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존
보유
저장
관리
보호
침전물
갈무리
d라이브러리
"
보관
"(으)로 총 966건 검색되었습니다.
체온저하증
과학동아
l
199301
않는다. 따라서 발코니가 없는 아파트에 사는 도시인들은 대신 인경을 냉장고 속에
보관
하기도 한다.자넷과 케네스 스토리는 페인트로 표시해둔 거북이를 연구한 결과, 알에서 깨어나온 새끼 거북이들(추운 겨울을 보내면서도 잘 산다)이 11일 동안 꽁꽁 얼려놓은 후에도 다시 살아남을 밝혀냈다. ... ...
아름다운 꽃을 찾아 나비를 따라
과학동아
l
199212
핀으로 고정하면 된다.이렇게 표본으로 만든 나비를 액자 속에 넣고 직선과 습기를 피해
보관
하면 이 표본은 반영구적이다. 이때 액자 구석에 좀약을 넣어 두어야 한다.나비는 재미있는 이름을 지닌 것이 있어 더욱 흥미를 끈다. 날개에 투명한 창이 있고 그 모습이 화려해 수풀을 떠들썩하게 한다는 ... ...
명령어와 파일의 알쏭달쏭한 관계
과학동아
l
199212
점점 컴퓨터를 많이 사용하면서 필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프린터로 인쇄한 그대로를
보관
하게 된다. 이때 프린터에 인쇄할 내용이 컴퓨터 기억장치인 메모리나 저장장치인 디스크에 존재해야하는 데 이것을 파일이라고 한다.원래 파일이라는 말은 지극히 사무적인 용어였다. 그러나 컴퓨터 ... ...
당신의 충실한 조수 마이크로프로세서
과학동아
l
199211
끝마칠 때는 항상 자기가 하던 모든 일은 서랍속에 다시 집어넣는다. 어떤 때는 서랍속에
보관
하지 않은 채 그대로 쓰레기통에 버리기도 한다. 그러니까 이 친구가 일을 마치면 책상은 늘 깨끗이 치워지고, 설사 방금 전에 하던 일이라도 일을 끝낸 후에는 전혀 기억을 못한다. 다시 서랍을 열어서 ... ...
염색체 21Q·Y염색체 유전지도 완성됐다
과학동아
l
199211
형태로 영구
보관
했다.또 1백98개의 위치표식DNA(STS, sequence-tagged sites)를 활용, 영구
보관
된 7만개의 염색체 절편DNA(YAC의 DNA)의 상대적인 위치를 결정했다. 위치가 정해진 염색체 절편DNA들끼리 서로 겹치도록하여 전 염색체 21q의 유전정보를 포함하는 8백10개의 YAC를 선정했다. 이 8백1 ...
가까이 하기엔 너무나 먼 도스
과학동아
l
199210
컴퓨터 소프트웨어, 즉 프로그램이나 데이터 같은 것들도 테이프에 저장된다. 그러나
보관
장치로서의 테이프는 장점도 있지만 단점도 많다.흔히 하는 경험이지만 자주 재생하다 보면 음질이나 화질이 떨어지기도 하고 테이프가 늘어나기도 하며 심지어는 끊어지기도 한다. 또 뒷부분에 있는 내용을 ... ...
지리산 희귀식물 50종중 40종 찾아내
과학동아
l
199209
왕거미 등은 눈에 띄지 않았습니다. 거미를 채집하면 즉시 70% 에탄올에 넣어 장기
보관
했어요.확실히 생물은 직접 보고 체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학교 현관에 1주일마다 새로운 식물을 심어놓고 그 밑에 과명 종명 등을 붙여두는 것도 한번 고려해볼만한 일입니다.곤충류도 함께 ... ...
PC용 소프트웨어 삼총사
과학동아
l
199209
이 가운데 '타이핑' 업무밖에 처리할 수 없다.이에 비해 워드프로세서는 문서의 초안에서
보관
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과정을 짧은 시간에 자동적으로 처리해 준다. 따라서 작업시간과 인력 소모가 대폭 줄어든다.타자기 역사가 그리 길지 않은 우리나라의 경우 타자기 수요마저도 컴퓨터가 ... ...
PART4 쌀육종 연구의 메카 IRRI
과학동아
l
199209
질소고정균 등을 보유하고 있다. 도서관에는 벼에 관한 문헌이 자그만치 9만여권이나
보관
되어 있고 그동안 6천여명의 국제 과학자와 연수생을 교육 시켰다. 통일벼 개발에도 기여해IRRI는 1990년에 기존 과단위별 연구에서 과제별 연구로 바꾸어 물을 댈 수 있는 무논, 천수답, 밭벼, 물이 깊거나 ... ...
과학실험위성 「우리별1호」발사
과학동아
l
199208
과학자들이 세종기지에서 수집한 해양 지질 등에 관련된 자료를 수신해 기억장치 속에
보관
해두었다가 한반도 상공을 통과할 때(30분 후) 지상국에 송신해준다. 이를 위해 세종기지에는 위성과 송수신할 수 있는 위성지구국 안테나를 설치했다. 경기도 안산의 해양연구소에서도 간단한 수신장치를 ... ...
이전
69
70
71
72
73
74
75
76
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