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경관
예상
경치
미래상
희망
비전
관망
d라이브러리
"
전망
"(으)로 총 2,784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science] 브레이크 없는 사막화 기후 양극화 부른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갈라지는 땅 한 쪽에선 폭우가…이런 결과는 최첨단 기후 모델들로 예측한 미래 기후
전망
에서도 나타난다. 온실가스 농도 증가율에 따라 사막화의 진행 속도는 달라지겠지만 모든 시나리오는 사막 및 건조지대의 상당한 확장을 예상하고 있다. 지난 세기에 걸쳐 일어난 사막화보다 훨씬 더 심각한 ... ...
황당맨의 취재수첩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1 암세포 태워 죽인다예전에는 암 하면 불치병으로만 여기던 공포의 대상이었다. 그러나 이제는 예전보다 암에 대한 두려움이 줄었다. 이번 화에서는 황당맨이 암 정복이라는 꿈에 다가 ... 생체연료전지는 원천기술로, 인체이식형 의료기기 시장의 판도를 바꿀 수 있다”고
전망
했다 ... ...
긴급진단 지구가 아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셈이다. 2℃가 상승하면 전체 종의 4분의 1이, 그 이상이면 3분의 1이상이 멸종할 것이라고
전망
하고 있다.*IPCC : 기후변화에 대해 논의하는 유엔 위원회.지구의 악몽요새 악몽을 자주 꾼다고요? 몸이 아프면 악몽도 자주 꿀 수 있어요. 일단 마음을 가라앉히고 어떤 꿈인지 이야기해 보세요.때는 210 ... ...
리얼스틸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따르면 로봇 업계에서는 2025년경 간단한 일을 도와주는 로봇이 상용화될 수 있다고
전망
하고 있다. 2020년보다 5년이나 뒤의 일이다. 권투를 할 수 있을 정도의 로봇이라면 더 오래 기다려야 할 듯하다.끝까지 밝혀지지 않는 아톰의 정체기술적인 면으로는 종종 허점이 보이지만 즐겁게 관람하기에는 ... ...
지구과학 - 망원경으로 본 천문학의 발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망원경 400년의 역사를 통해 망원경의 발전이 천문학에 어떻게 기여했는지 살펴본다. 망원경의 발전은 때로 한계에 다다랐지만 과학자들은 새로운 기술을 이용해 한계를 극복했다. 오늘날 망원경에는 어떠한 기술이 사용되는지 살펴보고 천문학 발전의
전망
을 살펴보자. ...
위기에 처한 남태평양을 구하라!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상어가 가장 무서운 동물이다. 실제로 사람을 무는 일은 별로 없다.][➋ 일본군이 만든
전망
대에서 만난 도마뱀. 숙소에도 도마뱀이 많이 사는데, 파리와 모기를 모두 잡아 먹어 벌레 걱정이 없었다.][➌ 연구센터는 정기적으로 센터 주변과 주변 섬에서 쓰레기를 모아 처리하고 있다. 체험단도 ... ...
Part 2. “불가능은 없다” 양자미션5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과거에 동서양을 연결했던 비단길, 모든 산악인들의 꿈인 히말라야, 그리고 좁은 지구를 벗어나 우주로 가는 길에는 모두 공통점이 있다. 어떤 목적지를 향해 멀리 가야 한다는 점이 ... 의식간의 상호작용은 자유의지를 가진 인간의 사고 실험 영역에서 마지막까지 남아 있을
전망
이다 ... ...
인간단백질 백과사전 만든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같이 추진하기로 돼 단백질 백과사전을 만드는 일은 시너지 효과를 얻게 될
전망
이다.한국은 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의 유종신 박사팀이 11번 염색체를 맡고, 백 교수팀이 13번 염색체를 연구하기로 했다. 두 염색체는 고혈압, 당뇨 같은 각종 성인병과 관련된 유전자가 많은 것이 특징이다. ... ...
영화 순식간에 내려받는 황금 주파수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테라바이트, 1TB는 1024GB)였던 국내 무선 데이터 전송량이 2015년이면 8.7배 늘어날 것이라는
전망
도 있다.이런 고용량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누구에게나 풍족하게 주파수를 준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주파수는 한정된 자원이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 회사들은 현재 아날로그 TV 방송용으로 쓰고 ... ...
Part 3. 물 먹는 변기는 다이어트가 시급?!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남의 일이 아니다. 특히 20년 뒤엔 아시아 인구의 40%가 심각한 물부족을 겪을 거라는
전망
도 있다. 이에 세계는 지금 물을 절약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다. 따라서 한 번에 많은 양의 물을 쓰는 수세식 변기는 물 낭비와 수질오염의 주범으로 눈총을 받을 수밖에 없다.대체 한 번에 얼마나 많은 물을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