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구원
d라이브러리
"
연구진
"(으)로 총 1,196건 검색되었습니다.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ALICE)를 비롯해 CMS, 아틀라스(ATLAS) 검출기를 이용해 중이온실험이 이뤄질 예정이다. 한국
연구진
은 ALICE에 30여명, CMS에 10여 명이 참여하고 있다.국내에서는 현재 과학비즈니스벨트를 중심으로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대한 논의가 한창이다. 미국이나 유럽의 중이온가속기에 비해서는 가속 에너지가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덩치가 큰 동물일수록 먹잇감을 충분하게 공급하는 넓은 면적의 서식지가 필요하다는 게
연구진
의 분석이다.이순신 동상만 한 사람 등장할까브라키오사우루스 같은 거대 초식공룡보다 훨씬 큰 생명체는 지금도 있다. 현존하는 지구상 생명체 가운데 가장 큰 생명체인 그레이트배리어 산호는 ... ...
우리 천문학자, 허블우주망원경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다른 천문학자들도 사정은 마찬가지였다. 취소됐던 과제는 한국으로 돌아온 뒤 미국
연구진
이 허블우주망원경 관측을 통해 성공적으로 수행했다. 이 교수가 최초로 제안했던 내용이라 아쉬움이 더했다. 현대천문학에서 망원경이 차지하는 비중이 어느 정도인지 짐작 가는 대목이다.1993년 연세대로 ... ...
화성 대기 사라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된다. 이 충돌로 충격파가 생성되면서 태양풍 내의 입자는 매우 빠른 속도로 가속된다.
연구진
은 화성에서 빠져나오는 중이온 입자 흐름을 관측한 결과 충격파가 화성을 지날 때 화성 대기에서 입자들을 밀어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CIRs가 발생할 때 화성 대기 입자들이 2.5배 이상 더 많이 ... ...
양귀비 진통 효과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바이오케미스트리’ 3월 14일자에 소개됐다.
연구진
은 약 2만 3000종에 이르는 양귀비 유전자를 정밀 비교했다. 분석 결과 T6ODM효소가 양귀비 열매의 알칼로이드 성분인 테바인을 코데인으로, 이를 CODM효소가 다시 모르핀으로 바꿔주는 핵심 역할을 한다는 ... ...
동전 크기만 한 담수화 장치 개발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짠맛 외에도 물을 오염시키는 박테리아나 특정 물질을 없애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연구진
은 이 소형 장치 수백 개를 묶고 태양광전지로 전기를 공급하는 간이 장치를 만들면 지진 재해나 가뭄 재해 지역에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름 20cm의 웨이퍼에 설치한 1600개 나노 탈염 장치에서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필요그가 이끌고 있는 구조복잡도연구실은 인도와 베트남에서 온 연구원들이 국내
연구진
과 호흡을 맞추고 있다. 미국, 유럽, 호주 등지에서 연구실을 방문하는 외국 교수도 해마다 늘고 있다. IEEE 진화연산 분과 에디터로 활동하는 그의 연구역량 덕분이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진화연산 ... ...
학습과 놀이의 절묘한 만남 기능성 게임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지적했다. 한자 학습용 기능성 게임인‘한자마루’는 기획 단계부터 서울대 심리학과
연구진
과 함께 게임 시 학습효과를 관찰했다. 실험에 참가한 학생은 게임을 하는 동안 안구추적장비(Eye-Link Ⅱ)를 쓰고 연구자들은 그 시선의 움직임을 기록했다. 학생은 게임을 하는 동안 몬스터나 아이템은 ... ...
상상까지 현실로 창조하라, 리얼리티 테크놀로지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신경계 대신 직접 근육에 전달해 팔을 움직이게 했다. 앞서 2002년에는 캐나다 앨버타대
연구진
이 고양이 뇌에 전극을 꽂아 모터를 작동시켜 ‘생각으로’ 기계와 근육을 움직일 수 있다는 가능성을 처음으로 열었다. 최근에는 직접 뇌에 전극을 연결하지 않고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이나 뇌파(EEG ... ...
정자에 관한 색다른 보고서
과학동아
l
2010년 03호
박사팀은 먼저 서로 다른 종의 정자가 만났을 때 어떤 특성이 있는지를 알아보기로 했다.
연구진
은 교잡이 가능할 정도로 가까운 사이인 두 종류의 쥐를 연구 대상에 올렸다. 둘 다 북아메리카산이지만 서식지가 서로 다른 흰발생쥐(Peromyscus maniculatus)와 올드필드 흰발생쥐(P. polionotus)가 선택됐다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