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과서"(으)로 총 1,390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창 대 방패, 미래무기 물리학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이 가공할 레일건의 성능은 아주 기초적인 과학 원리에서 탄생했다. 고등학교 물리 교과서에 나오는 ‘플레밍의 왼손 법칙’이다. 즉 2개의 레일 형태로 된 코일에 순간적으로 전류를 흘려주면 전류에 의해 생성된 유도자기장의 수직 방향으로 발사체가 힘을 받아 가속되는 것이다. 이런 원리가 ... ...
- [정보] 교과서만 있으면, ‘확률’은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10호
- 선생님, 확률은 왜 배우나요?지난 여름, 전 국민의 밤잠을 설치게 했던 런던 올림픽 모두 기억하죠? 그중 새로운 유망주로 떠오른 리듬체조 손연재 선수에 대한 ... 연습을 한다면 ‘논리적인 말하기’까지 훈련할 수 있답니다! 그러니 앞으로도 수학 교과서를 더욱 많이 사랑해 주세요 ... ...
- 재미있는 우주로 가는 문과학동아 l2012년 10호
- 현대 천체물리학을 설명할 때도 수식을 단 한 줄도 쓰지 않는다.또 새로운 고등학교 과학 교과서 때문에 ‘헤매고 있을’ 고등학생을 위해 썼다는 말대로, 본격적인 내용을 공부하기 전에 20세기 초반 과학자들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정리했다. 아인슈타인과 드 지터의 ‘물질로 가득찬 ... ...
- 응답하라! 수포자!과학동아 l2012년 10호
- 진도에 적응하려다 보니 생긴 문제입니다. 앞서 얘기했듯이 수학은 정의의 학문입니다. 교과서에서 개념을 설명할 때는 정의를 내린 후 개념을 설명하는 공식과 함께 유도과정이 나옵니다. 이 논리를 충실히 따르는 것을 권장합니다.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선생님이나 친구에게 물어서 설명을 듣고 ... ...
- 마지막 관문, 토의·토론 통과하기과학동아 l2012년 10호
- 넘어서 자신의 관심 영역을 찾고 미래의 직업을 선택하는 데도 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교과서를 통해 학교에서 배운 지식을 실제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에 대입하는 것은 공부에서 큰 즐거움을 얻을 수 있는 좋은 방법이다 ... ...
- 내 곁에 외계인과학동아 l2012년 09호
- 우주생물학 책을 집필하는 데 이보다 적합할 수 없다. 더구나 수학과 천문학 관련 교과서를 여럿 쓸 정도로 지식을 통합적으로 설명하는 데 능하다. 생물학과 천문학, 지구과학 지식을 총망라한 이 두툼한 책이 술술 읽힐 수 있는 것은 아마 이런 저자의 특출한 능력 덕분일 것이다. 과학 대중화에 ... ...
- 적정기술, 36.5℃의 기술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그는 주변의 고물을 주워 풍차를 만들어낸다. 캄쾀바에게 영감을 주었던 초등과학교과서의 내용은 다름 아닌 에너지 보존 법칙이었다.에너지는 언제나 우리 주변에 있다. 그것을 다른 형태로 바꾸면 유용하게 쓸 수 있다. 캄쾀바는 가난한 사람이건 부자이건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주어진, 하지만 ... ...
- [정보] 통계, ‘왜?’라고 물으면 문제없어!수학동아 l2012년 09호
- 위의 자료는 중학교 3학년 과정에 나오는 ‘중앙값’에 대한 설명을 서로 다르게 한 두 교과서의 모습입니다. 만약 어떤 학생이 ‘중앙값’에 대한 정의(A 교과서)를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공식(B 교과서)만 달달 외운다면, 중앙값을 활용한 실생활 문제에서 ‘어떤 것을 구하는 문제’인지 ... ...
- 과학적인 지도의 탄생과학동아 l2012년 09호
- 관심이 깊었다.여전히 지도하면 메르카토르의 지도가 떠오를 정도지만, 그의 이름은 교과서에서 지도에 대해 배울 때 한 번쯤 들어 보는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메르카토르는 다방면에서 뛰어난 능력을 발휘한 르네상스인이었으며, 무엇보다 상상이 가미된 그림에 가까웠던 지도를 ... ...
- 수학·과학 외 영역도 챙기자과학동아 l2012년 08호
- 양이 많은 분야야. 그런데 독서량이나 사고의 폭이 얕고 좁다면 공부하기 힘들어.” 과학교과서나 이론서에서 본 것이 실제 어떻게 쓰이는지를 알려면 과학교양서를 폭넓게 읽는 것이 좋다. 또한 융합과 통섭이 키워드인 시대이기 때문에 한쪽 분야에 치우친 독서보다는 이공계를 꿈꾸더라도 인문학 ... ...
이전6970717273747576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