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요소"(으)로 총 2,92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로, 1을 0으로 바꾸는 기능을 하는 장치로, 복잡한 연산을 수행할 집적회로를 만드는 기본 요소다. 3진 인버터는 0을 2로, 1을 1로, 2를 0으로 바꾼다. 김 교수는 “공장에서 쓰고 있는 안정적인 기술로 3진법 집적회로를 구현한 것”이라며 “이 소자를 활용할 수 있는 회로 시스템 디자인을 연구하고 ... ...
- [Issue] 100만 군중 안전하게 대피하려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예컨대 시간대가 출퇴근 시간인지 아닌지, 휴일인지 아닌지 등을 면밀히 통제한 뒤 어떤 요소가 중점적으로 바뀌는지를 계산합니다. 권 선임연구원은 “CCTV 속 사람들을 패턴인식한 뒤 수식으로 모델링하는 작업이 흐름을 예측하는데 가장 핵심적인 과정”이라고 말했습니다.STEP 3 시뮬레이션을 ... ...
- Part 2. 유선형 덮개로 공기저항을 줄인 초고속 자전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받게 돼요. 이 공기저항을 줄이는 것은 자전거의 속도를 높이는 데 가장 중요한 요소랍니다. 보통 공기저항은 물체가 나아가는 앞부분이 가장 커요. 그래서 앞에서 바라 봤을 때 물체의 단면적인 ‘투영 단면적’이 작을수록 공기 저항을 덜 받게 되죠.여러 종류의 자전거 중에서도 리컴번트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인력이 작용해 생긴답니다.‘이을 접(接)’은 뜻을 나타내는 ‘손 수(扌)’에 발음 요소인 ‘첩 첩(妾)’이 더해져 만들어진 한자예요. 다리를 겹치듯 서로의 손(手)을 잡는 것을 나타내죠. 본뜻은 ‘가까이 하다’였는데, 이후에 ‘사귀다’, ‘잇다’, ‘접하다’, ‘대접하다’ 등의 다양한 뜻으로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꼭 필요해요. 탈 물질인 연료와 산소, 그리고 발화점 이상의 온도지요. 이것을 ‘연소의 3요소’라고 불러요.발화점은 산소가 있는 곳에서 물질을 가열했을 때 불이 붙는 가장 낮은 온도를 말해요. 알코올램프에는 메탄올이 들어 있는데, 메탄올의 발화점은 470℃랍니다.산소가 있는 곳에서 메탄올에 ... ...
- Part 4. [생체열쇠 - 셋] 얼굴 & 걸음걸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1호
- 새롭게 제안되었지요.사람마다 얼굴 모습은 모두 다 다르기 때문에 특이점이 될 요소가 많아요. 눈과 코, 입의 위치는 물론 얼굴의 다양한 근육이 움직이는 패턴을 이용할 수도 있지요. 특이점이 많다는 것은 그만큼 사람을 정확하게 구분하고 인식할 수 있다는 뜻이에요. 따라서 현재 생체 인식 ... ...
- [소프트웨어] 컴퓨터의 원조는 나! 공학용 계산기수학동아 l2016년 12호
- 계산, 저장, 출력하는 방식이 컴퓨터와 꼭 닮았죠? 해석기관은 컴퓨터의 기본적인 요소를 모두 갖추고 있었어요. 그래서 찰스 배비지를 ‘컴퓨터의 아버지’라고 불러요. 하지만 안타깝게도 해석기관 역시 설계도대로 완성하지 못했어요. 만약 완성했다면 해석기관이 최초의 컴퓨터가 됐을 거예요 ... ...
- [Tech & Fun] 범인의 마음을 해킹하다 ‘멘탈리스트’와 ‘라이 투 미’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어떤지, 그밖에 손과 발의 움직임, 입 모양, 사용하는 단어의 길이와 음절 수 등 수많은 요소를 순식간에 파악합니다.이를 종합해 질문에 대한 몸의 반응을 확인합니다. 예를 들어 용의자에게 “살해당한 친구가 일기장을 가지고 있었습니까?”라는 질문을 했을 때, 용의자가 미묘하지만 팔꿈치를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되었답니다.한편 ‘감출 장(藏)’은 꽤 복잡해 보여요. 하지만 글자를 이루고 있는 요소를 하나하나 뜯어 보면 어렵지 않답니다. 우선 글자의 가장 왼쪽에 있는 ‘나뭇조각 장(爿)’은 ‘장’이라는 소리를 따기 위해 사용됐어요. 따라서 감출 장은 ‘장(爿)’자를 빼고 약자로 ‘蔵’로 쓰기도 ... ...
- Part 2. 내 안에 펼쳐진 나만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2호
- 만들어내는 청사진에는 난류냐 층류냐 하는 구분이 없고, 기관지 모양을 결정짓는 요소들은 크기에 상관없이 반복된다는 의미”로 해석했다. “기관지가 만들어지는 태아 시기에는 공기가 흐르지 않기 때문에, 세기관지에까지 유체역학적 자극이 영향력을 행사할 기회가 없었다”는 설명이다. 반면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