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리"(으)로 총 5,453건 검색되었습니다.
- [긱블 X 과학동아] 올해 최고의 메이커는 누구?!과학동아 l2020년 12호
- 남겼습니다. ●과학동아 6월호작품명 : 달고나 활장발이 인상적인 메이커 기주님은 이 자리에 참석하기 위해 전국일주를 멈추고 올라왔다고 합니다. ‘달고나 활’을 들고서요. 이 활은 정확히 말하자면 당류가공품인 레진을 이용한 것입니다. 기주 님은 “사실 이 작품은 실패작”이라고 ... ...
- 세계 상위 0.1% AI 고수를 만나다 “데이터가 있는 곳이면 어디든, AI가 있습니다”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가장 유명한 AI 커뮤니티인 ‘텐서플로우 코리아’와 ‘AI 코리아’ 역시 페이스북에 자리하고 있다. 이 선임연구원이 운영하는 캐글 코리아에서는 1만 1000명의 멤버들이 AI와 관련된 정보들을 나눈다. 속칭 인플루언서 반열에 있는 유명 AI 전문가들도 이런 커뮤니티를 통해 만날 수 있다. 이 ... ...
- 크리스마스 트리가 한국산? 멸종위기 구상나무를 구하라!과학동아 l2020년 12호
- 현재 이 나무가 남아 있지는 않지만, 아직도 21그루의 구상나무가 아놀드수목원에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윌슨의 학계 발표 이후 구상나무는 세계 곳곳에서 다양한 형태로 품종이 개량됐다. 지금도 캐나다의 한 온라인 식물 판매 사이트에 가면 절찬리에 판매되고 있는 구상나무를 볼 수 있다. ... ...
- 2020년 과학동아가 만난 독자들 1200+α명과학동아 l2020년 12호
- 과학동아는 독자들과 지면뿐만 아니라, 온라인과 연구 현장에서 만나는 자리를 한층 늘리고자 했다. 그 결과 독자와 함께 전문가를 만나 미세먼지에 대한 궁금증도 풀어보고, 현재 과학교육의 문제점도 들어 볼 수 있었다. 올해 3월 야심차게 시작한 ‘사이언스 보드’에서는 지금도 각 분야 최고 ... ...
- 달에 전파망원경을 세워라!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Q. 달 전파망원경의 아이디어는 어디서 얻으셨나요?제 이름 ‘셉타르시’는 ‘큰곰자리’의 산스크리트어 표현이에요. 그래서인지 어렸을 적부터 항상 천문학을 좋아했지요. 학생 시절, 천문올림피아드에 출전하면서 인도의 ‘거대 미터파 전파망원경 천문대’에서 인턴을 했어요. 그때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1화. 발표의 세계수학동아 l2020년 11호
- 문제를 풀기 위해 노력한 결과물이 매년 나오고 있습니다. 수학 발표가 꼭 저런 대단한 자리에서, 많은 사람 앞에서 이뤄져야 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실 대부분의 연구발표는 그 연구에 관심 있는 사람들끼리 하는 소규모의 세미나 혹은 워크숍에서 이뤄지기 마련입니다. 그런 곳에서 좀 더 부담 ... ...
- [2020 노벨상] 물리학상│보이지 않는 블랙홀이 생길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11호
- 흥미롭다. 케플러 법칙에 따라 혜성처럼 느린 속도로 다가오다가 공전궤도의 중심인 궁수자리(Sgr) A* 주변에 가까워지면 속도가 매우 빨라지고, 멀어지면 다시 속도가 느려진다. 지구나 목성이 공전하는 이유가 중심에 태양이 있어서인 것처럼, 공전궤도의 중심에 강력한 중력을 내는 무언가가 ... ...
- [미국유학일기] 식사부터 파티까지 똑똑한 기숙사 생활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외식은 한 주간 고생한 자신에게 주는 소소한 선물 같다.이외에 가끔 기숙사 모임, 술자리 등에 가면 5달러(약 6000원)정도씩 내고 참석한다. 가끔 기숙사에서 ‘공식적’으로 주최한 파티는 공짜로 가기도 한다. 한 예로 내가 스위트에 살았을 때는 학기당 한 번씩 파티가 열렸는데, 기숙사에서 ... ...
- [JOB터뷰] 텔레비전에 나오던 아저씨 아냐? ‘두리랜드’ 임채무 회장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가까워진 걸까요? 직접 확인해 보세요! Q. 왜 놀이공원을 만들고 싶었나요?바로 이 자리였어. 1980년대에 이곳은 산이 보이고 계곡이 있어서 휴양지로 쓰였지. 당시 무명 배우였던 나는 사극드라마 촬영을 하러 이곳에 자주 왔어. 주인공들이 촬영하는 동안, 무명 배우들은 “와~!” 하고 뛰어가는 ... ...
- 과학난제 1. 로봇은 어떤 모양으로 진화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11호
- 생중계되었어요. 이 컨퍼런스는 14명의 과학자가 난제 해결의 아이디어를 발표하는 자리였답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에서 과학자들에게 받은 92건의 난제 해결 아이디어 중 문제의 참신함, 중요성, 발전 가능성 등을 기준으로 14개 아이디어를 선정했지요. 여러 난제들 중 어과동의 관심을 끈 첫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