어 이런 로봇을 최대한 싸게 만들고 싶어요. 미국에도 자동화된 트렉터가 있지만 가격이 10억 원에 달할 정도로 엄청 비싸거든요. 평범한 농민도 로봇을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면 좋겠어요. 1차 로봇은 실패했고 ... ...
왜군 벌벌 떨게 한 조선의 시한폭탄 비격진천뢰 고창서 무더기 출토
동아사이언스
l
2018.11.15
장전해서 사용했다. 비격진천뢰가 폭발 시간 조절이 가능했던 비결은 목곡이라는
불
을 붙이는 도화선에 있다. 비격진천뢰의 중심에는 대나무통에 있는데 여기에 목곡을 감는 횟수에 따라 폭파되는 시간을 조절하도록 설계됐다. 먼 거리에 있는 적에게 발사할 때는 목곡을 여러 번 감고 가까운 ... ...
기후변화가 남성
불
임 일으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13
차지하는 곤충의 생존이 위협받을 수 있다”며 “포유류를 포함한 동물에서도 이 같은
불
임 현상의 증거들이 나타나고 있다”고 말했다. 반복된 폭염현상이 인간과 같은 포유류의 생식능력도 감소 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 ...
‘HD촉감’으로 가상현실 더 실감나게!
동아사이언스
l
2018.11.12
박진아 교수 연구실 3단계: 젓가락으로 계란을 저으며 가열한다. 몽글몽글 익어 가면
불
을 끈다. 젓가락질은 대표적인 고난도 손기술이다. 관절이 3차원상으로 복잡하게 움직이는데, 아직 VR 조종기(대부분 막대형)가 손의 복잡한 움직임을 따라가지 못해 VR에서 제대로 재현하기가 어렵다. ... ...
[섭섭박사의 메이커 스쿨] 촉촉 립밤으로 가을철 입술을 지켜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11.09
굳기 때문에 서두르는 게 좋아요. 섭섭박사님은 “은박컵은 열이 잘 전달되기 때문에
불
을 끈 직후에 매우 뜨겁다”며 “케이스에 부을 땐 꼭 두꺼운 면장갑을 끼고 부어야 한다”고 알려주셨답니다. 녹였다가 굳히는 과정을 거쳐 쉽게 립밤을 만들 수 있지만, 까딱 잘못하면 마지막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민들레 씨앗의 유체역학
2018.11.07
생기고 안정되게 유지됨을 볼 수 있다. 민들레 씨앗의 평균 종단속도가 초속 39.1㎝에
불
과해 공기 중에 오래 머물 수 있는 건 소용돌이 고리로 양력이 생겨 공기저항이 커진 결과로 밝혀졌다 - 네이처 제공 왼쪽 아래 척도를 보면 알 수 있듯이 몸길이가 1㎜도 안 되는 아주 작고 가벼운 곤충이기 ... ...
[2018 국감] 내년엔 반복되지 말아야할 과기분야 10대 이슈
동아사이언스
l
2018.11.04
유지 논란, 복수 과제 수행 등 IBS의 방만 운영에 대한 질타가 이어졌다. 김성수 더
불
어민주당 의원은 “중이온가속기건설구축사업단이 지난 3년간 보직수당 지급, 건물 임대료 지급 등 방만 경영으로 연간 6억 원의 연구비를 낭비했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변재일 의원은 “IBS는 연구자가 연구에 ... ...
2020년대 환경파괴 없는 ‘수소열차’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8.11.02
탄소배출량 적은 수소열차 도입 활기 독일에 이어 영국 교통부는 2020년 초 수소전기열차를 도입할 계획이다. 수소전기열차는 물만 배출해 차세대 친환경 교통수단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알스톰 제공 차세대 친환경차로 수소차가 큰 주목을 받는 가운데 최근 세계 각국이 경쟁적으로 디젤기관 ... ...
“사용후핵연료 저장시설 2038년 포화. 지하처분 연구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18.10.31
포화 단계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면서 사용후핵연료 보관에 노란
불
이 들어왔다. 아무런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2038년이면 신월성원전까지 모든 원전의 임시저장시설이 더 이상 사용후핵연료를 보관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원자력연구원은 31일 제주에서 시급한 원전 임시저장시설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