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절
절기
시즌
어린시절
어린
철
철강
d라이브러리
"
시절
"(으)로 총 2,272건 검색되었습니다.
창간 10주년 기념 앨범 우리가 열 살 즈음에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20호
웃던 열 살 어린이들은 이제 어른이 되어 어과동을 열심히 만들고 있어요. 하지만 그
시절
가득하던 꿈은 지금도 늘 함께해요. 지금 열 살인 어과동도, 이 글을 보고 있는 열 살 즈음 친구들도 마찬가지겠죠? 앞으로도 함께 무럭무럭, 건강하게 자라도록 해요~!참, 어른이 되어도 어과동 잊지 ... ...
[잘 가르치는 대학이 뜬다 1] 숭실대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겨울방학에 기숙사에서 5주간 합숙을 하며 프로그래밍을 집중적으로 배운다. 컴퓨터학부
시절
이때 프로젝트를 완성해 공모전에 입상한 학생도 있다. 교내 캡스톤 공모전에서 대상을 수상한 유우종(컴퓨터 공학부 4) 학생은 “합숙기간에 평소에 해보지 못했던 다양한 실습을 했던 것이 수상에 큰 ... ...
[fun] “알고리듬이 위험하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A씨는 SNS에 접속할 때마다 눈살이 찌푸려진다. 대학에 다니던
시절
사귀었던 전 남자친구 사진이 자꾸 ‘알 수도 있는 친구’에 뜨기 때문. SNS 알고리듬이 A씨와 그 사이의 친구 관계를 분석해 연결을 시도하는 것이다. 현실의 인간관계를 컴퓨터 속 알고리듬이 규정하는 셈이다. 흔히 사람들은 ... ...
[knowledge] 지도를 4가지 색만으로 칠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역사상 가장 많은 사람이 도전한 난제유카와 교수는 우츠미 형사와 식사를 하다가 대학
시절
기억을 떠올린다. 물리학도였던 그는, 당시 교정 벤치에 앉아 ‘4색 문제(four color problem)’ 증명에 몰두하고 있는 수학과 학생 이시가미를 발견했다. 이시가미는 컴퓨터를 이용한 4색 정리 증명이 아름답지 ... ...
BRIDGE. 김기만 국가핵융합연구소 신임 소장 인터뷰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화학공학 박사였던 김 소장의 부친은 과학을 좋아하는 ‘또릿또릿한’ 아들을 고교
시절
신윤경 서울대 화학공학과 교수에게 데려갔다. 신 교수가 소개해준 핵융합에 매료돼 서울대 원자핵공학과에 진학했고, 지금까지 오직 핵융합만 연구하고 있다.“‘꿈의 에너지, 최후 에너지’라는 점이 ... ...
[hot science] 영조와 사도세자 정신병원에 오다
과학동아
l
2014년 12호
신혼 땐 가슴이 두근거려 괴롭다거나 자주 깜짝 놀라는 정도였어요.” “어린
시절
에는요?” “시댁어른들 말로는 10살 때쯤 ‘답답하고 어지럽다’는 말을 자꾸 해서 병원에 데려 갔는데 아무런 이상을 찾지 못했다고 했어요. 아! 가끔 공포영화를 보고 경기를 일으켰다고는 하셨어요” 병을 앓은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저희 과에서는 주로 땅 아래 수 km에서 일어나는 일에 관심이 있습니다. 사실 저도 학창
시절
지구과학 성적이 썩 좋은 편은 아니었습니다. 수학과 물리학을 잘 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
[life & tech] 당신의 발열공포가 아이를 괴롭힌다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경험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말한다. 지금보다 생활 환경이나 의료 수준이 열악했던
시절
, 특히 심각한 뇌수막염으로 많은 아이들이 고열에 시달리다 귀가 멀고 뇌손상도 입는 등 심한 후유증을 겪었던 기억이 우리에게 열에 대한 공포를 키웠다는 것이다. 김진선 교수는 “의료진조차 최신의 ... ...
종이학부터 변신로봇까지 오리가미의 진화
수학동아
l
2014년 11호
현재 태양전지의 전력 생산 능력을 17배 정도(약 250kw) 끌어올릴 수 있다”며, “고교
시절
오리가미의 매력에 흠뻑 빠져 있던 경험이 태양전지 연구를 가능케 했다”고 이야기했다. 생명도 구하는 오리가미오리가미는 공학 분야뿐만 아니라 의학에서도 활용되고 있다. 동맥이나 정맥 같은 혈관에 ... ...
[hot science] 포스트시즌의 세가지 미신
과학동아
l
2014년 11호
기옌은 메이저리그에서 스몰 볼을 가장 잘 하는 감독이다. 2005년 시카고 화이트삭스 감독
시절
그는 점수를 적게 주고 필요한 만큼만 뽑는 ‘짠물 야구’로 월드 시리즈를 제패했다. 그의 실력을 인정해 롱 볼과 스몰 볼을 구분하는 기록의 이름을 ‘기옌 숫자’라고 부른다. 기옌 숫자는 팀 전체의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