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융복합 파트너] 뇌 속 시냅스에서 찾은 뇌질환의 비밀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발휘할 수 있다”며 “골격단백질을 연구하면 아직 밝혀지지 않은 시냅스 단백질의 위치와 역할도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실제로 엄 교수는 고재원 DGIST 뇌·인지과학전공 교수와 함께 2016년 ‘IQSEC3’라는 단백질이 억제성 시냅스 골격단백질의 한 종류인 게피린(gephyrin)과 결합하며 억제성 ... ...
- 소수의 연산, 소수점의 위치를 맞춰라!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자연수의 받아올림과 받아내림을 충분히 연습했다면 소수의 받아올림과 받아내림도 쉽게 할 수 있어요. 저희 수콤달콤 연구소가 개발한 비법만 잘 기억한다면 말이죠! ● 수콤 비법 │ 소수점 아래 자릿수가 같을 때자연수와 똑같은 방법으로 계산해요. 덧셈을 할 때 0.01이 10개 모이면 0.1이 되기 ... ...
- [지구사랑탐사대] 곤충박사 팀 김현지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살고 있어요.제가 워낙 동물을 좋아해서 2학년 때 학교 친구들이 곤충을 발견하면 저에게 위치를 제보해줬어요. 그럼 곧바로 출동해서 곤충을 관찰하고, 정보와 특징을 친구들에게 알려 줬어요. 그래서 친구들은 저에게 ‘곤충박사’라는 별명을 붙여 주었고, 팀 이름으로 정했답니다. Q나비를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미지 인식 AI를 만들고 있습니다. 범죄가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에서 사람들의 위치나 이동 방향, 옷차림 등의 정보를 스스로 파악할 수 있죠.이 두 분야를 연구할 때 합성곱신경망을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 영상은 이미지를 시간에 따라 나열해 만든 데이터인데, 1초당 5~60장의 이미지로 ...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연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님의 이야기를 들려드릴게요! 1월 5일, 서울 서대문구에 위치한 연세대학교에서 수학고민상담소의 두 번째 주인공 강정한 사회학과 교수님을 만났습니다. 벌써부터 ‘아니, 수학동아에서 왜 사회학과 교수님을….’ 하며 의아해하는 독자들이 모습이 그려지네요.강 ... ...
- [게임 디자인 씽킹] 컴퓨터와 대결하는 규칙을 설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위 또는 아래로 움직일 겁니다.같은 방식으로 오른쪽 판은 공과의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위치를 결정하도록 코딩하겠습니다. 공이 화면 중앙을 지나 오른쪽으로 넘어오면 공의 y좌푯값과 판의 y좌푯값을 비교합니다. 만약 공이 오른쪽 판보다 밑에 있다면 판을 아래로 내리고 그렇지 않다면 판을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직접적으로 보여준 첫 번째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큽니다.또 성장 원추는 세포막에 위치한 안내 신호만으로도 긴 거리를 이동할 수 있다는 사실을 보여줬습니다. 보통 목적지로부터 퍼져나오는 안내 신호에 따라 축삭의 성장 원추가 자랄 수 있는 거리는 300~500µm(마이크로미터·1µm는 100만분의 1m) ... ...
- [이슈] 위기탈출! 세 단어 주소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기억하기 쉽죠. 어떤 단어가 어떻게 짝을 이루도록 했는지는 일급 비밀이랍니다. Q. 위치를 나타내는 일은 왜 중요한가요? 10~15년 전에는 모바일 지도를 사용하지 않았지만 지금은 없으면 안 될 정도로 일상생활에 꼭 필요해졌어요. 앞으로는 드론 배달이나 무인 자동차 같은 기술이 발전할 것이고 ... ...
- [하야부사 2호] 아직 끝나지 않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그래서 착륙 지점을 찾느라 계획보다 늦게 착륙을 하기도 했습니다. 적절한 착륙 위치를 찾았을 땐, 이 지점이 너무나도 좁은 영역이라 하야부사 2호를 조종하는데 정교한 계산이 요구되기도 했지요. 또, 하야부사 2호가 지구 궤도로 돌아와 무사히 샘플을 착륙시키기 위해 궤도를 무척 많이 수정해 ... ...
- [특집] 몽골인보다 정확하다! 이미지 인식 AI의 쓰임새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이미지를 인식하는 과정도 똑같습니다. 일단 수많은 물체가 찍힌 사진에서 물체의 위치를 파악한 뒤에, 찾고자 하는 대상의 대략적인 특징을 이용해 어떤 물체가 있는지 알아냅니다. 이렇게 이미지에 있는 물체를 인식하는 과정을 ‘이미지 인식’이라고 합니다.이미지나 영상에서 특정 물체를 찾아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