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인도"(으)로 총 1,589건 검색되었습니다.
- TV as the Most Important and Newest Technology?과학동아 l2010년 05호
- TV는 성인교육을 위해서도 강력한 도구입니다. 예를 들어, 인도의 구자랏 지방에서는 인도의 음악과 춤 영상을 방송하는 ‘치트라기트’라는 프로그램이 큰 인기를 얻었는데, 이 방송은 구자랏 문자로 자막이 나갑니다. 방송이 시작된 지 6개월 만에 시청자들이 글을 읽고 해석하는 능력이 작지만 ... ...
- 수 세기의 지혜, 진법의 발견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숫자와 위치 원리의 편리성, 실용성을 가장 먼저 받아들인 사람들은 아라비아인이었다. 인도에서 만들어진 숫자는 아리비아인의 손을 거쳐 아랍 제국의 일부였던 스페인을 통해 가장 먼저 유럽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유럽인들이 처음부터 인도-아라비아 숫자에 호의적이었던 것은 아니다. 오랫동안 ... ...
- 앞이 안 보여도 즐겁게 수학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어렵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의 일리노이대학교의 한 시각장애인 학생이 시각장애인도 수학을 공부할 수 있도록 특별한 교구를 개발했습니다.일리노이대학교에서 조각을 공부하고 있는 쉴라 슈나이더 씨는 표면에 수학 공식이 새겨져 있는 조각을 만들었습니다. 조각에 새겨진 수학 공식은 ... ...
- 고추장 1000년의 비밀을 풀다과학동아 l2010년 05호
- 고추를 비롯해 담배, 감자, 고구마, 토마토 등을 유럽에 가져왔고 해적들에 의해 인도까지 전파된 뒤, 무역이 활발했던 일본을 거쳐 한국에 들어왔다.이 근거로 이 교수는 한국 최초의 본격적인 백과사전인 이수광의 ‘지봉유설’(1613)의 한 대목을 “일본에서 건너온 왜(倭)개자에는 독이 있다”고 ... ...
- 올록볼록 공간도형의 세계수학동아 l2010년 05호
- 같다. cube라고 하는 정육면체는 정사각형인 면 6개가 모여 이룬 정다면체다. cube는 초기 인도-유럽 계열의 단어인 keub에서 유래했다. 원래 의미는 “구부리다” 혹은 “눕다”다. 전개도를 그린뒤 구부려서 정육면체를 만든다고 생각하면 외우기 쉽다. rectangle이라고 하는 직육면체는 서로 똑같은 세 ... ...
- 스님이 남긴 세 편지수학동아 l2010년 05호
- 수학을 좋아하셔서 평소에도 서산대사님의 ‘선가귀감’을 자주 읽으셨지. 어쩌면 인도에서 숫자 0을 쓰기 훨씬 전에 부처님은 0을 깨달으셨던 것 같아. 숫자 0은 없지만 있는 수…. 0의 마음으로 사는 것은 어떻게 사는 것을 말하는 걸까?수학에서 0은 양수와 음수를 구분하는 기준 역할을 하는 수야. ...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지하수가 이동함에 따라 지질 구조가 변해 지진이 발생한다는 연구도 있다. 또 1967년에 인도 코이나댐이 완공되고 얼마 안 있어 이 지역에 규모 6.5의 지진이 발생하자 일부 지진학자들은 “기반 암석층이 저수량의 무게를 이기지 못해 깨진 틈새로 물이 스며들어 단층활동을 활발하게 했을 ... ...
- GMO는 인류 식량 문제 해결할까과학동아 l2010년 04호
- 사진)는 병충해에 강하고 수확량이 많은 밀 ‘소노라’를 개발했다. 멕시코, 파키스탄, 인도 등에 보급된 소노라는 개발도상국의 식량생산량을 급속히 끌어올리며 식량 문제를 해결해 나가기 시작했다.당시 소노라의 가격 책정을 놓고 많은 논란이 있었지만 볼로그 박사는 “식량은 이 세상에 ... ...
- 한반도 5~6년마다 큰 지진 온다과학동아 l2010년 04호
- 동쪽에서 유라시아판으로 밀려 내려가는 태평양판뿐 아니라 서남쪽에서 밀어붙이는 인도판의 영향을 받고 있다는 것.서울대 지리학과 박수진 교수는 더 정밀한 분석을 내놨다. 박 교수는 2007년 대한지리학회지에 발표한 자료에서 한반도 지진이 지반 운동의 방향성과 운동시기가 각각 다른 4개 ... ...
- 나누고 비교하는 분수수학동아 l2010년 04호
- 발전했습니다.측정을 통해서도 분수는 발전했습니다. 고대 이집트, 바빌로니아, 인도, 그리스, 아랍인 들은 물건을 측정하기 위해 분수를 폭넓게 사용했습니다.어떤 단위로 크기를 잰 결과를 자세히 나타내기 위해서는 더 큰 단위로 혹은 더 작은 단위로 바꿔 보는 활동을 합니다. 활동을 하다 보면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