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른점"(으)로 총 8,3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자신이 찍은 사진을 TV로 본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사진분야에 혁신을 일으킬 신제품이 미국 코닥사에 의해 발표됐다. '포드CD'라 불릴 이 시스템은 35㎜ 카메라 필름의 영상을 디지털로 변화시켜 컴팩트 디스크(CD)에 기록하고 TV로 재생가능하며 프린터도 할 수 있다.여기에 사용될 디스크의 개발은 네덜란드의 필립스사가 맡아 내년까지 완료할 예정 ... ...
- 소련 과학기술계 탐방기-자영협동체 결성, 연구성과 분배요구과학동아 l1991년 02호
- 러시아에서는 1917년 사회주의 연방정부가 들어서면서 여러가지 혁신정책이 펼쳐졌다. 그 중 하나가 과학기술에 대한 집중지원이었다. 이 정책의 결과는 특히 물리학과 수학에 기초한 우주과학과 군수산업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소련은 50~60년대에 걸쳐 미국과 치열한 경쟁을 벌이면서 각종 현 ... ...
- 수학공부 다시 출발점에 서서과학동아 l1991년 02호
- '${a}^{2}$-${b}^{2}$을 인수분해 하라'고 하면, 대부분의 중학생들은 대뜸 ${a}^{2}$-${b}^{2}$=(a+b)(a-b)이라고 대답할 수가 있다. 왜 그렇게 되느냐고 물으면,${a}^{2}$-${b}^{2}$=${a}^{2}$+ab-ab-${b}^{2}$=a(a+b)-b(a+b)=(a+b)(a-b)이라고 그 이유를 설명할 줄 아는 ' ...
- PARTⅠ마이크로파에서 레이저과학으로 첨단과학에 빛을 더한다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인류의 문명이 불의 발명으로 시작된 이래 구석기시대 신석기시대 청동기시대 철기시대를 통하여 수천년 동안 과학문명의 발전은 거의 정체상태에 있었다. 18세기말부터 19세기초에 걸쳐 유럽에서 일어난 산업혁명에 이르러서야 고도화된 기계문명이 발달되기 시작했다. 자동차 증기기관차 비행기 ... ...
- 가장 밝고 푸른 '사랑의 여신' 금성(Venus)과학동아 l1991년 02호
- 크기와 질량, 밀도 등 물리적인 수치는 지구와 비슷해 쌍둥이 행성으로 불리지만 그 환경은 너무도 달라 생명체가 도저히 살 수 없는 열악한 행성이 금성이다.아침에 해뜨기전 동쪽 하늘에, 또는 저녁 해진 후 서쪽 하늘에, 보석과 같이 영롱하게 빛나는 별. 이 별이 금성이다. 금성은 하늘에서 태양 ... ...
- 2. PC에서 미디를 구현하려면 책상위의 작은 오케스트라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컴퓨터와 기초적인 음악지식만 갖추고 있으면 당신도 컴퓨터음악가가 될 수 있다.국내에 가장 많이 보급되어 있는 IBM PC 및 그 호환기종의 취약점은 바로 음악 기능이다. 물론 본체에 내장되어 있는 자체 스피커로도 음악을 연주할 수는 있지만 여기서 나오는 음악이라는 것을 들어보면 기계적인 잡 ... ...
- 일찌감치 포기하려는 후배에게과학동아 l1991년 02호
- 성윤아.벌써 1월이 다 가고 있어. 새해라고 흥분해서 떠들던 목소리들도 이제 사라지고, 1991년이 차분하게 자리잡혀 가는 것 같아. 기분 좋기도 하지만, 벌써 우리가 '새로운 출발'에 무감각해져 버린것은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어. 시작이 반이라는데 새해 출발은 만족스럽니. 난 첫 1주일을 열심히 ... ...
- 보이지 않는 전선(戦線)에 서서 지금 유학현장에서는…과학동아 l1991년 02호
- 학부 때부터의 연구와 세미나 참여를 통해 분자생물학에서 최근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스스로 파악하고 공부할 수 있었다.내가 과학에 관심을 가진 것은 아주 어렸을 때부터다. 혼자서 방안에 조그마한 실험실을 차려놓고 물고기 개구리 등을 해부 해보기도 하고 라디오 경보기 무전기 등의 부품을 ... ...
- PARTⅡ 성운설(星雲說)이 유력 납작한 원반이 원시 태양계과학동아 l1991년 01호
- 구름이 수축돼 태양이 되고 주변에 떠돌던 먼지가 뭉쳐서 행성을 탄생시켰다.태양계는 어떻게 생성됐고 그동안 어떤 진화를 해 왔는가. 이 문제는 아마도 현대 천문학이 당면한 과제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이다. 그것은 이 문제가 우리 인간의 기원과 우주속에서 인간의 위치에 관련돼 있기 때문이 ...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과학동아 l1991년 01호
- 분단으로 '반쪽' 이해를 면치 못하는 한반도의 생태계 연구. 구멍난 지식을 메우고 사라져 가는 희귀 생물을 보호하기 위해서는 자료교환 공동조사가 하루빨리 이뤄져야 한다.1990년은 '남북통일'의 열풍이 몰아친 한 해였다. 세차례에 걸친 남북총리회담, 통일음악제 개최, 남북 축구경기의 서울·평 ... ...
이전7357367377387397407417427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