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채"(으)로 총 3,739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세계 최초 MRI 장갑과학동아 l2018년 06호
- 왼손의 모습.3. MRI 장갑으로 왼손의 뼈와 근육. 관절을 촬영한 사진.4. MRI 장갑을 착용한 채로 복숭아를 쥔 모습.5. 복숭아를 쥔 손을 MRI 장갑으로 촬영한 사진.베이 장 미국 뉴욕대 의대 방사선과 선임연구원 팀은 손의 움직임을 관찰할 수 있는 장갑 형태의 자기공명영상장치(MRI)를 개발해 ‘네이처 ... ...
- [Culture] 굳이 과학적으로 꼽아 본 ‘옥에 티’ 3, ‘쥬라기 월드’가 돌아왔다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더 느리게 걸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doi:10.1016/j.cretres.2015.12.020 익룡이 사람을 낚아채 날아가는 장면도 너무 앞서갔다. 새의 긴 발가락뼈는 사람 손가락처럼 하나하나 구부릴 수 있어 나뭇가지에 앉거나 물건을 움켜쥘 수 있다. 하지만 익룡의 발은 사람 발처럼 발바닥뼈 다섯 개가 길고 서로 붙어 ... ...
- [Origin]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피를 걸러내고 백혈구를 만들어 내는 역할을 하죠. 메트칼프 교수는 태어난 지 하루도 채 되지 않은 쥐 6마리에서 6개의 비장을 추출해 어른 쥐에 이식하고 6주를 기다렸는데요. 이식된 비장이 원래 비장의 6분의 1 크기로 자랐습니다. 어찌된 일일까요? 같은 실험 다른 결과, 이유는?흉선의 크기는 ... ...
- [현장취재] 색(色) 다른 공룡이야기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6호
- 바닥에 질질 끌고 다닌다고 상상하던 공룡의 모습은 꼬리를 들고 등을 수평으로 눕힌 채 걸어다니는 모습으로 수정됐지요.” 상상은 공룡 연구의 시작!공룡 복원의 역사에 관한 이야기를 마치자, 귀여운 펭귄의 모습이 화면에 나타났어요. “친구들에게 펭귄의 비밀을 알려 줄게요. 흔히 겉모습을 ... ...
- Part 2. 우주 기원부터 암 치료까지 라온이 이끌 연구 4과학동아 l2018년 06호
- 결합해 원소가 탄생했다. 수소(H)와 헬륨(He) 등 우리에게 친숙한 원소가 탄생까지 4~5분이 채 걸리지 않았다. 홍 교수는 “라온은 원소가 탄생하는 순간을 엿볼 수 있는 장치”라며 “라온을 통해 원소 생성의 근본 원리를 밝힌다면, 결국 세상 만물이 생겨난 과정을 규명할 수 있게 되는 것”이라고 ... ...
- [이투스교육] 살아 움직이는 지구 시스템과학동아 l2018년 06호
- 한다. 하지만 대기와 해수가 순환하면서 저위도의 과잉에너지가 고위도의 부족에너지를 채워준다. 즉, 지구 전체로 보면 에너지 평형을 이루고 있다. 물과 탄소의 순환지구 시스템에서는 물질의 순환이 일어난다. 크게 물의 순환과 탄소의 순환으로 나눌 수 있다. 물은 지구 시스템을 순환하면서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사람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하하. 똑똑한 친구들이구나. 그럼 이제 내가 누군지도 알겠지?”농부의 물음에 채윤이와 수호는 서로를 쳐다보며 궁금한 표정을 지었지요. 그러다 갑자기 수호가 무언가 생각난 듯 손바닥을 마주 쳤어요.“질소 비료를 만든 하버 아저씨! 맞죠, 맞죠?”“그래~. 내가 바로 프리츠 하버야. 이제 ... ...
- [과학뉴스] 멸종위기종 보호 나선 천문학자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동물을 탐지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를 통해 연구진은 지구상에 400마리가 채 남지 않은 것으로 알려진 멸종위기 종인 강토끼(Bunolagus monticularis)를 5차례 목격하는 데 성공했다. 버크 연구원은 “드론을 이용하는 만큼 동물을 방해하지 않고, 탐색이 어려운 지형도 광범위하게 조사할 수 ... ...
- FIFA 세계 랭킹에 숨은 모든 것!수학동아 l2018년 05호
- 방식이 너무 단순했습니다. 국가 간의 실력 차이나 대회의 경중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채 어느 경기건 이기면 3점, 비기면 1점, 지면 0점을 누적하는 방식을 썼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리그에서 클럽팀의 순위를 매기기 위해 이 방법을 쓰는데요, 리그에서야 경기 수가 같고 모든 팀과 경기를 하기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미륵사지 석탑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5호
- 하지만 목재로 지어진 건축물은 모두 불에 타거나 무너져 지금은 볼 수 없고, 무너진 채 남아있던 석탑만 확인할 수 있지요. 석탑은 지금 어떤 모습일까요? 기자단 친구들이 커다란 가건물 안으로 들어서자 친구들의 키를 훌쩍 넘는 석탑이 나타났어요. 그곳에서 18년 째 미륵사지 석탑 보수방법을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