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장
발전
발육
진보
진화
향상
생장
d라이브러리
"
발달
"(으)로 총 3,776건 검색되었습니다.
[생활] 조선시대 최고의 궁궐에서 수학데이트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무려 500년 이상 앞섰답니다.그런데 왜 하필 구고현의 정리를 썼을까요? 측정 도구가
발달
하지 못했던 그 옛날에는 직각을 찾는다는 게 쉬운 일이 아니었어요. 그래서 건물을 지을 때, 구고현의 정리를 이용해 3:4:5라는 길이 비를 갖도록 삼각형을 만들어 직각을 찾아냈던 거랍니다. 또 조상들은 오래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건 자명합니다. 나비어-스톡스 방정식을 풀려면 현대수학 이론이 지금보다 훨씬
발달
해야 합니다.”최근 100년은 편미분방정식의 해의 존재 여부를 검증하는 역사였다. 2015년을 살아가는 우리는, 이제 막 형태를 갖춘 편미분방정식의 역사를 관통하는 산 증인인 셈이다. 그러니 누가 알겠는가. 곧 ... ...
[과학뉴스] 뱀의 조상은 다리가 네 개
과학동아
l
2015년 09호
못했다. 마틸 박사의 분석 결과 뱀은 총 네 개의 다리가 있었고 발가락과 발톱이 잘
발달
된 상태였다. 마틸 박사는 “발톱을 이용해 먹이를 움켜쥐거나 짝짓기 상대를 붙들었을 것”이라고 추정했다. 이 결과는 ‘사이언스’ 7월 25일자에 발표됐다 ... ...
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두꺼운 책이라면 형광펜으로 한두 단어를 표시하는 정도다. 일분일초가 중요한 초기
발달
이나 면역 반응 같은 경우는 메틸화만으로 광범위한 유전체를 빠르게 조절하기 힘들다. 보다 넓은 범위에서 DNA 사용법을 결정하는, 마치 두꺼운 책의 책갈피 역할을 하는 표식이 필요하다. 새로운 표식을 찾기 ... ...
“실제 사람 다리로 미라를 만들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할 계획인가A 오랫동안 인류학 관점에서 인간 골격과 치아를 연구해왔다. 인간의 성장과
발달
, 원시 병리학 등이 관심 주제고, 미라도 그런 관점에서 연구했다. 5년 뒤부터는 고대의 DNA를 본격적으로 연구할 계획이다. 이미 청동기와 신석기 사이 그리스인들의 유전적 변화를 연구하는 프로젝트에 ...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소리를 생성하는 기관.특히 청개구리는 우리나라에 사는 다른 어떤 개구리보다도 잘
발달
된 노래주머니를 가지고 있어요. 그래서 청개구리는 우리나라의 개구리 중에서 가장 작지만, 그 어느 개구리보다 큰소리를 내지요.그런데 물 속에서 노래하는 다른 개구리와 달리 청개구리는 물에 둥둥 떠서 ... ...
물의 지배자 모사사우루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유사하다. 먼저 물속에서 방향전환을 하는 데 적합하도록 보다 탄탄한 지느러미를
발달
시켰는데, 이를 위해 고래처럼 손가락뼈가 많아지는 다지골증(hyperphalangy) 현상을 보였다. 목이 짧아지기도 했다. 짧은 목은 빠른 속도로 헤엄을 칠 때 목이 꺾이는 것을 막아준다. 최근에는 모사사우루스가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일부가 생식세포로 바뀌면서 이뤄진다. 식물은 어떻게 이런 가소성을 가질까. 환경이나
발달
단계에 따라 같은 유전정보를 다르게 사용하는 ‘사용법’이 결정한다. 꽃이 필 때를 알려주는 DNA 밖의 정보, 즉 후성유전학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밖에 없다.보리와 유채의 기억법식물은 뇌와 신경세포도 ... ...
비만 탓 남성 유방암 증가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높았기 때문이다. 스피어 교수는 “남성 유방암 환자의 90%는 여성호르몬 수용체가
발달
해 있다”면서 “여성호르몬이 유방암 세포를 자극해 성장시켰다는 간접증거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 ...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발생 방향을 지시한다고 추측했다.두 학설의 대립은 19세기 후반에 끝이 났다. 현미경이
발달
하면서 생식세포가 피부세포나 뇌세포가 없는 단일 세포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당연히 정자 안에 아주 작은 사람도 존재하지 않았고 전성설은 몰락했다. 후성발생은 1879년 월터 플레밍이 염색체를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