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적출
적발
탐지
간파
발각
탄로
발견기법
뉴스
"
발견
"(으)로 총 10,310건 검색되었습니다.
[때와 곳 10] 화장실: ‘하루’를 시작하는 곳
2017.06.17
동행해보면서, 우리가 살아가는 시공간의 구체적인 현지와 생생한 감수성을 잠시나마
발견
하시길 바랍니다. ※ 필자 소개 윤병무. 시인. 시집으로 ‘5분의 추억’과 ‘고단’이 있으며, 동아사이언스 [생활의 시선]을 연재했다 ... ...
[테마가 있는 영화] 언제나 우리 곁에, ‘이웃집 토토로’
2017.06.17
여전한 인기를 얻고 있다고 한다. 우리나라에서도 각종 캐릭터샵에서 토토로의 모습을
발견
할 수 있다. 보기만 해도 행복해지는 영화, 사랑스러운 캐릭터는 국경을 넘어도 시간이 흘러도 오래오래 사랑받는다. ※ 필자 소개 이상헌. 영화를 혼자 보는 게 전혀 부끄럽지 않은 사람. 시간은 ... ...
세계 최초, 머리 둘 돌고래 잡혀
팝뉴스
l
2017.06.17
7일자 논문에서 소개한 이미지다. 돌고래의 머리가 둘이다. 이런 부분 쌍둥이 돌고래가
발견
된 것은 세계 최고의 일인 것으로 추정된다고 저널은 밝혔다. 이 돌고래는 ‘쥐돌고래’ 또는 ‘쇠돌고래’라 불리는 돌고래과(porpoise)에 속한다. 머리 둘인 샴쌍둥이 돌고래는 지난 5월 30일 네덜란드 ... ...
그래핀 실용화 성큼… 순수성 확인 방법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16
그래핀을 고해상도투과전자현미경(HRTEM)으로 관찰해 소재의 끝이 구부러지는 현상을
발견
했다. 이 끝에 빛을 비출 때 생겨나는 ‘스펙트럼(빛의 분광현상)’을 확인하면 그래핀의 순수성을 확인할 수 있다는 사실을 처음으로 확인했다. 불과 수 분 안에 분석할 수 있어 그래핀 실용화에 큰 보탬이 ... ...
면역력 키워 암 고치는 천연물질 국내 연구진이 최초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7.06.15
공동연구팀은 암세포를 선택적으로 없애는 면역보조제 물질을 한약재 ‘지황’에서
발견
했다고 15일 밝혔다. 지황은 해열과 빈혈에 효과가 뛰어난 약재로 생식 기능과 이뇨 작용을 활발하게 한다. 암 면역보조제는 생물의 면역 반응을 이용해 스스로 암세포를 제거하도록 돕는 약이다. 현재 ... ...
법흥리 수리부엉이, 장단콩웰빙마루 사업으로 서식지 파괴 위기
동아사이언스
l
2017.06.15
문제가 불거지가 ㈜파주장단콩웰빙마루는 환경영향평가에서 언급했던 ‘법정보호종이
발견
될 경우 즉각 공사를 중단하겠다’는 방침대로 공사를 중단한 상태다. 파주시는 전문가를 불러 장단콩웰빙마루 사업이 수리부엉이에게 미칠 영향에 대해 듣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그리고 열린 것이 3차 ... ...
[카드뉴스]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 갈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6.15
60% 이상 기억하던 아이들이, 8세가 되자 갑자기 40%도 기억하지 못하게 된다는 사실을
발견
했습니다. 7세에서 8세로 넘어가는 시점에 유년기의 기억이 급격히 사라져 버린 것인데요. 그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이 있습니다. 그중 기억을 담당하는 뇌의 뉴런 일부가 새로운 뉴런으로 바뀌며 기억도 ... ...
고대문명과 이슬람을 꽃피운 아라비아의 길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6.14
청동상은 그리스·로마 문화의 영향을 받았을 거라고 해요. 또한 북서쪽의 우르 지역에서
발견
된 항아리 유물은 메소포타미아 지역의 유물과 비슷했지요. 박상희 선생님은 “이러한 다양한 유물을 통해 아라비아 반도가 기원전부터 메소포타미아와 그리스, 로마와 활발히 교류하던 교역의 ... ...
[눈치테스트] 당신은 눈치가 얼마나 빠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6.14
이유도 밝혀졌다. 여성에게서만 특이적으로 3번 염색체에서 발현하는 ‘공감 유전자’를
발견
했기 때문이다. LRRN1이라는 이 유전자는 뇌의 선조체라는 부위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연구진은 LRRN1의 변이나 발현이 정확히 어떤 메커니즘을 통해 사람의 공감능력을 변화시키는 지에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운동만 해서는 절대 살 못 뺀다!
2017.06.13
메커니즘에 주목하고 있고 식습관에 따라 이런 충동의 강도가 꽤 변할 수 있음을
발견
했다. 즉 충동을 억누르는 의지력에 의존할게 아니라 충동 자체의 발생을 줄이는 쪽으로 다이어트 전략을 짜야 한다는 것이다. 말은 그럴듯한데 이게 가능한 일일까. ‘사이언티픽 아메리칸’ 6월호에는 ‘체중 ... ...
이전
733
734
735
736
737
738
739
740
741
다음
공지사항