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잡기
파악
쥐기
d라이브러리
"
포착
"(으)로 총 1,001건 검색되었습니다.
6개 광학 망원경 묶어 대형반사경 효과내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미국의 천문학자들이 6개의 광학 망원경을 묶어 분해능이 높은 한대의 망원경을 ‘만듦’으로써 상당히 먼 거리에 있어 한개로 보였던 여러개의 별을 개개로 분해해 관측했다고 ... 최대 4백30m까지의 간격을 벌려 분해능을 높여 먼 거리의 별 주위를 도는 지구형 행성을
포착
하는 것이다 ... ...
생각만으로 컴퓨터 커서 움직인다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장치하고 이를 체외의 기계장치와 연결시키면 생각만으로 센서가 뇌세포의 신호를
포착
해 기계장치를 작동시키는 일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원숭이 실험을 통해 확인했다.이를 위해 우선 도노휴 박사는 3마리의 벵골 원숭이를 대상으로 컴퓨터 게임기의 조종핸들을 움직여 컴퓨터 화면 안의 녹색점을 ... ...
차세대 전투기 격돌 F-15K vs 라팔
과학동아
l
2002년 04호
지도를 작성하는 기능을 갖고 있어 비행에 도움을 준다. 레이더를 보완하고 목표물
포착
과 공격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열을 추적하는 전방감시 적외선장비(FLIR)도 갖추고 있다.라팔은 탐지거리는 1백km지만, 최신 전자탐지식 레이더인 RBE2를 사용한다. 이 레이더는 마이크로파를 송수신하는 회로를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사라지는 장면을 맨눈으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쌍안경에서는 이 순간을
포착
하는 일이 그리 어렵지 않다.그냥 단순히 보는 것만으로도 즐겁겠지만, 토성이 달에 가려 사라지는 시각을 재는 일도 흥미롭다. 또 토성이 나오는 순간에도 그 시각을 잰다. 이 두 시각의 차이는 달이 토성에 ... ...
3. 토네이도 추적하는 기상 레이더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NEXRAD(Next Generation Weather Radar)와 도플러 레이더는 토네이도와 같은 급격한 기상 현상을
포착
해 따라가면서 분석할 정도다.발달한 기상을 물 문제 해결에 동원하는 일은 이미 시작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기상예측 정보를 활용하는 강우-유출모형을 만들어 연구중이다. 강우-유출모형이란 하늘에서 내린 ... ...
빅뱅 신화에 도전하는 최신우주론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학자들은 중력과 반대효과를 일으키는 이 무언가를 ‘암흑에너지’라 부른다. 직접
포착
할 수도 없지만 아직 정체를 잘 모르기 때문에 ‘암흑’이라 하고, 물질이 아닌 형태이기 때문에 ‘에너지’라는 이름을 붙였다. 암흑에너지의 강력한 후보는 20세기 초 아인슈타인이 제기했다가 자신의 ... ...
두꺼운 베일 벗은 여신의 누드 금성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과학장비를 실었는데, 금성대기의 흐름에 몸을 맡긴채 떠돌며 관측했다. 풍선의 신호를
포착
하기 위해 옛소련을 비롯해 유럽, 브라질, 오스트리아 등의 전파망원경이 그물같은 네트워크를 구축했다. 풍선은 진입지점으로부터 1만km나 바람에 의해 움직이며 10시간 동안 관측한 후 전원부족으로 ... ...
보이지 않는 빛 과학으로 찍는다 - 이만홍
과학동아
l
2002년 03호
검은 그림자가 지면서 조각의 입체감은 멋지게 살아난다.총알 맞아 깨지는 전구 순간
포착
전구가 총알에 맞아 박살이 났다.그 찰나의 순간을 카메라가 ‘찰칵’ 담았다. 그러나 실제로는 ‘차~아~아~알~칵’하며 찍은 것이다.유리전구에 장난감 총알을 발사한 뒤 아무리 빨리 카메라 셔터를 눌러도 ... ...
정월대보름 달 크기를 재보자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맨눈으로 보기에도 달이 커보인다는 사실을 느낄 수 있다.시야에서 사라지는 순간
포착
달 크기를 재볼 수는 없을까. 달 크기를 구체적으로 측정하면 가장 클 때와 작을 때를 비교해 크기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을 테니까. 달의 크기를 재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망원경을 사용하는 것이다 ... ...
중력의 양자효과 처음 관측
과학동아
l
2002년 02호
그런데 중력의 영향을 받은 중성자가 15μm(1μm = ${10}^{-6}$m)의 높이를 떨어질 때 탐지기에
포착
되지 않았다. 이 15μm의 높이 변화는 중력 에너지의 이론적인 양자 값인 1.41peV(1peV=${10}^{-12}$eV)에 해당한다. 즉 중성자가 15μm의 높이를 쭉 내려온 것이 아니라 점핑했다는 것이다.이번 연구결과는 많은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