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내용"(으)로 총 5,838건 검색되었습니다.
- 20년 만에 실마리 찾았다! 4차원 궁극의 모양수학동아 l2021년 03호
- 꼭지점은 0차원, 모서리는 1차원 특이점입니다. STEP3 해밀턴-티엔 추측 이해하기 이 내용을 종합해 해밀턴-티엔 추측을 이해해보면 n차원 켈러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변화시키면 특이점의 차원은 (n-4)차원 이하일 것이라는 말이죠. 예를 들어 봅시다. 6차원의 켈러 다양체를 리치 흐름에 따라 ... ...
- 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수학동아 l2021년 03호
- 함수로 신경망 따라하기 딥러닝에 사용하는 인공신경망은 신경계의 기본 단위인 ‘뉴런’의 작동 원리를 이용해 만들었습니다. 뉴런의 수상돌기가 화학 신호를 받으면 축 ... ★ 폴리매스 홈페이지→[주니어 폴리매스]→[인공지능, 수학으로 타파]에서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세요 ... ...
- AI 법학 │ ‘차별하는 AI’를 극복하려면과학동아 l2021년 03호
- 한번 요청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올해 1월엔 한국도 유럽과 유사한 제도를 도입하자는 내용의 ‘개인정보 보호법 일부개정법률안’이 입법 예고됐으니 그것도 참고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GDPR(General Data Protection Regulation)유럽연합(EU) 개인정보보호 규정. 유럽연합의 법으로써유럽연합에 속해있거나 ...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수학동아 l2021년 02호
- 거기에 자신의 생각이나 창의력까지 섞으면 더 좋아요. 생각하는 힘도 늘고, 배운 내용을 복습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Q 연우 학생에게 폴리매스의 매력은 뭔가요?폴리매스의 매력은 바로 관심사가 비슷한 여러 회원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 전에는 이렇게 쉽게 수학과 관련된 정보를 ... ...
- [Bridge] 이미지 인식 AI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처음 보는 것도 어떤 물체인지 알 수 있는 나의 비결 역시 이미지 인식 AI야. 특히 합성곱신경망 덕분에 이미지 인식 AI가 빠르게 발전했고, 덕분에 내 시력은 날로 정 ... 행렬 데이터들을 다양한 각도에서 바라보고 차원을 옮겨가면서, 효율적인 질문의 순서와 내용을 찾는 게 중요합니다 ... ...
- [옥스퍼드 박사의 수학 로그] 제14화. 2월에 태어난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1년 02호
- 해럴드 하디 역시 2월에 태어난 대표적인 수학자 중 한 명이죠. 하디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145쪽 ‘이달의 수학자’ 코너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과 같은 달, 혹은 같은 날에 태어난 수학자들은 누구일까요? 마치 별자리나 탄생석처럼 나의 수학자를 찾아보는 것도 재밌지 않을까요 ...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응용물리학레터스(APL)’에 발표한 논문이 다른 학술지에 이미 발표된 것을 짜깁기한 내용이라는 사실이 2006년 밝혀진 사건이 있다. 당시 연구원의 소속 대학은 그의 박사학위를 취소했고, 교신저자였던 교수는 1년간 정직, 3년간 연구 활동 금지라는 중징계를 내렸다. 이례적으로 APL 편집팀은 ... ...
- [논문탐독] 뇌로 떠나는 신경세포의 섬세한 화학언어과학동아 l2021년 02호
- 축으로 위치 정보를 주는 화학 라벨이 구역에 따라 각기 다른 농도 차이로 존재한다는 내용이었습니다.실제로 축삭의 성장 원추는 싫어하는 안내 신호는 회피하고, 좋아하는 안내 신호가 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목적지에 도달한다는 사실이 당시 밝혀졌습니다. 귀쪽 망막 신경절 세포가 싫어하는 ... ...
- JOB 돋보기, 어떤 일을 하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1년 02호
- 살리려면 ‘수학’이 필요해요 의사에게 수학은 ‘언어’예요.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수학으로 간결하게 나타낼 수 있기 때문이에요. 환자의 정보는 수로 표현하며, 이를 통해 환자의 상태가 얼마나 심각한지 파악해요. 예를 들면, ‘환자의 간이 좋지 않다’고 표현하기보다 ‘간 효소 수치가 20 ...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과학동아 l2021년 02호
- 년 전 한 KAIST 학생이 직장인이 겪고 있는 ‘넵병’을 연구한 내용을 소셜미디어에 올려 큰 인기를 끌었다. 설문조사와 모의실험을 통해 ‘넵’을 일으키는 직장인의 감정을 분석한 나름 진지한 연구였다. “이게 이토록 진지할 일인가!” “지극히 KAIST답다”는 평이 나왔다. 이런 학풍 덕분인지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