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 [Career] ‘융합’에 에너지의 미래를 묻다 원자핵공학과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액체, 기체 상태를 지나 계속 열을 받아 온도가 높아지면, 원자가 원자핵과 자유전자로 분리돼 존재하는 상태가 됩니다. 제4의 물질상태라고도 하죠. 이 상태가 되면 평소에 일어나지 않던 반응이 많이 일어납니다. 주로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공정에 필요한 반응들이죠. 그래서 원자핵공학과를 ...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수학동아 l2016년 02호
- 있다고요? 착시를 일으키지 않도록 잘린 검은 막대의 양 끝 부분을 검은 바탕과 살짝 분리했더니(C) 막대가 아무리 움직여도 V2세포가 전만큼 활발하게 반응하지 않았답니다.올빼미의 한 종인 외양간올빼미도 주관적 윤곽선을 인식한다고 해요. 독일 아헨공대 동물학과 안드레아스 니더, 헤르만 ...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위성 사진을 토대로 “풍계리 핵실험장의 원자로와 연결된 소형 건물은 삼중수소 분리 시설로 추정할 수 있고, 신축 중인 경수로와 그 아래 건축물이 중성자를 배출할 수 있는 시설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혔다. 북한에 풍부한 리튬의 동위원소인 리튬-6에 경수로에서 나온 중성자를 쏘면 삼중수소를 ... ...
- Interview. “수중시체 검시, 특별한 애정 필요해”과학동아 l2016년 02호
-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문제가 있었다(3파트 참조). 김 교수는 강산을 대체할 새로운 분리법을 찾아2009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생활을 정리하고 모교인 조선대에 교수로 부임했다. 직접 다이빙을 배워서 물에 들어가 플랑크톤을 건져오기도 하고, 수심 30m조건을 만드는 압력용기를 만들어 플랑크톤을 ... ...
- [Tech & Fun] 그래핀의, 그래핀에 의한, 그래핀을 위한 곳과학동아 l2016년 02호
- 혹시 방문하게 되면 연구진들의 얼굴을 유심히 보세요. 2004년 그래핀을 처음으로 분리해2010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한 영국 맨체스터대 안드레가임 교수와 콘스탄틴 노보셀로프 교수도 이곳에서 일하고 있으니까요. 한국인 과학자도 꽤 있다고 합니다.NGI 연구원들을 가장 쉽게 만날 수 있는 곳은, ... ...
- [News & Issue] 1986년 서울, 그들은 어디로 갔을까과학동아 l2016년 02호
- 그래핀이라는 평면 물질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것을 단 한 장의 평면으로 분리할 수 있을 것인가가 관건이었죠. 몇몇 그룹이 그 연구를 했는데, 당시엔 그 사람들이 있는 줄도 잘 몰랐습니다.”_김필립 하버드대 물리학과 교수(그래핀)“원래는 OOO 교수님 실험실에 가려고 면접을 봤는데, ... ...
- [Knowledge] 강철이 연료가 되는 세상과학동아 l2016년 02호
- 모아서 재활용하기 어려워요. 반면 산화철은 자성이 있어 수집하기 편리한 데다 철을 분리하는 데 드는 비용이 다른 금속보다 저렴하죠. 다만 철은 물과는 잘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물과 반응시켜 에너지를 얻는 방식에는 알루미늄을 써야 합니다.”과연 언제쯤, 어디에서 금속 연료를 만나게 될까. ... ...
- 동물행동학자의 기록일지 잘 가! 반달가슴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3호
- 또 스스로 위험을 깨닫고 방어할 수 있는 체력도 갖춰야 한다. 올해 9월부터 어미와 분리되어 자연적응훈련장에서 훈련을 받았던 새끼들은 10월 말이 되자 15kg의 당당한 곰으로 성장하였다.방사 시점을 10월 말로 잡은 건 지리산에 도토리가 풍부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12월 말 겨울잠에 들어가기 ... ...
- IT창의과학탐험대 - 신서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20호
- 웨이퍼 위에 반도체 회로를 그리는 등 가공작업을 거친 뒤, 웨이퍼에서 반도체 칩을 분리한답니다.“OHT(Overhead Hoist Transport)라고 하는 로봇이 12인치 웨이퍼 25장을 싣고 각 기계장치들로 옮겨요. 반도체 생산공정을 의미하는 ‘FAB과정’을 거쳐 반도체가 만들어진답니다.”반도체를 만드는 생산공장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조직공학 기술을 이용해 배양고기를 만드는 기술을 연구하고 있어요. 줄기세포를 따로 분리하지 않고 근육 조직 자체를 배양액 안에서 키우는 거죠. 이 방법으로 5년 안에 배양가죽을, 10년 안에 배양고기를 만들어 내는 것이 목표랍니다.배양고기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배양고기를 이용한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