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근절
절멸
몰살
박멸
제거
절제
말살
뉴스
"
멸종
"(으)로 총 863건 검색되었습니다.
월악-오대산에도 ‘황금박쥐’ 살고 있었네
동아일보
l
2016.01.18
박쥐류 3종이 이미 서식하는 것으로 2014년 밝혀진 소백산을 포함해 월악산과 오대산도
멸종
위기종 박쥐 3종이 모두 서식하는 지역으로 확인됐다. 임현석 기자 lhs@donga.com [화제의 뉴스] - 100억대 자택 내놓은 강덕수 회장, 왜? - 폈다 휘었다…TV, 내가 원한 만큼 구부려서 본다 - 스키니진 즐겨입는 2 ... ...
“북극에 사람 살기 시작한 건 최소 4만5000년 전”
2016.01.17
기존 연구 결과를 1만 년 더 앞당긴 결과다. 인류 역사의 비밀을 풀 열쇠는 지금은
멸종
한 동물인 매머드가 남긴 조직에서 나왔다. 러시아과학아카데미 연구팀은 2012년 북극권인 러시아 시베리아의 예니세이만 절벽에서 수컷 매머드의 뼈와 조직 일부를 발견했다. 연구팀이 여기 남은 동위원소로 ... ...
2016 지구사랑탐사대 4기 모집
어린이과학동아
l
2016.01.12
과정에서 지구사랑탐사대 기록을 바탕으로 수원청개구리 논문이 나온 것은 물론, 작년엔
멸종
위기종인 수원청개구리 복원 사업도 시작됐다.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지구사랑탐사대 대원에게는 발대식을 시작으로 직접 과학자와 야외탐사를 나가 생물종의 특성은 물론 탐사 방법을 배울 수 ... ...
알레르기는 ‘네안데르탈인’이 전해준 ‘면역력’의 흔적
2016.01.08
제공 최근 수 년간 발표된 고인류학 연구에 따르면 현대인의 유전자에는 약 4만 년 전
멸종
한 ‘네안데르탈 인’의 유전자가 2~6% 남아있다. 학계에선 이 현상을 현생인류의 직계 조상인 크로마뇽인(호모 사피엔스사피엔스)과 네안데르탈인(호모사피엔스 네안데르탈렌시스)간의 이종교배 증거로 ... ...
[丙申年 기획] 인류에게 도움 준 붉은털원숭이
2016.01.03
것을 금지하는 새 ‘동물보호법’을 통과시킨 데 이어 미국 또한 2015년 6월 침팬지를
멸종
위기종으로 분류해 실험동물로 쓸 수 없게 했다. 대형 유인원과 달리 붉은털원숭이는 1940년대 이전부터 실험동물로 널리 쓰여 왔다. 다 자라도 크기가 50~60㎝에 몸무게는 4~10㎏에 불과해 관리가 쉽다는 게 ... ...
[2015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2)거대 잠자리의 비밀을 풀어낸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
2015.12.22
큰 거대잠자리 메가네우라도 있다. 어떻게 곤충이 이렇게 크게 자랄 수 있었고 왜
멸종
했을까. 이런 의문에 대한 답을 준 지구화학자 로버트 버너(Robert Berner)가 올 초 오랜 투병 끝에 타계했다. 1935년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이리에서 태어난 버너는 지질학도인 형 폴의 영향으로 미시건대에서 ... ...
열대림에서 영장류 사라진다면…
2015.12.21
작은 나무의 씨앗들만 퍼뜨렸다. 피어스 교수는 “최근 대형 동물들이 밀렵 등으로
멸종
위기를 맞으면서 열대림에 큰 타격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며 “기후변화를 상당 부분 지연시켜 주고 있는 열대림의 수목 밀집도가 줄어들면 그만큼 기후변화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 ...
백두산 호령하던 그때처럼… ‘大虎’ 복원 프로젝트
2015.12.20
먹이사슬에서 상위 포식자를 복원하는 프로젝트는 세계 각국에서 꾸준히 진행돼 왔다.
멸종
위기에 처한 특정 종을 복원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상위 포식자가 생태계를 지키는 ‘수호자’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이 교수는 “국내에서 지리산 반달가슴곰을 복원하고 토종여우 복원을 시도한 ... ...
만화로 떠나는 생물학 기행
2015.12.06
수많은 과학자들의 생생한 이야기를 담은 과학 만화다. 고생대 바다에서 태어나 대
멸종
의 위기도 꿋꿋이 이겨낸 바다나리에서부터 수많은 인류의 목숨을 구한 살신성인의 투구게, 200년간 과학자들을 혼돈 속에 빠트렸던 초감각의 소유자 박쥐에 이르기까지, 지구 곳곳에서 은밀하게 살아가고 있는 ... ...
[오지 연구원이 된 동물들] AI 전파경로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
과학동아
l
2015.11.30
있었다. 다른 개체들도 2~3일 내에는 한반도를 벗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다른 성과는
멸종
위기종인 저어새의 이동경로와 서식지를 명확하게 밝혀낸 것이다. 한국환경생태연구소는 문화재청의 의뢰를 받아 국내에서 태어난 저어새의 몸에 위치추적기를 부착하고 이동 경로를 추적해 2014년 10월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