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형"(으)로 총 1,599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LHC 이번엔 암흑물질 찾는다과학동아 l2015년 03호
- 서서 그동안 스스로가 해왔던 노력과는 모순된 소망을 품고 있다. 재가동된 LHC에서 표준모형으로 설명할 수 없고 아무도 이해하지 못하는 현상을 보는 것이다. 그러면 그것은 우리가 알지 못하는 물리학 법칙으로 이끌어 줄 것이고 그로부터 우리는 물질의 본질에 대해, 우리 우주에 대해 더 깊이 ... ...
- Part 1 전통의 빅데이터, 족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옥스퍼드대 메이슨 포터 교수로 이루어진 연구팀은 우리나라 족보를 이용해 본관 분포 모형을 만들었다. 그리고 체코의 성씨 거주 자료와도 비교했다. 그 결과 체코의 모든 성씨는 비에르고딕형이었다. 그렇다면 왜 우리나라에는 에르고딕형이 있는 걸까?우리나라의 오래된 성씨는 생긴 지 2000년이 ... ...
- [지식] 수학이 돌려 준 내 얼굴수학동아 l2015년 02호
- 촬영한 CT★ 영상을 쌓아 3D 모델로 만드는 일입니다. 얇은 종이를 여러 겹 쌓아 올려 입체 모형을 만드는 것과 같은 원리죠. 3차원으로 형태가 일그러진 얼굴 기형의 경우, 평면보다는 3D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는 게 훨씬 더 정확합니다. 이때 실제 환자의 뼈처럼 모델의 표면을 깨끗하고 선명하게 ... ...
- 800년 동안 바다 속에 있던 보물선을 찾아서!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수 있는 공간인 해양문화체험관이 있어요. 게임을 하면서 수중 유적을 발굴해 보고, 모형 배 위에서 노를 젓고 닻을 내리는 체험도 할 수 있지요.전시는 야외에서도 이어져요. 연구소 앞에 있는 바다에는 조선시대부터 1990년대까지 사용한 새우잡이배와, 조선시대에 세금으로 거둔 곡물을 한양으로 ... ...
- [Life & Tech] 손재주에 자신있다면! 3D 이노메탈퍼과학동아 l2015년 02호
- 것이 좋다. 쉬운 공작이라고 실망할 일은 없다. 실제 곤충과 방불할 정도로 정교한 모형에 감탄하게 될 것이다. 조금 익숙해졌다면 자동차나 헬리콥터 같은 탈 것과, 건축물에 도전하자. 어려운 만큼 완성했을 때의 성취감은 더욱 크다.완성품은 고급스러워 장식품으로 훌륭한 역할을 한다. ... ...
- 깜짝 놀라지 않을 턱이 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2호
- 턱뼈가 가윗날처럼 서로 스쳐 지나가는 구조랍니다.연구팀은 판피어의 턱 화석을 본뜬 모형에 상어의 턱 근육을 달아 실험해 봤어요. 그 결과 단 0.07초 만에 약 590kg의 힘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어요. 하지만 판피어는 이빨이 없기 때문에 딱딱한 먹이를 씹다가 턱뼈가 부러지거나, 시간이 ... ...
- INTERVIEW. “21세기는 일반상대성이론의 시대”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산물이라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예를 들어 힉스 입자의 존재를 가능하게 하는 표준모형에도 일반상대성이론이 들어간다. 또 우주의 팽창과 암흑에너지, 블랙홀, 암흑물질 등 대부분의 천문학 이론들이 일반상대성이론이 성립한다는 전제 하에 만들어진 것이다.Q. 이론의 중요성을 일반인은 ... ...
- [Hot Issue] 두 발 괴물, 빅풋은 없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예를 들어 빅풋 연구가 헨너 파렌바흐는 40년에 걸쳐 수집된 551개의 빅풋 발자국 석고 모형을 연구했다. 발자국 길이를 순서대로 늘어놓자, 가우스 정규 분포 곡선을 이뤘다. 즉 발이 매우 작은 빅풋, 매우 큰 빅풋 그리고 중간 크기 빅풋이 존재하며, 중간 빅풋이 가장 흔했던 것이다. 이는 실제로 ... ...
- 뜨개질과 수학의 크로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만든 쌍곡 기하학 평면 위에 구분할 수 있는 다른 색깔의 실로 삼각형을 표시하고, 이 모형을 이리저리 구부리고 접어 보면서 삼각형의 특성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뜨개질로 직접 보는 위상동형뜨개질을 활용하면 어려운 도형 개념을 실험을 통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도형에서 합동이라 하면 ...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모형 역시 필자를 포함한 후속 연구에서 관측된 자료와 맞지 않았다. 하지만 수정중력 모형은 점점 진화해나가고 있다. “상대론을 수정해야 할지도 모른다”고 생각할 수도 있는 현상은 점점 많이 보고되고 있다. 드발리가 다차원수정 중력이론 을 제안했던 것처럼, 숀 캐롤은 ‘f(R) 수정중력’으로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