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d라이브러리
"
발견
"(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2 국산 초음속기 마의 음속 돌파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나가봤자 워낙 시골이라 변변한 식당도 없었기 때문이다. 그나마 어느 슈퍼마켓에서
발견
한 한국 컵 라면이 우리 기술자들의 입맛을 지켜준 유일한 해결책이었다. 이런 과정을 거쳐 T-50은 설계를 구체화시켰고 성능을 검증받았다.스스로 위험 대처하는 인공지능T-50은 훈련기로서 필요한 고도의 ... ...
페로몬 만들도록 식물 조작하는 기생벌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기생벌 유충이 포함돼 있으면 식물이 생산하는 화학물질에 차이가 난다는 사실을
발견
했다. 특히 식물에서 만들어지는 향기를 내는 화학물질의 조성이 변해있었다. 연구팀은 이 물질을 추출하는데 성공했는데, 수컷 기생벌이 암컷이 살았던 식물 조직에서 추출한 화학물질에 반응한다는 사실을 ... ...
블랙홀이 태양계를 삼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아니라 전파나 적외선으로 관측한 결과 두개의 밝은 핵이
발견
됐기 때문이다. 이번에
발견
된 X선원 한쌍도 두개의 은하핵을 말해준다. 즉 은하핵에 존재하는 거대블랙홀 한쌍이 드러난 것이다.NGC6240에 있는 한쌍의 거대블랙홀은 3천광년 떨어진 상태에서 충돌중인데, 수억광년 후 합병돼 더 커다란 ... ...
토성 1년만에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사이의 작은 틈이다. 이 간극은 1675년 이탈리아계 프랑스 천문학자 카시니가 처음으로
발견
했다 해서 ‘카시니의 간극’이라 불린다. 토성 고리 중에서 가장 밝은 부분은 B고리다. B고리의 바깥 부분에는 어두운 A고리가 있다. A고리와 B고리의 사이에 나있는 틈이 바로 카시니 간극이다.대개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유명하다.물리학 법칙에 따르면, 기포는 분명 액체보다 가볍다. 따라서 아르키메데스가
발견
한 부력에 의해 기포는 컵의 윗부분으로 상승해야 한다. 그렇다면 기네스 흑맥주는 물리학의 이 보편적인 법칙이 적용되지 않는 예외적인 경우일까.19세기 영국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조지 스토크스는 ... ...
요인암살용으로 변신한 무인기 프레데터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사코파스트레에서 최초의 두골이 출토되었고, 36년 거의 같은 지점에서 제2의 두골이
발견
되었다첫번째 것은 젊은 여성, 두번째 것은 성인 남자로 추정된다기생거세(寄生去勢)의 하나 게·소라게 등에 기생하는 만각류(蔓脚類)에 속하는 근두류(根頭類)인 사쿨리나(Sacculina ; 주머니벌레), 펠토가스터 ... ...
파킨슨병 정복하는 줄기세포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있었다. 김 박사는 이 효소가 성인 뇌세포의 세포막을 녹일 정도로 독하다는 점을
발견
하고 전혀 다른 효소를 찾기 시작했고, 마침내 결실을 맺은 것이다.하지만 뇌세포를 시험관 내에서 살렸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된 것은 아니었다. 파킨슨병 치료의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건강한 사람의 뇌세포를 ... ...
물과 햇빛만으로 꿈의 에너지 개발 광촉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이웃의 수소이온과 만나 수소분자(H₂)를 이룬다.광촉매로는 혼다와 후지시마 박사가
발견
한 이산화티타늄이 가장 많이 쓰인다. 이산화티나튬은 빛에 의해 분해되지 않고 활성도 좋기 때문이다. 하지만 치명적 단점이 있다. 광촉매가 활성을 나타내려면 빛에너지를 받아 전자와 정공이 만들어져야 ... ...
땅속에 향나무 묻은 뜻 침향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빈다’는 뜻의 2백4 글자의 글귀가 새겨져 있다.실제로 무슨 나무를 땅 속에 왜 묻었을까.
발견
된 매향비의 내용에는 매향목 또는 침향목이란 단어가 들어있다. 향목(香木)은 향나무를 말한다. 그러나 이익의 ‘성호사설’ 12권 ‘인사문 향도’에 보면 ‘참나무(橡)가 물에 들어가 천년을 지나면 향이 ... ...
로켓에 꿈을 실은 과학계의 김남일 채연석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점은 이 설계도에 사용된 길이의 단위 중 0.3mm에 해당되는 아주 작은 ‘리’라는 단위가
발견
된다는 사실이다. “우리나라 고대과학의 제작 정밀도가 얼마나 높았는지 확인할 수 있는 증거”라고 채 박사는 강조한다. 이런 조상의 피를 물려 받은 우리나라 청소년이 이공계 분야에 잠재력이 크다는 ... ...
이전
735
736
737
738
739
740
741
742
7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